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친환경 농업경영의 개념

Ⅲ. 친환경 농업경영의 배경과 목적
1. 친환경 농업경영의 배경
(1) 국제농업환경의 변화
(2) 농업의 체질을 바꾸려는 공감대 형성
(3) 부존자원 활용을 통한 추진
2. 친환경 농업경영의 목적

Ⅳ. 친환경 농업경영의 현황
1. 세계의 친환경농업
(1) 자립 자조 협동정신의 유기농업 운동
(2) 남북한 유기농업 협력의 가능성
2. 우려되는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현황
(1) 사이비 친환경농업인
(2) 더 높은 곳을 향하여 더 낮은 곳으로
3.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
(1) 친환경농업 실천기반 조성
(2) 친환경농업기술 개발
(3) 친환경농업 실천기술 보급
(4) 종합적인 농토배양 추진 및 축산분뇨 자원화
(5) 친환경농업육성 지원
(6)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
(7) 국제협력 강화
(8) 산림환경의 개선

본문내용

업방향이 무화학비료, 무농약이라는 단순개념에서 벗어나 물질순환을 중요시 하여야 한다. 즉, 유기자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외부 공산자원이 유입되지 않는 지역자원의 폐쇄순환이 요구되며, 이 시스템은 개별농가 위주가 아닌 공동체의 유지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야 한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이 현재와 같이 4단계로 되어 있는 것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혼란과 부담만을 주므로 국제적인 추세에 맞추어 유기농인증만 남겨놓고, 나머지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로 관리하고, 유기농인증은 코덱스 기준에 맞추어 시행하는 대신 생산에서 소비자식탁까지 식품안전의 과학적 시스템을 갖춘 국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우수농산물관리 제도를 빠른 시일 안에 정착시켜야 한다.
안전성조사 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기능을 국제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장비보강과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며, 안전성 조사를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조사범위를 생산환경, 병원성미생물로 확대해야 하며, 국내생산 농산물 뿐 아니라 수입 농산물의 품질검사도 서둘러야 한다. 또한 시·군지방자치단체의 담당부서이 농정과 명칭을 친환경농업정챙과로 변경하고 관련업무의 통합과 효과적인 집행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활성화는 생산자와 소비자 정부가 함께 참여하여 추진할 때 가능한 것으로, 적정가격을 형성·유지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생산비 산출이 필요하고 소비자들의 신뢰확보를 위해 생산현장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교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국제기준에 맞는 친환경농산물인증제를 엄격히 시행하여 적격품 생산을 유도하고, 소비자의 건강과 직결되는 농산물 안전성조사를 확대·강화해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국제기준에 고려되는 제도로 보강을 하며 유기축산경영으로 전환 전문 민간기관에 이양, 유통·판매·가공업자와 수입업자에 대한 감독 관리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 농업인들이 자신들의 자력으로 하기엔 규모와 재정을 충당할 수 없다 그렇기에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정책의 과제로는 흙살리기와 유기질 농자재의 개발보급·친환경농업 실천농가의 소득안정·지역단위별 친환경 농업생산주체를 육성·유기축산과 가공부문 육성·농업부문간의 협력체계가 구축·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를 활성화 하며 현장 실천농가의 참여를 확대·GAP로 분류, 지원하고 순수 유기농산물을 분리 지원하며, 지역여건에 적합한 기술보급 체계의 개발·농-소-협-학-정 협동네트워크의 구축·수입유기농 식품과 농산물에 대해 선진국 수준의 규정과 절차를 도입하여야 한다. 정책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함께 병행하지 않는다면 우리 농가는 당연 국제적인 수준의 친환경농업으로 성장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연구논문>
최진용, “유기농업의 원리”, 대학교육, pp.22, 2004.
김용태, “친환경 농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영광군을 중심으로”, 대학교육, pp.15~17, 2006.
허인회, “친환경유기농과 한반도 농업의 방향”, 대학교육, pp.112~123, 2006.
이숙재, “지속가능한 농업 지원정책의 문제”, 대학교육, pp.46~52, 2006.
남영수, “친환경농업정책의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에 관한연구”, 대학교육 pp.82~92, 2005.
서만원, “친환경농업 절전을 위한 정책과제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학교육, pp.20~38, 2002.
<인터넷>
농림수산식품부 http://www.mifaff.go.kr/
친환경정보통합시스템 http://www.ecoi.go.kr/
친환경농산물 정보시스템 http://www.enviagro.go.kr/
원예산업신문 http://원예산업신문.kr/
친환경상품진흥원 http://www.koeco.or.kr/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http://www.naqs.go.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olicy performed by Korean goverment from 2001 to 2005 which includes criter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ground, the development and the rapid propagation of the environment-friend agricultural technology, propulsion of an overall agricultural soil cultivation, way of making the livestock's excrements as the resources, support of the environments-friendly agriculture, activ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enforcement 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ead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several problems of environments-friendly agricultural policy in Korea.
초록
본 연구는 정부에서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기간(2001∼2005)동안 추진한 정책인 친환경농업의 실천기반 조성, 친환경농업의 기술개발 및 농업현장에의 신속한 보급, 종합적인 농토배양추진 및 축산분뇨의 자원화, 친환경농업 육성지원 및 농산물의 유통활성화, 국제협력 강화 등 친환경농업정책의 추진실태를 분석·평가하고 아울러 미국, 유럽 등 주요선진국의 추진실태를 알아보며,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 정책 추진상의 문제점 중 일부라도 해결해 보고자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12.1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8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