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발을 위한 재개발,재건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개발을 위한 재개발,재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개선사업 개요
1. 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개선사업 비교
2. 시행절차
3. 서울시 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개선사업 현황

Ⅲ. 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개선사업에서 파생된 문제점의 원인
1.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사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2. “주민자치”에 의한 사업추진
3. “독립채산제”에 의한 사업추진
4. 소결

Ⅳ. 결론

본문내용

적율, 기준 공공용지율 및 기준 임대주택 건립비율을 성정하고 여건에 따라 부담금이나 보조금을 지급하여 재정비사업의 개발이익이 균등 배분되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반면 재정비사업시행시 주요 공공시설의 설치는 자자체가 부담하도록 의무화하여 도시계획과의 부조화를 예방하여야 한다. 일곱째, 재정비지역 주민에게 공공주택정책과 연계해 주거선택의 범위를 넓혀 주거안정 및 전반적 주거수준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여덟째, 재정비사업에 대해 주민의 이해를 도우고, 자문을 할 수 있고, 설득하고, 이견을 조정하며, 재정비에 관련된 업무를 명백히 공개하여 불신을 불식시키고, 분쟁을 심사하여 적시에 판정할 수 있는 제3의 상설기관이 설치되어야 사업이 원만히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개선사업에는 도시재개발법, 주택건설촉진법, 임시조치법을 근간으로 도시계획법, 토지구획정리사업법, 건축법, 토지수용법 등 각종법률을 준용, 의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정비사업이 추구하는 본래의 목적인 토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고도이용과 도시기능 회복 및 공공복리증진을 위한 원칙론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대안은 대부분 정책적 사항으로 정치적 과정을 거쳐야 하며, 대안이 결정되면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법정비가 별도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점차적으로 재개발재건축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구분되고 있는 재정시사업을 통폐합하여 단일 도시계획사업으로 추진되도록 법령의 정비가 고려되어야 한다.
< 참 고 문 헌 >
건설교통부(1989), 도시재개발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1994), 공동주택의 재건축실태와 수명연장방안 연구
고은형, 박종택, 최준형, 최무혁(1996), 재건축대상 아파트의 실태와 거주자의 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제1호
고철(1995), 재건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회도시문제연구회 제2차정책토론회
권영덕(1995. 7), 서울시 주택시가지의 재개발정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생활의 질 -주택21, 대한주택공사 국제심포지엄
권용찬(1996), 재건축재개발관련 세무회계에 대하여, 「건설」, 제22권 5호
김영환(1996. 10), 재개발재건축에 대한 공공규제의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1권, 제5호
------(1996. 10),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단지의 주거밀도 및 외부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10호
김우진(1985), 불량주택재개발 주민의 재정착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합동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원인, 「주택금융」1996년 8월호
김우진, 송현영(1996), 주택개량재개발사업 지연요인분석 및 개선방안, 주택산업연구원
김정호(1996), 누구를 위한 재건축인가, 「건설교통」, 1996년 12월호
김철홍(1996. 2), 현지개량사업의 환경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1권 제1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3. 5), 주거환경개선사업 대상지의 특성 및 주거안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28권 제2호
대한주택공사(1992), 불량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1993), 불량주택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1996), 재건축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현옥,김선중(1996. 10), 노후아파트 재건축에 관한 거주자 의식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지」 제7권, 제2호
배순석(1997. 2), 주택조기노후화의 실태와 원인, 「국토」, 국토개발연구원
배순석외(1991), 주택재개발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도시재개발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송영섭, 이은식(1995. 8), 현지개량방식의 주택개량재개발사업의 사례연구, 「국토」, 국토개발연구원
양윤재(1996), 주택재개발사업 이대로는 안된다, 「건설교통」, 1996년 9월호
------(1995), 불량환경 정비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논총 제33권
윤혜정(1996),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주거지역 유형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규인외(1996. 7),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동선체계 합리화 연구, 「주택기술정보」, 대한주택공사
이종렬(1996. 8), Housing Renewal Policy for the Urban Poor in Seoul, Korea-Its Political and Economic Implications, 「국토계획」제31권 제4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장세훈(1994), 불량주택재개발정책 :현황과 대책, 국회입법조사분석실
장태일(1997), 재개발사업의 수익성 제고 방안, 선경건설 O.J.T교재
정완수(1996. 9), 도시재개발제도의 개선방향,「국토정보」, 국토개발연구원
주택정보사(1995), 재건축사업 실무편람
천현숙(1994. 6), 재건축의 경제적 요인과 정책개선방안, 「국토연구」
최막중(1995. 10), 주택정책 및 공간정책의 도시개발 패러다임에 의한 신개발과 재개발의 평가와 대안, 「주택연구」, 제3권 제2호
하성규(1996), 주택정책론, 박영사
한상진(1995),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따른 주거공간의 변화, 「도시행정연구」, 제10집
황미연(1996. 7), 우리나라 주택재개발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시정연포럼」, 제31호
Alan Penn(1995. 7), Housing Redevelop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Housing 21-The Quality of Life,(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KNHC
Nick Bailey and Douglas Robertson(1997), Housing Renewal, Urban Policy and Gentrification,Urban Studies
J. B. Cullingworth, Town and Country Planning in Britain, George Allen and Unwin, Ninth Edition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