목차
가. 오존층 개요
(1) 오존층
(2) 오존층의 중요성
나. 오존층 파괴
(1) 오존층 파괴 현상 관측
(2) 오존층 파괴 원인
(3)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 생성 원인
다. 오존층 파괴에 의한 기후에 미치는 영향
라. 우리나라에서 성층권 오존층 관측
마.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와 관련한 국제 협의 내용
바. 오존층 파괴 물질 대체 기술
사. 오존층 회복 전망
참고문헌
(1) 오존층
(2) 오존층의 중요성
나. 오존층 파괴
(1) 오존층 파괴 현상 관측
(2) 오존층 파괴 원인
(3) 남극 상공의 오존 구멍 생성 원인
다. 오존층 파괴에 의한 기후에 미치는 영향
라. 우리나라에서 성층권 오존층 관측
마.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와 관련한 국제 협의 내용
바. 오존층 파괴 물질 대체 기술
사. 오존층 회복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뮬질 사용 쿼터는 CFC-11등 8종은 95년~97년의 생산량 수준 혹은 국민 1인당 0.3kg미만으로, CFC-111등 12종은 98년~2000년 생산량 혹은 국민 1인당 0.2kg미만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규제가 유예되고 있다. 우리 나라는 개발 도상국의 대우로서 2010년까지 CFC등 규제물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몬트리올 의정서가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받아들여질 수 밖에 없는 것은 몬트리올 의정서에 '비당사국간 규제 물질 교역 금지'라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규제물질들은 듀퐁등 선진국에서 특허를 소유하고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몬트리올 의정서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는 CFC등 공업에 꼭 필요한 규제물질을 수입할 수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당사국으로서 조항을 지키지 않는 경우 역시 규제 물질의 교역이 금지된다. 아울러 2000년 부터는 모든 국가들의 규제 물질 교역은 반드시 수출입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6. 결론
오존의 문제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인류 문명 및 지구 생태계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는 시한 폭탄과 같다. 현재 각국에서는 오존 문제에 관한 여러 가지 해결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구상에서 살고 있는 모든 개인이 오존 문제를 비롯한 환경 문제의 위험성을 직시하고 스스로 노력하여 줄일 수 있도록 생활 패턴을 개선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오존을 비롯한 각종 환경 문제에 대해 '심각할 것이다'라는 추측만이 있을뿐 구체적인 원리나 상황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거나 의도적으로 회피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남극의 오존홀 문제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측에서도 남극의 오존홀이 발생한 시점의 위성 사진만 보여주며 '이렇게 남극에는 오존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주장하여 사람들에게 경각심보다는 두려움만 심어주었다. 그러나 오존을 비롯한 환경문제는 두려워할 대상이 절대 아니다. 그보다는 자신 스스로 어떤 것이 환경에 이로울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합리적인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7. 참고 문헌 (인터넷 자료)
[1] http://www.nas.nasa.gov/Services/Education/Resources/TeacherWork/Ozone/Ozone.homepage.html
이 홈페이지는 Nasa에서 운영하는 오존에 관한 웹페이지로 오존에 관한 이론과 각종 자료들을 총망라한 훌륭한 홈페이지이다. 이 페이지는 또한 인터넷상에서 찾을 수 있는 많은 유용한 오존에 관한 자료들을 소개하고 있어서 오존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싶은 사람은 꼭 한번 참고해볼 가치가 있다.
[2] http://www.epa.gov/docs/ozone/title6/609/cons2.html 이 홈페이지는 오존 홀에 관한 그래픽 자료가 훌륭하며 자외선등 유용한 자료가 많다.
[3] http://www.me.go.kr 이 홈페이지는 환경부가 운영하는 페이지로 오존 문제외에도 국내에서 관심있는 모든 주제와 정부 계획들이 수록되어 있다.
[4] http://iesys.skku.ac.kr/~peterkim/ozonconvention.htm
이 홈페이지는 몬트리올 의정서에 관한 아주 자세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5] http://www/greenpeace.org
이 홈페이지는 세계적인 환경 단체 그린피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로 오존보다는 지구 온난화등의 다른 문제에 관해 훌륭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데이터 베이스를 운영하며 이를 참고하면 많은 자료를 쉽게 검색할 수가 있다.
[6] http://user.chollian.net/~iremo
이 홈페이지는 지방 환경청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로 역시 국가적인 환경 대책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기 쉽게수록하고 있다. 여기서는 오존 경보제에 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7] www.worknet21.co.kr
[8] http://www.costore.co.kr/ 위 페이지는 자외선의 인체에 대한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9] http://www.unep.org/ozone
위 페이지는 몬트리올 의정서를 지도하고 있는 UNEP의 공식 홈페이지중 오존 문제를 다룬 홈페이지이다.
[10] http://srilang.ksdn.or.kr/resource/treaty/treaty03/t030030.htm
[11] http://dns.mofat.go.kr/korean/eco_co/environ/env3/02-2.htm
[12] http://myhome.netsgo.com/greeners/environ/ozone.htm
[13] http://dns.mofat.go.kr/english/eco_co/economy/environment/11.htm
[14] http://dns.mofat.go.kr/korean/eco_co/environ/env4/04.htm
[15] http://www.mofat.go.kr/korean/eco_co/environ/env4/04.htm
[16] http://ynucc.yeungnam.ac.kr/~jgyou/enveco/envlec1011.html
위 자료들은 모두 오존 문제를 다루고 있는 홈페이지로서 각종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미세먼지 PM2.5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가 탈 때 또는 자동차 매연과 산업체 등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이 대기오염 물질. 스모그가 발생하는 날은 맑은 날에 비해 미세먼지가 80% 증가하며, 차량 배기가스 영향으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최고치를 나타낸다. 지름 2.5㎛ 이하의 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내부까지 들어가기 쉬운 입자 크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관지, 폐에 붙어 폐암까지 일으킬 수 있으며, 시정장애 현상도 유발한다.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인 PM2.5의 주요성분은 탄소입자,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 등이며 디젤엔진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입자가 50% 이상을 차지, 경유자동차가 주오염원이 되고 있다. 때문에 환경부는 지난 1995년 1월부터 10㎛ 이하의 미세먼지를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고 있다
몬트리올 의정서가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받아들여질 수 밖에 없는 것은 몬트리올 의정서에 '비당사국간 규제 물질 교역 금지'라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규제물질들은 듀퐁등 선진국에서 특허를 소유하고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몬트리올 의정서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는 CFC등 공업에 꼭 필요한 규제물질을 수입할 수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당사국으로서 조항을 지키지 않는 경우 역시 규제 물질의 교역이 금지된다. 아울러 2000년 부터는 모든 국가들의 규제 물질 교역은 반드시 수출입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6. 결론
오존의 문제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인류 문명 및 지구 생태계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는 시한 폭탄과 같다. 현재 각국에서는 오존 문제에 관한 여러 가지 해결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구상에서 살고 있는 모든 개인이 오존 문제를 비롯한 환경 문제의 위험성을 직시하고 스스로 노력하여 줄일 수 있도록 생활 패턴을 개선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오존을 비롯한 각종 환경 문제에 대해 '심각할 것이다'라는 추측만이 있을뿐 구체적인 원리나 상황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거나 의도적으로 회피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남극의 오존홀 문제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측에서도 남극의 오존홀이 발생한 시점의 위성 사진만 보여주며 '이렇게 남극에는 오존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주장하여 사람들에게 경각심보다는 두려움만 심어주었다. 그러나 오존을 비롯한 환경문제는 두려워할 대상이 절대 아니다. 그보다는 자신 스스로 어떤 것이 환경에 이로울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합리적인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7. 참고 문헌 (인터넷 자료)
[1] http://www.nas.nasa.gov/Services/Education/Resources/TeacherWork/Ozone/Ozone.homepage.html
이 홈페이지는 Nasa에서 운영하는 오존에 관한 웹페이지로 오존에 관한 이론과 각종 자료들을 총망라한 훌륭한 홈페이지이다. 이 페이지는 또한 인터넷상에서 찾을 수 있는 많은 유용한 오존에 관한 자료들을 소개하고 있어서 오존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싶은 사람은 꼭 한번 참고해볼 가치가 있다.
[2] http://www.epa.gov/docs/ozone/title6/609/cons2.html 이 홈페이지는 오존 홀에 관한 그래픽 자료가 훌륭하며 자외선등 유용한 자료가 많다.
[3] http://www.me.go.kr 이 홈페이지는 환경부가 운영하는 페이지로 오존 문제외에도 국내에서 관심있는 모든 주제와 정부 계획들이 수록되어 있다.
[4] http://iesys.skku.ac.kr/~peterkim/ozonconvention.htm
이 홈페이지는 몬트리올 의정서에 관한 아주 자세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5] http://www/greenpeace.org
이 홈페이지는 세계적인 환경 단체 그린피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로 오존보다는 지구 온난화등의 다른 문제에 관해 훌륭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데이터 베이스를 운영하며 이를 참고하면 많은 자료를 쉽게 검색할 수가 있다.
[6] http://user.chollian.net/~iremo
이 홈페이지는 지방 환경청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로 역시 국가적인 환경 대책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기 쉽게수록하고 있다. 여기서는 오존 경보제에 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7] www.worknet21.co.kr
[8] http://www.costore.co.kr/ 위 페이지는 자외선의 인체에 대한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9] http://www.unep.org/ozone
위 페이지는 몬트리올 의정서를 지도하고 있는 UNEP의 공식 홈페이지중 오존 문제를 다룬 홈페이지이다.
[10] http://srilang.ksdn.or.kr/resource/treaty/treaty03/t030030.htm
[11] http://dns.mofat.go.kr/korean/eco_co/environ/env3/02-2.htm
[12] http://myhome.netsgo.com/greeners/environ/ozone.htm
[13] http://dns.mofat.go.kr/english/eco_co/economy/environment/11.htm
[14] http://dns.mofat.go.kr/korean/eco_co/environ/env4/04.htm
[15] http://www.mofat.go.kr/korean/eco_co/environ/env4/04.htm
[16] http://ynucc.yeungnam.ac.kr/~jgyou/enveco/envlec1011.html
위 자료들은 모두 오존 문제를 다루고 있는 홈페이지로서 각종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미세먼지 PM2.5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가 탈 때 또는 자동차 매연과 산업체 등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이 대기오염 물질. 스모그가 발생하는 날은 맑은 날에 비해 미세먼지가 80% 증가하며, 차량 배기가스 영향으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최고치를 나타낸다. 지름 2.5㎛ 이하의 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내부까지 들어가기 쉬운 입자 크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관지, 폐에 붙어 폐암까지 일으킬 수 있으며, 시정장애 현상도 유발한다.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인 PM2.5의 주요성분은 탄소입자,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 등이며 디젤엔진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입자가 50% 이상을 차지, 경유자동차가 주오염원이 되고 있다. 때문에 환경부는 지난 1995년 1월부터 10㎛ 이하의 미세먼지를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고 있다
추천자료
사회문제로서의 환경문제 - A+자료
국제환경법에 관한 나의 견해(편지글 형식)
대기오염에 대해서
지역사회 간호 - 환경관련 리포트
CFC 대체물질 개발사업의 국내외 현황 및 향후전망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
환경오염의 원인, 종류와 문제점 및 대책 분석(다양한 사례 중심)
순환학습 수업모형- 지구 환경의
세계의 환경문제
한국사회문제4E) 기후변화란 어떤 현상이며 한국사회의 사회문제로 보아야할 이유와 실천방안 0k
시스템적 관점에서의 환경오염문제 인식과 지구관
[국제레짐][국제경제레짐][국제환경보호레짐]국제레짐의 의미, 국제레짐의 형성과 정책결정과...
21세기 유엔의 중점과제-환경
기후환경변화와 배출권거래제도 (지구 온난화 원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