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철학과 자연사상에 대한 분석 및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재철학과 자연사상에 대한 분석 및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재의 자연관
1) 장재 기의 특성
2) 태허즉기
3) 기와 만물
3. 장재이 인간관
1) 장재 인간관의 의의
2) 천지지성과 기질지성
3) 변화기질과 천인합일
4. 천인합일사상과 환경문제
1) 자연과 환경문제
2) 환경문제와 유학사상의 가치적 함의
3) 천인합일과 환경문제의 해결

본문내용

있을 것이다.
4. 結論
본 논문은 연구 목적은 중국 송대의 기철학의 완성자로 알려진 장재의 철학 사상을 통해 오늘날 환경문제와 인간과의 관계에서 발견되는 문제의 핵심을 진단해보고 유학의 입장에서는 어떤 해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환경을 보호하는 기술을 개발한다던가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는 것, 환경보호법을 재정하여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를 엄단하는 것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적이고도 기술적인 해결방안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위한 근본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없다. 사실 환경문제는 자연이 만든 재앙이 아니라 인간 자신이 만든 재앙이며, 인간 내면의 가치의 위기이므로 기술이나 제도적인 것을 통해 해결하려하기 보다는 사상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더 본질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환경훼손이나 생태파괴와 같은 문제들은 서구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비례해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나타나게된 부정적인 현상들은 그러한 문제들이 드러나는데 있어 이념적 토대가 된 합리적인 것, 이성적인 것, 과학적인 것에 대한 근본 자기모순의 변혁을 해야하는 혁명적인 변화가 요구 되고 있다.
그런데 서구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문명이 초래한 환경문제와 같은 부정적인 현상은 서구적 가치관이나 철학만으로는 치유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환경문제와 같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인식의 태도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더더욱 그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같은 문제들은 주체와 객체의 이분화, 정신과 물질의 이원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 태도는 자연관과 인간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다. 지금까지의 自然은 일반적으로 西歐中心의 물질적, 과학적 자연관으로서 그들의 자연관은 자연을 정복되어야 할 자연, 이용의 대상이 되어야 할 자연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자연은 물질의 集積으로서의 자연이며 因果法則에 지배되어 기계적으로 운행되는 자연이다. 그러나 儒學의 自然觀은 이와는 다른 生命的, 有機的인 자연관이며, 유학에서는 이 자연을 영원히 만물을 生하는 本體라고 파악한다. 생명적 존재인 만물을 生하는 그 자체 또한 생명적 존재라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학의 자연은 생명으로 충만된 자연이다.
장재에게 있어서도 자연관과 인간관은 그대로 나타난다. 장재는 자연과 인간을 근본적으로 동일시함으로써 자연을 단순히 인간이 극복해야 하거나 착취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인간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共存, 共生해야할 동료와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장재가 생각하고 있는 자연관은 태허로서의 氣로 연결되어있는 한 몸과 같은 존재이며, 太虛氣化萬物의 과정을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는 가운데 커다란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만물일체사상을 담고 있다. 그런데 장재의 자연관에서 만물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太虛로서의 氣는 인간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本來性이 된다. 따라서 장재는 기본적으로 인간과 자연 만물이 氣를 중심으로 동일자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장재철학에서 궁극적으로 이루고자하는 천인합일인 것이다.
이미 천인합일사상이 확립되고 나면 이제 더 이상 자연은 인간과 별개의 존재가 아니며, 정복되어야 할 자연,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내 몸과 똑 같은 존재인 것이다.
따라서 장재의 이와같은 천인합일적 자연관과 인간관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식의 전환을 통해 자연은 곧 인간과 공존 공생해야 할 생명체적 존재임을 깨닫게 할 것이며, 나아가 장재의 이와 같은 유기적이고 조화로운 자연관은 이제 인류를 공멸로 이끄는 최대의 위기 요소 가운데 하나인 환경문제를 극복하는데 커다란 사상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參 考 文 獻
[원전]
大學論語孟子中庸(經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90.
周易, 保景文化社, 1991.
張載, 張載集, 章錫琛 點校, 北京, 中華書局, 1978.
程顥程, 二程全書, 景文社, 1981.
[단행본]
金永植 編, 중국 전통문화와 과학, 創作社, 1986.
金炯孝, 孟子와 荀子의 哲學思想, 三知院, 1990.
宋恒龍, 동양인의 哲學的 思考와 그 삶의 세계, 明文堂, 1991.
安炳周, 儒敎의 民本思想,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7.
劉明鍾, 宋明哲學, 螢雪出版社, 1976.
유인희, 朱子哲學과 中國哲學, 범학사, 1980.
李基東, 大學中庸講說,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98.
______, 周易講說上下,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97.
장회익, 삶과 온생명, 솔출판사, 1998.
韓國東洋哲學會(編), 東洋哲學의 本體論과 人性論,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1(5판).
[논문]
孔泳立, 朱子倫理思想의 本質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郭信煥, 周易의 自然과 人間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______, 유교의 만물관-그 법칙과 생명환경과 종교, 1997.
金吉煥, 張橫渠의 形而上學과 天人合一思想, 史叢1718合輯, 高麗大 史學會, 1973.
金錫濟, 張橫渠의 氣論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金聖基, ≪역전≫과 ≪중용≫의 자연과 인간東洋哲學의 자연과 인간, 아세아문화사, 1998.
김영식, ‘氣’와 ‘心’:朱熹의 사상에 나타난 물질과 정신, 한국철학회, 哲學35집, 1991봄.
김충열, 21세기와 동양철학녹색평론, 제17호, 1994.
牟種鑒, 유학과 생태환경공자사상과 21세기, 동아일보사, 한중 국제 학술회의논문집, 1994.
朴璟煥, 張載의 氣論的 天人合一思想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박길용, 우리나라의 환경관련 학문분야에 대한 도전과 전망環境論叢, 제36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길용, 환경문제의 이해환경정책론, 환경정책학회, 1999.
安炳周, 儒敎의 自然觀과 人間觀, 退溪學報제7576합집, 1992.
安銀洙, 張載의 自然認識, 東洋哲學硏究, 제12집, 1991.
咸賢贊, 장재 기철학의 천인합일적 인성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키워드

장재,   장재철학,   환경,   자연,   천인합일,   유학,   변화기질,   만물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1.18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5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