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브럼스의 비평 이론, 로만 야콥슨 의사소통 모델과 문학비평에의 적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M.H 에이브럼스 이론 - < 거울과 등불>
1) 에이브럼스의 비평 이론 대입
- 모방이론, 객관이론, 실용이론, 표현이론
2) 비판과 한계

2. 에이서 버거의 비평방법의 사각형 도식

3. 로만 야콥슨 의사소통 모델과 문학비평에의 적용
1) 로만야콥슨 의사 소통 모델
2) 비평에의 적용
- 역사비평, 형식주의 비평, 구조주의 비평, 독자반응 비평

본문내용

실제로 텍스트를 창조하므로 작품 해석에서 ‘독자들’과 그들의 ‘반응’을 중시
-형식주의 비평가들은 편협하고, 독단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이며, 독서 해석 과정에서 독자들의 자리를 거부한다고 비판
-독자들에게 해석에 있어서의 주요 역할을 할당
※ Robert C. Holub: 독자반응비평, 수용미학, 수용이론을 구별
수용미학(수용이론)
-처음에는 Hans Robert Jauss의 초기 이론적 저술만을 한정하는 용어로 사용하였으나, 후에는 독자의 수용적 측면을 지향하거나 중시하는 독일의 문학이론 일반을 지칭하는 비평이론을 가리키게 됨
-1960년대 말 서독에서의 사회적지적문화적 발전에서 비롯된 이전의 비평이론에 대한 하나의 반동. 비평가 상호간에 유대가 성립되는 의식적집단적 비평운동으로 학파를 형성
-독자가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생각하는 역동적인 참여자라고 보는 독자반응 비평방법은 주관적 감성을 중시하는 낭만주의로 발전한다. 낭만주의는 작가, 예술가는 신적인 존재로서의 창조자이다.
독자반응비평(독자중심비평)
형식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1980년대 미국에서 시작. 비운동성, 비집단성, 비학파성을 지님
수용미학(수용이론)
독자중심비평(독자반응비평)
독일 불문학자 Jauss가 정립
W. Iser가 체계화시켜 구현
60년대부터 유럽에 파급
의식적집단적 문예운동
독일 영문학자 W. Iser가 주창
미국의 J. P. Tompkins 등이 보급
80년대 이후 미국에서 성행
비의식적비집단적인 비평운동
현상학과의 관계
*현상학: 의미를 결정하는 데 있어 지각자(perceiver)의 역할을 강조하는 현대 철학의 한 경향
1) Edmund Husserl의 객관적 관점
철학적 탐구의 고유대상은 의식의 내용이지 외부세계의 객체가 아니다. 우리는 의식 속에 나타나는 사물들, 즉 현상에서 그것들의 보편적본질적 성질을 발견한다. 결국 모든 개인의 정신이 의미의 중심이자 기원이다. 즉, 문학 작품은 독자가 읽어줄때만 의미를 갖는 것이고, 독자의 의식이 없는 문학 작품은 흰 종이와 검은 잉크일 뿐이라 비유한다.
→ 문학이론에서 한 작가의 작품세계로 들어가 그 글의 근본적 성격이나 본질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려는 비평 유형을 낳음
독자반응비평의 특징
독자에게 미치는 문학작품의 효과 강조.
텍스트를 부차적인 위치로 떨어뜨리고 텍스트 권위를 공격. 주관주의가 들어옴
⇒ 즉, 독자반응비평에서 중요한 요소는 독자와 독자 대 텍스트의 효과(영향)이다.
문제점 및 한계점
주관주의의 위험이 있으며, 독자들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문학의 개념이나 가치에 대한 객관적인 규명이 어렵고 독자의 의식상태를 객관적으로 도출하기도 어려움
텍스트를 작가와 독자가 공동으로 창작할 때 작가의 심미적 체험이 경시되고 있다는 점
한 작가의 여러 작품을 여러 독자가 수용할 때 독자의 기대 지평과 작가의 기대 지평은 큰 편차가 나기 쉽다는 점
훌륭한 작품을 수용미학적 입장에서 어떻게 가려낼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점
자칫하면 해석의 홍수 속에 파묻힐 수 있다는 점
독자반응비평이 형식주의 등을 비난하지만, 방법론으로 볼 때 그 속성을 이어받은 것은 아닌가 하는 점
긍정적인 면
독자반응비평에 와서야 문학적 구성요소에서 독자의 위치가 격상되었고, 독자의 설정 없이는 문학연구나 문학사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됨
문학적 독단주의에 대한 개선책. 생존력 있는 문학적 해석의 풍부함, 복잡성, 다양성 암시
문학의 내적외적 방법을 통괄하여 역사적 인식뿐만 아니라 심미적 인식을 담당하는 독자의 역할까지 밝힐 수 있음
문학 = 역동적인 과정
문학은 하나의 결과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독자가 작품을 읽는 동안 일어나는 하나의 사건이다. 이런 과정에서 독자는 문학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내는 역동적인 참여자가 된다.
→ 독자는 3종류가 있는데,
-실제 독자(the real reader): 실제로 책을 읽는 독자
-가정된 독자(the virtual reader): 작가가 자신의 글을 읽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독자
-이상적 독자(the ideal reader): 작품을 완전히 이해하고 동감하는 독자도 포함된다.
※ 정리: 문학 비평 방법은 작가를 중시하는 역사비평방법 → 텍스트를 중시하는 형식주의 비평방법 → 독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독자반응 비평방법으로 이동해왔다. 이 과정은 로만 야콥슨의 의사소통 모델인 발신자 → 메시지 → 수신자 의 과정과 상통한다.
참고문헌
<문학이란 무엇인가>, 김욱동,
<문학비평론>, 박태상 외 1명, 한국방송대출판부, 1999.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2.23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