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현대문학의 흐름 정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30년대 현대문학의 흐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930년대 문학의 전체적 배경
2. 1930년 사회적 배경
3. 1930년 문학적 배경

1. 30년대 시문학 개관
2. 동인지와 시집의 출간
3. 모더니즘 시운동
※ 주요작가와 작품

1. 1930년대 소설의 경향
2. 제한된 현실에서의 비판적 리얼리즘의 실현
3. 괴로운 현실에서의 도피, 외면
4. 역량 있는 신인들의 등장과 그들의 그 후
5. 그 밖의 작가와 작품


1. 1930년대 희곡의 경향
2. 1930년대 비평

본문내용

촌이야말로 일제 수탈정책이 첨예하게 나타남.) 또한 그는 식민지시대 삶의 질곡과 일제에 대한 항거와 패배를 그렸 고 열악한 노동 현실 묘사하였다. 당시대의 험난하고 고달픈 삶을 리얼하게 묘사하기도 했다.「소」를 끝으로 사회적 모순 폭로가 아닌 리얼리즘에 입각 한 로맨티시즘 작품으로 방향 전환하였다. 작품으로 「버드나무 선 洞里의 風 景」「빈민가」「소」 「당나귀」 「토막」이 있다.
④ 이광래 - 구세대의 몰락과 신흥 세력의 등장을 묘사, 개화기의 사회 변화를 예리하게 분 석 했다. 압제로부터의 해방과 인습으로부터의 해방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 다.
⑤ 김진수 - 식민지시대의 인텔리겐치아의 고민과 좌절 못지않게 일제의 경제침략을 매도 한「길」이 있다.
(4) 서구적 리얼리즘 희곡 추구
소설가들이 인텔리 극작가로 활동 하였고, 식민통치하의 민족적 질곡을 폭로하고 비판하는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우리 근현대 비평사에서 리얼리즘은 일찍부터 폭넓고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는데, 특히 1930년대 중반과 해방 직후, 진보적 문학 진영에 의해 높은 이론적 수준에서 심도 있는 탐구가 집중적으로 행해진 바 있다. 1932년 소련에서 새롭게 제기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프로문학의 창작방법으로 수용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행해진 1930년대 중반의 논쟁적 논의는 흔히 '창작방법 논쟁'이라 불리는데, 카프의 거의 모든 맹원들이 참여할 정도로 대규모적인 양상을 드러냈다.
※ 작가와 작품
① 채만식 - 리얼리즘을 기조로 한 풍속적 극작가로 식민지 시대 민족의 궁핍화 과정을 주 제로 한「간도행」「인텔리와 빈대떡」「부촌」「행랑들창에서 들리는 소리」 와 인텔리의 나약성과 현실에 대한 시니시즘을 바탕으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내포한「가죽버선」이 있다.
② 이무영 - 청년시대의 사상 편력과 방황하는 모습 표출 하였고 반도시적 농촌 동경하였 다. 「펼쳐진 날개」는 서구취향의 도시문명 부정, 농촌과 노동 예찬한 작품 이다. 일제의 식민지 수탈과 그에 대한 항거를 주제조한 「어버이와 아들」, 무정부주의적 사회사상을 표출한「톨스토이」가 있다. 그는 사회에 대처하는 적극적 행동을 추구했고 희곡을 통해 자본주의 허구성 비판, 물질 만능 사상 증오 하였다.
③ 김송 - 구습 타파와 식민지 수탈의 고발 했고, 방랑과 연정을 복선으로 깖으로써 낭만 적 색채가 짙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지나치게 감성적으로 받아들여 센티멘틸 리즘과 허무주의가 기저를 이룸으로 멜로드라마의 구조를 지닌다. 작품으론 「앵무」가 있다.
2. 1930년대 비평
(1) 근대성과 비평
계급 문학의 등장에서 비롯한다고 주장했다. 기본적으로 이식 문학의 성격을 지닌다. 자생적이 아니라 다분히 추상적이다. 임화의 「근대문학사」를 옳다는 관점에서 보면 당시 행정, 법률, 우편 ,교육 등의 거의 모든 제도가 일본에서 들어왔고, 문학 또한 하나의 제도적으로 도입되었으므로 기본 항이 이식 문학이다. 30년대에 들어오면서「농부정도룡 (1926. 이기영)」이후 자생적인 바탕 위에 나온 창작품 등장하고 도식적, 추상적인 레벨에서 어느 정도 과학의 수준이 올라간 점이 30년대 비평의 근대적 성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2) <물논쟁>
1933년 평양 고무공장 사건으로 2년간 옥살이를 하고 나온 김남천의 체험적인 창작물 <물!>을 둘러싸고 김남천과 소위 '물 논쟁'을 벌인다. 이를 계기로 소설비평가로 문단에 주도적인 이론을 전개하기 시작한다.
임화의 논법을 따르면 작가는 어느 곳 어떤 시기에도 당파성을 고수해야 하고, 그 당파성의 기치를 검열이라든가 또는 전술적, 전략적 수준에서 위장하거나 후퇴할 수 없다는 사실, 곧 일원론원칙이 카프의 기본노선이라는 것으로 된다. 말하자면 문학운동이란 문화운동의 일환이며, 따라서 그것은 정치운동이나 경제운동과는 다르다는 것으로 보는 이원론을 배격한다.
김남천이 말하는 실천개념이란 한 개인의 경력 상의 문제에로 치닫고 있다. 바로 실천개념을 개인의 경력 상의 문제로 설정하는 그 순간, 30년대 우리 문학사 및 비평사에는 일원론과 이원론의 거대한 대립적 구성이 성립되었던 것이다. 임화의 일원론과 김남천의 이원론의 분기점은 실천개념의 차이에서 온 것이며, 그 시금석은 바로 레닌주의 노선에 있다.
(3) 일원론과 이원론
계급문학 내부에서 벌어진 일원론 대 이원론의 대립을 축으로 하여 30년대 비평계를 밝히는 일은 비평사의 기본골격을 해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0년대 비평계의 최대의 과제가 이른바 창작방법론이라 함에는 이론이 없을 것이다. 로만개조론을 가운데 둔 이 논의의 핵심에 이론과 실천문제가 완강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 이론과 실천이라는 것이 일원론원칙이냐에 관련된 것임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리고 이 속에는 카프 해산에서 오는 주체성 재건이라는 과제가 완강히 버티고 있음도 여지가 없다. 이론과 실천, 일원론과 신이원론, 주체성 재건 등이 창작방법론을 규정하고 있는 만큼 30년대 창작방법론은 그 나름의 역사적 성격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분석하는 일은 소설사, 비평사의 공동의 과제여서, 어느 한쪽만의 편들기 식의 기술은 무의미할 것이다.
◎ 일원론(임화)
[주인공-성격-사상] 세계관과 창작방법론의 합일하며 객관적 관점을 중시 했다.
◎ 이원론(김남천)
[풍속-사실-생활] 작가의 실제적 실천과 세계관 중시 했다.
< 참 고 문 헌 >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비평사론』, 서울대학교출판사, 200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김재용 外,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신동욱, 『1930년대 한국소설연구』, 한샘출판사, 1994
송희복, 『한국문학사론연구』, 문예출판사, 1995
이강언, 『한국소설의 방향』, 홍익출판사, 2003
이대범, 『한국근대희곡론』, (주)북스힐, 2003
이형기 外, 『한국문학개관』, 어문각, 1986,
조동일, 『한국문학 통사5』, 지식산업사, 2006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95
차혜영, 『한국소설의 모더니즘과 전통 연구』, 깊은샘, 2004
한국문학연구회, 『1930년대 문학연구』, 평민사, 1993

키워드

  • 가격4,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12.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