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층 계획, 엘리베이터 계획, 방재계획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준층 계획, 엘리베이터 계획, 방재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준층 계획(typical floor plan)
⑴ 초고층 기준층 계획의 장점
⑵ 엘리베이터실(elevater shaft)의 배치
⑶ 모듈화 플랜(grid planning)

2. 엘리베이터 계획(Elevator plan)
⑴ 엘리베이터 구획과 코어 비율
⑵ 엘리베이터 서비스
⑶ 배치계획
⑷ 조닝계획
⑸ 안전대책
⑹ 비상용 엘리베이터(emergency elavator)
⑺ 대수산정

3. 방재계획(disaster prevention plan)
⑴ 목표
⑵ 연소의 특성
⑶ 검토사항
⑷ 피난 및 소방활동상의 문제점
⑸ 방재대책
⑹ 방재 시스템의 접근
⑺ 초고층 건물의 화재 사례

본문내용

급기가 활발히 진행되어 화재의 연소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기능도 예상할 수 있다.
마. 배연창 설비는 거실의 제연을 위한 것이므로 모든 거실이 외기에 접하지 않으면 안되는 평면에서 제약이 상당히 크다. 또한 통로에 배연창을 계획하는 것은 원래의 설치목적인 거실의 배연효과나 피난 및 소화활동 측면에서 재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거실 천정챔버(plenum chamber)와 같은 배연방식을 검토, 적용해야 한다. 단, 이 방식의 경우는 천창 속의 기밀성 문제나각 부분에서의 배연효과가 균일화라는 면에서 설계 시공의 어려움이 있다.
바. 아트리움이 있는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흐름과 온도분포를 시물레이션(simulation)을 통 해 적절한 배연설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소방설비계획
초고층 건물은 특성상 화재발생의 경우 소방대에 의한 건물 외부로부터 소화 및 구조활동이 곤란하기 때문에 초기에 자체 소화설비로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관련법규 준수에 만족하지 않고 전층에 자동식 소화설비인 스프링클러설비와 옥내소화전설비가 중복 설치되도록 한다. 특히 건물 내에 아트리움이 있는 경우는 면한 창의 상부와 아트리움에 면한 각 층 통로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 수막설비(water curtain)가 형성되도록 계획해야 한다.
다만, 헤드개방 방식은 물에 의한 피해가 크거나 전기의 절연성 등이 요구되는 전자기기로 취급시설, 전기실 등에는 스프링클러 대신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또는 할론(halon)소화설비를 설치하며, 옥외에는 건물 주위에서의 화재발생시 건물로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옥외소화전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⑥ 기타 사항
상기 내용과 더불어 아래 사항 또한 유기적인 협조와 검토가 있어야 한다.
가. 건축내화계획 및 내장계획
나. 화재의 발견, 통보 및 피난유도계획
다. 소방대의 활동 및 지원설비계획
라. 관리 및 운영계획
⑷ 피난 및 소방활동상의 문제점
① 구조 사다리차가 미치지 못해 외부에서의 진입과 구조 또는 창쪽에서의 방화가 제약을 받는다.
② 근접동선이 길어 통보와 방수 개시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③ 사무용 빌딩은 수용인원의 80% 정도가 피난경로를 알고 있으나, 호텔이나 백화점의 출 입자는 거의 피난로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공포현상이 크다.
④ 초고층 공동주택인 경우 교육, 훈련 부족으로 최저 피난수단을 엘리베이터로 착각하여 피해가 증가한다.
⑸ 방재대책
1) 건축 부재(설계에 반영할 사항)
① 고정 가연물, 적재 가연물에 대한 방호대책을 강구한다.
② 사무실(OA) 운영에 대한 환경대책을 강구한다.
③ 화재 성장속도, 열방출 속도, 착화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2) 화재진압설비(flash over 전에 초기 소화)
① 스프링클러(속도형, 연속확장형) : 주수밀도, 열감용도를 검토한다.
② 수직연결 송수관 : 수압을 고려한 시스템 및 재질을 검토한다.
3) 방화규칙(거실과 피난로 화재 제한, 해당층에 제한)
① 면적, 용도, 수직 개구부의 다양화, 집중화에 따른 특성을 검토한다.
② 바닥, 벽의 내화성능 재재, 내화피복
③ 방화문, 방화, 방연 셔터의 내화 차폐성
④ 관통 덕트(duct), AHU : 자동개폐(연감지기)를 검토한다.
⑤ 주 덕트 블록 단위분담을 검토한다.
4) 피난, 대피수단
① 피난로 확보, 실제 상황시 장애요인을 감안한 통로, 피난 전체시간(피난 개시시간 +flow time)을 검토한다
② 2방향 확보한다.
③ 혼란방지 유도등, 통신설비(방송)를 검토한다.
④ 저층부는 외기와 접촉한다.
⑤ 피난로는 1층, 2층으로 한다.
⑥ 15 - 20층마다 1개층 정도로 완벽한 대피층을 검토한다.
⑦ 비상용 엘리베이터
화재발생시 엘리베이터실에 연기흡입 방지, 방화구획
화재상황에 적합한 옵션으로 중간층 : 바닥 통과 제어 (floor by pass control) 시스템 을 적용한다.
5) 제연설비
재실자의 대피와 소방대의 피난구조를 용이하게 한다.
① 기계 배기, 공기 가압식
② 연돌효과(stack effect) : 대류현상에 의하여 공기유통
겨울에 약 10mmaq(10kg/㎡), 여름에 약 3mmaq(3kg/㎡)의 압력차가 상부에서 유출 하부에서 유입된다.
⑹ 방재 시스템의 접근
설계 초기부터 각종 동영상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simulation pro-gramming)을 통하여 실용화 단계의 화재 모델에 접근하는 방화설계가 필요하다.(연기, 군집이동, 화재경보시스템)
이동을 고려한 정보분석 결과 우선 순위로
① 위험한 곳으로부터 재실자를 대피시킬 것인가?
② 위험요인을 제거할 것인가?
③ 위험한 곳을 방호하여 재실자를 보호할 것인가?
⑺ 초고층 건물의 화재 사례
발생일
건물명
층수
장소
소손정도
사망자
화재현황
1963.1
Empire state Bulding
102층
뉴욕
경미
0
68층까지 수직 확대약 5만명 가량 있었다.
1970.8.5
New York Plaza Bulding
50층
뉴욕
33층 34층 소손
2
33층에 출화 바닥배관 덕트등 마감 불완전
1972.11.5
Johnson Cock Center
100층
시카고
96층부분 130㎡
0
96층 일대에서 경비원이 종이 소각 사후처리 불량으로 재연
1975.2.13
World Trade Center
110층
뉴욕
11층부분 836㎡
0
11층에 출화, 다시 전화단자에서 9-19층까지 전화선 소손
1986.1.2
푸레텐샬 센터
52층
보스톤
14층부분
0
12층에서 발화, 엘리베이터실과 전기실 공조덕트 등을 통해서 52층까지 번짐
1988.5.4
First interstate Bank Bldg.
64층
LA
12층 17층 소손
1
방화구획 불비, 소방설비기능 불량, 연소확대, 복구기간 6개월
1990.7.6
Empire State Bulding
102층
뉴욕
51층 소손
0
발화시 초기대응 미비, 깨진 외벽창을 통해 27m/s의 강풍이 들이닥쳐 소화활동 방해, 비상경보 및 방송이 정전으로 미작동
1993.2.26
World Trade Center
110층
뉴욕
지하2층 주차장
6
폭탄에 의한 폭발사고로 발화, 폭발에 의한 연기와 먼지는 엘리베이터실을 통해 번짐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2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