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학습내용(전반적인 것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호흡음 청진
-산소 투여 방법
-기관 삽입술 환자 간호, 기관 흡인시 간호,기관 절개 환자 간호
-진단검사와 간호
-흉곽수술 환자 간호, 흉관 배액 환자 간호
-인공호흡기 적응환자 간호(적응증, 종류, 간호, 합병증, 제거 기준 등)
-MRSA,VRE 관리
-호흡기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
-호흡기 질환에 대해서

본문내용

해 집니다. 흉부 X-선 촬영시 폐에 어두운 부분이 보입니다.
합병증으로는 폐결핵,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emphysema), 기흉(pneumothorax ), 늑막염, 폐염, 폐 화농증, 폐암 등이 있으나, 이들 중 진폐법에서는 다음의 5가지 질병을 합병증으로 하고 요양의 대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1) 활동성 폐 결핵 2) 결핵성 늑막염 3) 속발성 기관지염 4) 속발성 기관지 확장증 5) 속발성 기흉.
◎ 치료방법
현재로서는 치료할 수 없는 질환으로 되어 있으나 증상을 경감시키는 방향으로 치료를 합니다. 진폐증에 의해 생명이 단축되기는 하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60대와 70대까지도 살아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을 경감시키며 폐감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감기와 같은 호흡기 감염에 대해 의료적인 치료를 받게 합니다. 질병이 진전되면 따뜻하고 건조한 곳에서 생활하도록 합니다. 약물요법은 대증요법 위주로 항생제, 기관지 확장제 등을 사용합니다.
-Pul. paragonimiasis[폐흡충증]
Westerman(1877)이 호랑이의 폐에서 처음 확인,
Braun(1899)은 Paragonimus westermaani라고 명명.
극동지역에 분포 - 중국, 만주, 태국, 월남, 인도, 말레이, 솔로몬, 사모아, 뉴기니아, 일본, 대만, 한국 등.
우리 나라는 허 균(1610)의 동의보감에서 폐충이라고 기재, 폐토질, 토혈증으로 불리어 왔다. 함경북도 일부를 제외한 전국에서 발견, 특히 전남, 제주도 지역.
Walton 및 朱(1959)에 의하면 9,711명에 대한 피내반응 검사 결과 12.9% 양성, 보사부와 대한적십자사(1965∼1967)에서 주민 37,465명에 대한 피내반응검사 결과 7.5%가 양성. 최근 많은 감소.
◎ 생활사
기생부위는 폐장.
산란된 충란은 객담(또는 대변)과 함께 외부로 배출 - 수중에서 miracidium으로 발육 - 제1중간숙주(다슬기)에 침입하고 sporocyst - redia - 짧은 고리가 달린 cercaria 가 유출 - 제2중간숙주인 가재(crayfish)나 게(crab)에 침입, 아가미, 내장 또는 근육에 침한 후 피포되어 피낭유충(metacercaria) - 사람이 섭취하면 십이지장에서 탈낭, 어린 충체는 장벽을 통과 - 복강 - 횡경막을 관통 - 흉막강을 지나서 폐에 침입하여 성충으로 발육. 감염 후 산란하기까지는 60∼90일.
※ 폐흡충의 숙주
제1중간숙주 ; 제1중간숙주가 될 수 있는 패류는 Semisulcospira(Melania) sp. Assiomenia sp.가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Semisulcospira libertina(다슬기)가 중요.
제2중간숙주 ; 제2중간숙주는 담수산 갑각류인 가재와 게.
가재는 Combaroides similis(참가재) 1종만 알려져 있고 게는 Eriocheir sinensis(참게), Eriocheir japonicus(동남참게), Sesarma dehaani(말똥게) 등이 중요. Metacercaria는 아가미, 근육, 내장 등에서 발견되며, 朱(1966) 등은 제주도산 참게의 64.2%에서 metacercaria를 발견, 게 1마리가 최고 1,165개의 metacercaria 보유.
종숙주 ; 사람 이외에 호랑이, 여우, 늑대, 곰, 돼지, 개, 쥐 등이 보유숙주.
◎ 형태
충란 ; 크기는 80μ∼118μ×48μ∼60μ, 난원형, 황갈색.
난각은 비교적 두껍고 난개가 있으며 충란 내에는 1개의 난세포와 다수 난황세포. 충란 후단의 난각이 약간 비후.
피낭유충 ; 구상. 직경 0.3∼0.4mm의 크기, 운동성이 있는 유충은 구흡반과 복흡반이 관찰됨.
성충; 자웅동체, 크기는 7.5mm∼12.0mm×4mm∼6mm×3.5mm∼5.8mm.
담홍색의 충체의 표면에 소극, 전단부에 구흡반과 충체의 중앙부에 복흡반.
충체의 후반에는 좌우 양쪽에 고환, 복흡반의 왼쪽에 6분지된 난소. 복흡반 오른쪽 하단에 rosette형의 자궁.
◎병리와 증상
충낭(worm cyst)을 형성하면서 기생, 숙주의 allergy성 반응, 충체의 기계적 작용, 대사산물에 의한 자극 등 - 세포의 침윤과 결체조직이 증가, 만성적으로 화농성이나 괴양성 또는 결핵성 병소를 형성, 석회침착 등이 일어난다.
충낭 내에 점도 높은 혈색의 화농성액체, 부패물질, 백혈구, 적혈구, Charcot-Leyden 결정체, 충란 등이 내포. 진전되면서 기관지확장, 가성 폐염(pseudopneumonia), 유결핵성 농양(tuberculoid abscess) 등이 유발.
증상은 기침, 객담, 객혈, 흉통(胸痛), 두통, 위장증상 등, 異所的寄生(ectopic infection) 때에는 기생의 부위, 시간 등에 따라서 다르다.
※ 이소적기생(ectopic infection)
충체의 다수 감염시에 정상기생 부위가 아닌 부위에 침입 정착, 폐흡충의 경우에는 폐 이외에 뇌, 복벽, 복막, 흉막, 척수, 근육, 안부 등 전신에 이소기생.
특히 뇌폐흡충증(cerebral paragonimiasis)에서는 간질증상과 신경증상, 반신불수, 시력장애, 실어증, 전신마비 등.
◎ 진단
객담검사 ; 특이한 쇠녹빛깔의 객담을 직접도말하여 검경. 5% NaOH 용액에 객담을 소화시킨 후 집란법을 응용.
대변검사 ; 집란법을 응용. 40∼70% 정도에서 충란검출이 가능, 특이 소아에서는 객담을 삼키는 일이 많으므로 대변검사까지 겸하여야 한다.
면역, 혈청학적 진단법 ; 특히 이소적기생에서 응용, VBS 항원을 이용한 피내반응 검사(intradermal test) - 보조적 진단.
보체결합반응 - 치유 6개월 후에는 음전되므로 진단적 의의, 기타 ELISA 법 등도 진단적 가치가 있다.
X-선소견 ; X-선에 의하여 특이한 음영으로 진단하기도 하나 검사결과를 참고.
◎ 예방
덜 익힌 민물 게나 민물 가재, 맷돼지 근육 등을 먹지 않아야 한다. 현증 환자에 대한 집단 투약 등이 다소 도움이 되나 자연계 생활환(sylvatic life cycle)을 끊기가 어렵기 때문에 효율적인 관리 대책이 되기는 어렵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2.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