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교육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화의 정의와 특성

2. 문화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및 목표와 기능 ․ 역할

3. 문화 교육 방법

4. 문화교육의 기술

5. 한국어문화 교육의 방법

6. 교재 속에서의 문화교육

7. 한국어문화교육의 방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 12과 - 은어(p.163) /
13과 - 의성어와 의태어(p.176) / 14과 - 감탄사(p.190) /
15과 - 지명과 관련된 관용표현(p.203)
이 책에서는 교재 구성표에 ‘언어와 사고’의 항목이 마련되어 한국어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각 과에 읽기 활동과 연계하여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4과에서 ‘당구장, 목욕탕, 금은방’ 등을 한국만의 독특한 표지로 설명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범할 수 있는 비언어 의사소통의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9과의 몸짓언어 소개 역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외래어, 사투리, 은어 등은 지역적, 사회적 방언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중국인 학습자, 재중동포 학습자의 증가가 눈에 띄는데, 이들의 외래어 학습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도 속담, 관용표현, 비유적 표현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고 있어, 한국어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언어와 사고 항목 외에도 거절 표현에 대하여 읽기 지문을 통해 설명하고 있고, 사죄 표현에 대하여도 비격식적 사죄, 격식적 사죄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말이 트이는 한국어Ⅳ’에서는 ‘재미있는 한국어’라고 하여 관용표현을 소개하고 있으며, 토론을 위한 표현이라고 하여 다음과 같은 상황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때 / 상대방의 의견에 찬성할 때 / 상대방 의견에 반대 반박할 때 / 상대방을 설득할 때 / 자신의 의견을 주장할 때 / 제안을 할 때 / 상대방 의견을 유보시킬 때 / 부연 설명을 할 때 / 사회자가 토론을 이끌 때 / 토론된 내용을 종합하여 말할 때
토론을 위한 표현도 단순히 표현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토론에 대한 한국어 화자들의 태도들을 함께 교육할 수 있다면 한국어문화 교육이라는 측면에서도 의의 있는 교육내용이 될 것이다. 조현용.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7. 한국어문화교육의 방향 민현식(2003).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Foreign languages educati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429~452
7.1 문화형 교육과정의 교수요목이 개발되어야 한다.
- 각 기관에서 나온 한국어교재들을 보면 한국 문화내용의 편차가 많아 초급에서부터 필요한 문화항목이 무엇인지 한국어 교육 담당자들부터 공통 인식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한국어 문화교육은 언어 습득과 언어 능력 신장을 위하는데 충실하도록 문화 항목의 선정, 문화 표현의 등급화를 통하여 교수설계 해야 한다.이를 위해 다음 기준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1) ‘당대문화-전통문화’, ‘현상문화-가치문화’의 영역 기준에 따른다. 당대문화, 현상문 화를 먼저 제시하고 전통 문화, 가치문화를 나중에 제시한다.
2) 기본영역(신체어, 의식주 관련어, 친족어, 자연 사물어)→ 일반영역(가정 생활, 학교 생활, 직장 생활, 사교 생활, 남녀 생활, 취미 생활)→ 특수영역(한글 문화, 한국인의 사유 구조, 한국인의 정치 경제 종교 생활, 한국사, 국민성)등의 추상적 문화항목으로 확대하면서 문화 관련 표현어를 선정 배열해야한다.
3) 50대 문화 항목을 선정하여 초급 10개→ 중급 20개→ 고급 20개를 순차적으로 배 열한다.
4) 어휘빈도 등급에서 문화 관련 표현만을 초 중 고급별로 추출, 배열할 수 있다.
7.2 한국어 교사교육과정이나 학습자 교육과정에서 문화 중심 교육과정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국내외 한국어 교사양성과정은 초기 단계라 문화 중심 교육과정이 미진한 감이 있다. 일본의 경우 교사양성과정에 ‘이문화(異文化)’영역이 있어 “이문화 접촉, 이문화 심리, 언어문화상대주의, 다문화주의, 이문화간 문제, 이문화간 교육, 다문화 교육, 국제비교교육, 국제이해교육,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훈련”등의 교과가 부과되고 있어 문화 중심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3 효과적인 한국어문화교육은 한국어문화교육의 요구분석, 사후 평가가 교수학습법 연구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아무리 한국적인 고유문화를 정성껏 준비하여 가르쳐도 정작 학습자가 별 반응이 없고 지루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 요구분석 못지않게 반응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유하고 토속적인 한국 문화를 가르친다고 해도 학습자의 반응은 부정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반응평가 분석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반응은 문화수업 중에 한국 문화를 토의, 비판하는 시간을 가져 학생들의 솔직한 평가를 유도하는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한국어 교육에서는 포괄 관점의 문화 교육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50개 정도의 문화항목을 설정하여 초 중 고급별로 가르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초 중 고급별 어휘빈도에서 문화 표현들을 추출하여 위계화하여 가르치는 것이 점진적 효과가 있다.
- 참고문헌-
국제 한국어 교육학회(2005).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전망. 한국어 교육론 2. 한국문화사
민현식(2003).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Foreign languages educati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429~452
박영순(1989). 제2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P43~59
박영순(2002).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성기철(2001).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 한국어 교육 12권 2호
조항록(2000).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 교육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153~173
조현용(2005). 한국어 교육의 실제. 유씨엘
조현용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한재영 외(2005).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