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상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프로이트

[2] 치료의 과정 1) 치료의 목표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3) 내담자가 겪는 경험
4) 정신분석 치료에 적합한 사람들
5) 정신분석의 구체적인 과정
(1) 분석의 시작
치료 약속과 절차
(2) 분석의 중기
① 저항 (resistance)
② 전이 (transference) c.f) 역전이 (countertransference)
③ 통찰 (insight)
④ 훈습 (working-through)
(3) 분석의 종결
① 분석의 종결에 대한 반응
② 분석의 종결에 대한 지침
6) 상담의 일반적 과정

[3] 주요 기법과 절차
1) 정신분석적 치료의 접근방법
- 해석
2) 자유연상
3) 꿈의 분석
4)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의 자세
- 공감
- 버텨주기
- 간직하기
5) 프로이트 정신분석상담의 증례들
6) 정신분석적 상담의 효과 및 평가

[4] 신 정신분석학파
- 설리반, 아들러, 융

본문내용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해와 통찰- 그는 아파서 자신이 상담을 받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낙담해 있으며 삶을 다시 결정하기 위한 격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의 신념과 목표, 의도를 지속적으로 강조 받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사적논리가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재정립- 대안적 태도, 신념, 행동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자신의 통찰을 새로운 행동으로 연결시키기를 돕는 숙제를 수행해야 한다. 더 이상 과거에 매여 있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격려를 받으며 자신의 삶을 바꿀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통찰만으로는 변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통찰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것을 안다.
8) 치료의 공헌
- 인간적, 통합적, 목표 지향적,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강조한 초기접근중 하나
- 심리상담의 치료의 실제에 공헌, 목적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인간을 이해
- 다른 심리 상담치료 체계에 대해 영향
(가족체제 접근들, 형태치료 ,학습이론, 언어치료, 인지치료)
9) 제한점
- 정확성, 검증성, 경험적 타당서이 부족하다
- 기본개념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거의 없다
- 복잡한 인간 문제를 너무 단순화 시켰고 상식에 너무 의존한다.
융(JUNG,1875-1961)
1) 기초이론
자아는 의식의 심층을 형성하고 있는 의식적인 마음(the conscious mind)
지각/기억/사고 및 감정
(1) 의식과 무의식
- 의식과 자아
* 의식은 프로이트처럼 나와 연관되는 모든 심리적 내용들로 구성
* 자아는 어떤 지각, 생각, 감정, 기억 등이 의식에 들어 올수 있는가를 정하는 문제이기도 하고 성격의 집행자이기도 하다.
- 개인적 무의식과 콤플렉스
* 개인적 무의식 :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무의식을 포괄하는 범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억압된 욕망과 충동들뿐 아니라 단순히 잊어버리거나 지나친 개인적 경험의 내용들도 포함한다.
* 콤플렉스 : 개인적 무의식 안에는 한 무리의 생각들이 뭉쳐서 형성
융은 “사람이 콤플렉스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콤플렉스가 그 사람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는 콤플렉스가 의식적으로 통제되니 않고 오히려 그 사람을 장악하고 일상생활의 흐름을 훼방 놓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ex) 일을 하다가 갑자기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나서 눈물이 나고 나이 많은 남자들을 보면 자기도 모르게 아버지 대하듯 친밀감이나 공포, 적대감을 느끼는 것이다. 스스로 아버지 같이 행동하기도 하는데, 콤플렉스가 그를 장악하여 다른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다.
콤플렉스가 행사하는 힘은 아동기 경험들, 개인적 무의식에서 유래하기도 하지만, 정신의 더 깊은 층인 집단적 무의식의 요인들이 작용하기도 한다.
(2) 집단적 무의식과 원형들
그는 인간이 진화의 역사로 인해 똑같은 몸 구조를 가지고 태어날 뿐만 아니라, 감정과 생각과 행동, 즉 성격의 무의식적 성향들도 공통되게 가지고 태어난다고 믿었다. 집단적 무의식은 근원적 심상 즉, 원형들로 구성된다. 세대를 거듭하여 인간은 누구나 부모가 있었고, 매일 해가 뜨고 지는 것을 보았으며, 출생과 죽음을 경험하였고, 그 결과 개인 경험과 별개로 부모 태양 출생과 죽음들에 대해 공통된 ‘근원적 심상’들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원형들은 상징으로 표현된다.
성격의 형성에 중요한 원형들은 페르조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리고 자아이다.
* 페르조나 :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에 따르는 태도 의식적 자아가 여러 가지로 변형되는 것
* 그림자 : 자아-의식의 숨겨진 측면으로서 장애물로 작용한다. 의식외부의 심리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 즉 개인 무의식만이 아니라 집단 무의식을 가르키는 의미.
* 아니마 : 모든 남성의 무의식 속에는 여성적인 요소가 있다. 이것은 꿈속에서 여성의 인물이나 이미지로 인격화 된다.
* 아니무스 : 여성의 무의식 속에 있는 남성적 요소는 아니무스로 꿈속에서 남성으로 인격화 된다.
(3) 유형론
융은 의식의 일반적 태도를 외내향으로 나누고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네 가지 기본기능을 구분하여 모두 8가지의 유형을 나눈다. => MBTI
2) 프로이트와 융의 다른 점
① 리비도의 개념이 다르다
프로이트는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심리 성욕적 에너지를 중요시하였다.
융은 쇼펜하우어와 하르트만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리비도를 의지의 생명력의 측면으로 보았다. 리비도는 무의식을 벗어나 의식화 할 때 상징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리비도의 방향에 따라 성격의 내/외향성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리비도가 개인 내부로 향하면 내향성 리비도의 방향이 개인외부로 향하면 외향성
*내향적인 사람 : 외부 대상에 대한 성찰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외향적인 사람 : 자기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바깥에서 자기에게 영향을 주는 외부 대상의 탓으로 생각한다.
외향성을 에너지가 주로 바깥으로 분출되며 의식의 내용이 주로 외부 대상으로 향하는 것
내향성을 의식의 내용이 개인의 내부에 있는 주체로 향한다.
② 개인무의식 vs 집단무의식
프로이트는 개인무의식을 강조하고 개인적 경험, 개인적인 무의식을 중요시하였다.
융은 집단무의식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무의식 속에 조상의 유산(집단무의식의 원형)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사회적, 문화적, 유전적 측면인 집단무의식을 강조하였다.
③ 꿈의 해석이 다르다
프로이트는 꿈을 해석할 때 어릴 적의 경험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융은 꿈이 현재와 미래를 암시한다고 보고 이 측면에서 꿈을 해석하였다.
④ 인간관이 다르다
프로이트는 결정론적인 인과 관계적인 측면에서 지금의 나의 모습과 과거모습을 인과적 관계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융은 인간의 주체성을 중시하였다. 개인의 주체적 의지와 생명력의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⑤ 중요시한 측면
프로이트는 성적인 에너지를 중요시하였고, 융은 사회 문화적인 측면을 중요시하였다.
융은 내담자들은 제각기 한 개인으로서 치료해야한다.
각 내담자들마다 나름의 문제와 동기가 있으며, 어느 누구와도 같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내담자 개개인을 고려하는 그의 유연한 진료방식은 특별히 새로운 방법을 추가하는 데 열심히 하기보다는 어떠한 방법도 쓰지 않는다는 식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0.01.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