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국민정체성][문화정체성]정체성의 개념, 국민정체성의 개념, 문화정체성의 개념 고찰과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관계 및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특성에 관한 분석(국민정체성, 문화정체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체성][국민정체성][문화정체성]정체성의 개념, 국민정체성의 개념, 문화정체성의 개념 고찰과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관계 및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특성에 관한 분석(국민정체성, 문화정체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정체성의 개념

Ⅲ. 국민정체성의 개념

Ⅳ. 문화정체성의 개념

Ⅴ.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관계

Ⅵ.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특성
1. 변경문화 - 필연적인 사대주의와 열등의식
2. 필사적 민족주의(집단주의) - 민족문화 생존을 위한 투쟁의 잔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결론적으로 말해, 오늘날 국민정체성은 많은 오해와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개방된 현대사회에서 국민정체성이 더 이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고 단정하는 것도 오류이지만, 그렇다고 오늘날의 문화적 흐름을 국민정체성의 시각에서만 바라보기에 개념이 너무 빈약한 것도 사실이다.
요컨대, ‘고유한 민족문화’의 보호에 초점을 맞추는 민족정체성의 개념은 자연히 수구적이고 폐쇄적인 측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문화정체성은 보다 포괄적이고 유연한 내포를 지닐 수 있다. 즉 문화정체성에 대하여 민족정체성이 하나의 구성요소는 되지만 전체를 포괄하지는 못한다. 이처럼 개념적인 전환이 필요한 까닭은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그 근본 원인이 있다. 그러나 문화의 국경이 모두 무너지고 지구촌의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는 성급한 진단에 쉽게 동조하는 것도 문제가 없지 않다. 이런 점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화와 문화정체성간의 관계를 살피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Ⅵ. 국민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특성
1. 변경문화 - 필연적인 사대주의와 열등의식
한국은 지리적으로 대륙의 극동에 위치한 반도로 만주벌판을 지배하던 고구려나 발해 시대를 제외하고는 언제나 중국대륙의 강대국에(특히 물리적인 면에서) 밀리는 소국(小國)이였다. 그러나 일본과 같이 섬으로 독립되지 못하고 대륙에 붙은 반도라는 특성으로 인해 중국이라는 강대국과 지리적으로 가장 밀착되어 있어 왔다.
그 같은 특성으로 인해 한민족은 정복당하지 않고 살아남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국가의 힘이 강할 때(고구려나 발해)에는 당당히 맞서 영토전쟁을 벌이기도 했지만 중국이 통일국가로 안정되면서 한반도는 정복하지 못한 골치덩어리로 인식되었고 그에 따라 한반도는 자발적으로 ‘중국의 아랫사람으로 생존할 것’ 즉, 종속적 국가파악을 자처할 수 밖에 없었다.
2. 필사적 민족주의(집단주의) - 민족문화 생존을 위한 투쟁의 잔존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한민족은 사대주의와 열등의식을 오래도록 가지고 있어 개화기에 이르러서도 변경국가로서의 기질을 버리지 못하고 그 의존 대상만을 옮기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일제식민의 경험을 하면서 민족성의 위기를 느꼈고 특히 일제가 민족문화말살 정책을 펴기 시작함에 따라 민족문화의 명맥을 잇기 위한 안간힘을 다한 투쟁이 시작되었다. 그 현상으로 ‘한국적’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한국적’의 개념은 심리학적 측면보다는 철학적 측면의 형이상학적 이해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런 현상은 한국인 특유의 집단주의, 가족주의와 결합하여 독특하게도 ‘우리문화를 반드시 우리가 사수해야 한다. 너도 나도 반드시 그래야 한다.’ 는 필사적인 민족주의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해방 후에도 한반도의 사정은 안정되지 못하고 남한은 절대적인 미국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21C초가 되기까지 차츰 진정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계속되어 현재에도 세계화에 대한 올바른 우리의 자세는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지만 오랜 시간 역사와 문화 속에서 형성된 사대주의 경향과 극단적인 집단주의 경향은 현재 한국인들의 문화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고문헌
김의수 - 한국 사회와 공동체·세계화와 자아 정체성, 이학사, 2001
김채은 -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양식, 이화여대 출판부, 1988
강현두 - 한국의 대중문화, 나남, 1987
박이문 -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민음사, 1996
안귀덕 외 - 한국사회의 변화와 자아실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알프레드 그로세르 - 현대인의 정체성
탁선산 - 한국의 정체성, 2000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