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제작투자의 활성화 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영화 제작투자의 활성화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영화자본
1.영화자본의 종류
2.제작환경
3.한국의 영화산업과 제작자본
4.영화제작의 체크 포인트
5.영화제작 시스템과 전략
6.한미 FTA와 한국의 영화산업 대응

III.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자본유동화
1.자본유동화의 조건
2.극장수입의 유동화
3.2차 판권시장
4.해외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구조와의 비교

IV.영화수익의 극대화방안
1. 外國의 로열티 유동화사례
2.로열티 유동화의 구조
3.로열티 유동화의 메리트와 리스크
4.법적문제점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형식을 취하고 이러한 취지를 등록하면서 자산보유자 또 는 그 관계회사가 계속하여 라이센스 수수료를 징수하는 경우 만일 징수금이 특정성을 상실하면 금전대상금(ca sh proceeds )으로서도 대항요건을 상실하게 된다는 점이다. 미국 의 판례법상 다른 자금과 동일한 계좌에 입금되어 혼합(commingle)되는 것만으로는 특 정성을 상실하지 않지만, 만일 밑돌게 되면 그 한도내에서 특정성을 상실하게 되므로[期中최저잔고 룰] 계좌의 잔고가 예입액을 하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V . 결론
한국의 영화산업은 쉬리 의 성공을 계기로 이른바 善循環구조가 시작되었다. 이는 스크린 쿼터제와 IMF 외환위기라는 외부 시련을 겪으면서 국내 영화인들이 생존을 쉬리 가 흥행에 성공하자 한국 영화도 볼만하다 , 수익성이 있다 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우수인력과 풍부한 자본이 영 화계로 유입되어 잇따라 대박을 터뜨릴 수 있었던 것이다.
스크린 쿼터란 영화진흥법 제28조에 의하여 영화상영관의 경영자는 연간 대통령령이 정하는 일수 이 상 한국 영화를 상영하여야 한다 고 하고, 동 시행령 제13조 1항에서 연간 상영일수의 5분의 2 이상으 로 규정한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일부 예외조항은 있지만 연간 146일(예외적으로 문화관광부장관위해 내부적으로 경쟁력을 축적해 온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러 잠재되어 있는 危機要因들로 인하여 다시 침체의 늪에 빠질 가능성도 상 존한다. 이러한 위기요인은 한국 영화를 둘러싸고 제작여건의 악화, 변덕스러운 관객의 기호, 투자자본의 철수가능성, 할리우드 영화와의 경쟁 심화 등 모든 영역에 내재하여 있다. 그 중에서도 충무로 영화산업이 저조한 기미를 보이고 수익률이 악화될 경우에는 일거에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도 작지 않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때 그때의 수 익률에 좌우되는 단기성 투기자금보다는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애호가들의 지원을 받아 꾸준한 수입이 확보되는 映畵資源을 바탕으로 자산유동화를 실시하는 것도 한 가지 방 법이 되리라고 본다.
자산유동화의 단위 규모가 적을 때에는 여러 영화사의 자산을 풀로 결집하거나, 우리 자본시장에서 여러 차례 성공을 거둔 발행시장 CBO20) (primary collater alized bond obligation s )를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만, 전자의 경우에는 주간사회사가 유력한 기관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이 중요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당해 증권의 신용보강을 위하 여 금융기관으로부터 보증서, 스탠드바이 신용장, 크레딧 라인 등을 받아둘 필요가 있다. 영화산업의 지적재산권 로열티 수입을 기초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한 사례는 아직 희소 한 편이지만,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언제든지 우리나라의 영화관련 私募유동 화증권에 투자할 수 있으므로 그 전망은 상당히 밝다고 생각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우리 영화계가 안정된 부가적 수입(cash flow )을 올리기 위하여 좀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선 중국과 동남아에 불기 시작한 韓流열풍을 이용 하여 邦畵의 수출을 늘려야 한다. 이상적으로 한국 영화가 자생력을 가지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내수와 수출이 1 대 1 은 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영화의 특성이랄 수 있는 Multi- Use 의 속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위성 방송, VOD, 인터넷 영화관 등 새로운 매체에 대한 판로를 확대하고, 점차 VCR을 대체 할 것으로 보이는 DVD에 대한 附加版權을 적극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법적으로는 영 화의 상업적 사용이 늘어나고 유·무선 인터넷 등 새로운 매체가 등장함에 따라 날로 복잡해지는 著作權의 개념과 범위를 계약서 상으로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등이 최고 40일까지 단축하면 106일) 이상 한국 영화를 상영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한국 영화는 지금 까지 흥행성적이 좋은 편이었지만 언제까지나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 대작을 능가하리라는 전망이 불 투명한 까닭에 스크린 쿼터 에 매달리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관광·레저가 성행할 것에 대비하여 강릉 근교의 정동진처럼 유명한 영화 로케 장소를 관광지로 개발하거나,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같이 영화의 특수촬영 장소를 테마 파크로 조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法律의 관점에서 한국 영화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영화제작에 외부자본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을 공고히 하려면 통상마찰의 위험을 무릅쓰고 스크린 쿼터제를 고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이와 같이 자생적인 선순환의 모멘텀을 축적해나갈 수 있도록 제도여 건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영화 제작자본의 투자활성화 정책에 대한 연구 : 대기업 영화제작자본
南智元 저 | 東國大 文化藝術大學院 발행, 연극영화 전공
한국영화의 제작활성화를 위한 열 가지 투자방법
구문모 저 | 産業硏究院 발행
영상투자조합이 한국영화 제작활성화에 끼친 영향
원천식 저 | 추계예술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발행, 문화산업경영 전공
한국영화의 구조적·행위적 요인과 흥행성과의 관계
김 숙 저 | 이화여대 대학원 발행, 신문방송학 전공
가치사슬 확대를 통한 영상콘텐츠 활용방안
임준철 저 | 중앙대 예술대학원 발행, 영화 전공,
WTO 및 뉴라운드의 시장개방압력과 한국영화의 중장기 발전전략
심광현 [공저] 저 | 영화진흥위원회 발행, 2000
WTO 가입 이후 중국 영화산업의 변화와 전망
박희성 저 | 영화진흥위원회
국제공동제작에 관한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저 | 영화진흥위원회 발행, 2001
저작권법상 영상저작물의 특례조항에 관한 고찰
홍준기 저 | 경희대 대학원 발행, 법학 전공
한국영화제작의 투자형태 : 용가리 영화제작 투자형태를 사례로
윤현숙 저 | 중앙대 예술대학원 발행, 영화 전공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한 문화산업 투자 활성화 방안 : SPC도입을 중심으
우덕제 저 |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발행, 방송 전공
한국영화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강도영 저 | 연세대 대학원 발행, 신문방송학 전공
프로젝트 기반 조직의 경쟁력 : 한국 영화산업을 대상으로
소민재 저 | 고려대 대학원 발행, 경영학 전공
  • 가격6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