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의 의의와 역할,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업무,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현황,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외국 사례,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제고 방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공도서관의 의의와 역할,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업무,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현황,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외국 사례,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제고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공공도서관의 의의

Ⅲ. 공공도서관의 역할
1. 지역사회 정보센터
2. 지역사회 문화센터
3. 평생교육기관

Ⅳ.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업무
1. 법령에 나타난 독서교육 업무
2. 공공도서관 사서의 독서교육 업무

Ⅴ.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현황

Ⅵ.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외국 사례

Ⅶ.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제고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서관이용과 함께 이야기하기에 대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콜맨(Coleman)은 공공도서관에서는 어린이들의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성인들의 독서지도 능력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을, 케르나한(Kernaghan)은 이야기하기프로그램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에서는 먼저 부모들에게 이야기 시간을 응용할 수 능력을 기르는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미국 공공도서관에서는 여름 방학 동안에 어린이들의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Vaction Reading Club(VRC) 활동 프로그램을 1940년부터 계속하여 전개하고 있다.
오늘날은 여름방학에만 실시되는 SRP(Summer Reading Programs)이란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다. 미국 공공도서관에서는 SRP프로그램을 홈페이지를 통하여 주민들에게 홍보하고 있는데, 특히 San Juan Island Library 에서는 Reading is a Picnic이라는 슬로건 하에 대중과 독서가족 중심의 프로그램을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Ticknor교수는 공공도서관은 우리가 바라는 자유교육제도의 마지막 보루가 되어야 하며, 또한 공공도서관은 독서에 의한 자아개발을 통하여 그러한 제도의 효과를 계속 증진시키는 데 적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Ⅶ.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독서지도) 제고 방향
독서교육을 실시하기 이전에 학생의 독서 흥미도와 습관, 관심 주제 분야 등을 조사하여 독서교육 운영에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같은 4학년이라도 독서흥미와 수준 및 관심 분야에 개인차가 있는 어린이들을 구분하여 반을 편성하고 각 반의 계획을 달리하면 중복되는 주제가 많았다는 반응에서 볼 수 있는 획일성을 다양화할 수 있는 계기를 자연스럽게 마련하게 될 것이다.
셋째, 독서교육이 연례적이고 형식적인 도서관 주관 행사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융통성 있는 운영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에게 하루 7교시로 가득 찬 시간표 및 매년 거의 다를 바 없는 독서교육의 학습 내용 구성으로는 어린이들이 `하루 수업시간이 너무 길다\', `그림 및 글쓰기 활동 등이 벅차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독서교육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업내용과 상관없이 몇 시에 시작해서 몇 시로 정확하게 끝나는 일률적인 시간 배정이 아니라, 지도할 내용에 따라 어떤 시간은 1시간이고, 다른 어떤 시간은 1시간 30분인 등 융통성 있게 독서교육 운영 시간표를 짜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독서교육 학습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각 선정 도서의 내용 및 성격과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독서감상문 쓰기, 원고지 작성법 등과 같은 독서활동이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독서교육의 독서지도에 있어 어린이들의 독서에 대한 호기심 및 관심을 주기 위해서는 다양하고도 창의적인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연구실시 될 것을 추천한다.
넷째, 독서교육의 목적달성 및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독서교육을 담당하는 사서의 재교육 및 독서지도 담당사서의 확보가 필요하다.
독서지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나 청소년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과 자질이다. 바로 이 전문사서의 능력과 자질이야말로 독서교육을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름길이며 독서교육 운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지도는 어디까지나 개별지도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한 사람의 담당 사서가 많은 수의 어린이를 지도할 수 없다. 많은 수의 어린이를 지도하는 것은 곧 질적 저하를 의미한다.
현재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에서는 이러한 독서교육을 각 과목의 강의를 일부 한정된 외부강사에게 계속적으로 할당하고 있거나, 과다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서가 담당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경우도 2명의 사서만이 독서교육 운영을 담당하고 있어서 업무가 과다한 관계로 현상유지를 하는데 급급하여 창의적인 프로그램의 연구에 미흡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므로 독서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사서를 발굴확충하고, 질적으로 독서지도를 전문적으로 교육받은 사서들이 독서교육을 담당하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
Ⅷ. 결론
21세기는 초고속 정보화 시대이다. 클릭 한번으로 루브르 박물관의 작품 감상이 가능하고 30초면 불국사에 대한 자료가 쏟아져 나온다. 이에 더하여 한국출판연구소의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초등학생들의 평균 독서량과 독서시간이 크게 줄고 있는데 독서량이 감소된 까닭을 물은 질문에 대해 1위가 공부, 숙제, 학원 수강 등으로 시간이 없어서, 2위는 독서습관이 안돼 있어서, 3위 PC통신, 인터넷, 컴퓨터 게임 등으로 시간이 없어서라는 결과가 나왔다.
물론 도서관 이용자가 줄어드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고, 量보다는 質적인 이용자를 수용하는데 의의를 둘 수 있지만, 이젠 많은 자료의 수집과 잘 정리된 도서관 운영만으로는 도서관이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 기반위에 도서관 사서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연구 활동 또는 독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직하고 지도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즉 독서지도 전문가로 나서야 한다.
또한 도서관 이용자는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읽을 자료가 너무 많아 일일이 다 읽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고,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는 책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사서가 나름대로 연구하여 분야별, 계층별 독서 자료를 선정해 체계적인 독서지도가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효정,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 도서관연구 10
▷ 김승환, 독서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독서클럽 활동중심의 공공도서관 역할 도서관연구 10
▷ 곽주원,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생각해 보며-도서관운동제3권 4호
▷ 도서관 교육연구회편(1972), 새도서관 교육, 서울 형설출판사
▷ 배한원(1993), 공공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독서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대 대학원
▷ 신현재 외3인(1999),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 임윤철,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운영에 관한 고찰, 도서관연구 2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