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호흡기계,심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호흡기계,심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부전이 나타날 때
개심술시 부정맥으로 인한 응급상황등에 대비하여 삽입.
일시적 인공심박동기의 전극도관
: 흔히 정맥(상완정맥, 대퇴정맥, 경정맥, 쇄골하 정맥)을 통해
우심방이나 우심실에 주입하여 내막에 닿도록 한다.
인공심박동기의 전극도관에 다른 금속이 접촉하면
전선을 통해 심장에 원하지 않는 자극이 전달되어 심실세동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체외 인공심박동기(Exteranal cardiac pacemaker)
비침습적인 시술
(3) 영구적 인공심박동기(Permanent pacemaker)
적응증 : 완전 방실차단(complete heart block),
Adam-Stokes 증후군을 동반하는 동성장애,
방실전도장애 및 빈맥성 부정맥 등
쇄골하 정맥을 통해 우심실 벽에 삽입하고 전원은 국소마취를
한 뒤 쇄골하나 액와부위의 피부 아래에 넣어 둔다.
전원은 주로 lithium을 사용. 10년 이상 쓸 수 있다.
Plutonium은 20년 이상 평생 사용할 수 잇다.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할 때
: 모델 이름, 삽입 날짜와 시간, 전원 삽입부위,
자극의 역치, 심박동수 등에 대해 기록으로 남긴다.
시술 전 준비
- 시술 8시간 금식시킨다.
- 심전도검사, 출혈 및 지혈검사, 흉부 X-선 검사를 하낟.
- 정맥수액선을 삽입한다.
- 처방된 심장약물과 진정제를 투여한다.
- 전원 삽입 부위의 피부준비를 한다.
- 불안수준을 사정하고 시술에 대해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간호
- 전원 삽입부의의 출혈,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 전극도관이 심실벽을 자극하여 심실조기수축이 유발될 수 있다.
전극도관에 의한 심근의 천공으로 기흉, 혈흉, 천공, 심장압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전극의 위치이탈이 있는지 관찰한다.
(심전도 파형의 변화와 딸꾹질)
- 딸꾹질은 전극의 횡격막을 자극함을 의미한다(의사에게 알림)
- 심전도검사로 심박동기의 기능을 확인한다.
- 12시간 동안 침상안정시키고 전원이 삽입된 쪽의 팔은
하루 동안 움직임을 제한한다.
- 첫 6시간 동안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경감시킨다.
- 48시간 동안 아스피린이나 헤파린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 세동제거가 필요하면 전-후형 전극유도판을
가능한 전원에서 떨어진 곳에 둔다.
-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한 경우 퇴원 후 8주 동안은
가급적 신체활동을 피한다. 특히 시술한 팔은 과격한 운동을
삼간다.
1 인공심박동기의 합병증
합병증 : 체내 박동기의 존재로 인한 것과
박동기의 기능장애로 인한 것이 있다.
구체적인 문제점
- 국소감염, 패혈증 or 혈종형성이 정맥 절개부위나
인공심박동기 삽입된 부위의 절개선에 나타날 수 있다.
- 부정맥-전극도관이 심실벽을 자극하여
심실성 조기수축이 나타날 수 있다.(EKG)
- 전극도관에 의한 심근 천공
- 전극도관의 위치이탈, 파손
- 배터리 소모
(4) 간호사정
인공심박동기의 박동수는 조정해 놓은 수보다
5회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5 가변성)
위험한 부정맥의 발생과 같은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
수액을 정맥주입한다.(탈수 예방 위해)
일시적인 인공심박동기인 경우
: 정맥 절개부위를 관찰한다(발적 있는지 check)
영구적 인공심박동기의 경우
: 전원 매몰이 절개부위를 관찰하여 출혈, 혈종형성 or
감염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대상자 주위의 전기기구는 모두 적절하게 접지(ground)하여
전류가 누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류가 잘못 생기면 땀으로 흘려보낸다. ; 가는 파란 선)
(전류기구 있는곳으로 가지 X)
(5) 간호진단 및 수행
1 전원 or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시술 직후 1시간 동안 활력징후를 15분마다 츠겆ㅇ
상태가 안정되면 매 4시간마다 측정
맥박 : 요골동맥과 심첨맥박을 함께 측정(1분동안)
일차적 감염증상 : 종창, 압통, 국부의 열감 등
때로 국소통증 or 배액이 있을 수 있다.
일시적 인공심박동기의 경우
: 전극도관을 삽입하기 위해 정맥절개한 부위를 잘 관찰.
영구적 인공심박동기의 경우
: 전원을 매몰한 절개부위의 감염증상을 관찰
2 전원 or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활동장애
시술 후 48시간 동안 침상안정 시킨다.
침상에서 관절의 수동운동을 하도록 권장한다.
이 때 전원이 매몰된 쪽 사지는 움직이지 않는다.
3 인공심박동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
불안과 공포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4 자가간호에 관련된 지식결여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는 인체기능을 보완하는 신체의 일부로,
평생 지니고 생활해야 하므로 대상자가 이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를 사용하는 대상자를 위한 교육내용
- 활동 허용범위를 알려주고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과격한 신체운동은 피하게 한다.(비슷한 행동 X)
- 요골동맥의 맥박을 매일 1분간 측정한다(&심첨맥박)
- 인공심박동기의 기능부전 증상, 즉
맥박수의 감소, 불규칙한 맥박, 현기증, 실신, 발적과
종창 등의 감염증상을 관찰하고 즉시 보고하도록 한다.
- 투여약물의 이름, 투약시간, 작용, 부작용, 주의점 등에 대해
가르쳐 준다.
- 강한 자력이 있는 곳(ex 전자레인지, 고압발전소 등)은
인공심박동기의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교란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게 한다.
- 전원 매몰부위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다.(생명선?)
- 정기적인 검진날짜를 알려주고 이를 지키도록 한다.
※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호흡과 심장박동이 정지된 대상자에게 상태가 회복되거나
의료기관에 이송될 때까지 생명을 구하기 위해 시행하는 응급시술
심정지가 발생한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면서 인공호흡을 제공.
& 신체 외부에서 심장을 압박함으로써
인위적으로 혈액순환을 제공하는 시술
호흡정지가 발생한 후 최소한 4∼6분 안에 이루어져야만
뇌의 무산소증과 뇌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2사람인 경우 - 심장압박 : 인공호흡 = 5:1 비율
1사람인 경우 - 심장압박 : 인공호흡 = 15:2)
  • 가격3,0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