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악][민속악]정악과 민속악, 문묘제례악(문묘제례악의 역사, 문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종묘제례악(종묘제례악의 역사, 종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판소리와 민요, 잡가, 산조, 가곡, 시조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악][민속악]정악과 민속악, 문묘제례악(문묘제례악의 역사, 문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종묘제례악(종묘제례악의 역사, 종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판소리와 민요, 잡가, 산조, 가곡, 시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악과 민속악
1. 정악
1) 도드리(환입:還入)
2) 영산회상
3) 천년만세
4) 취타(만파정식지곡)
6) 수제천
7) 보허자, 낙양춘
2. 민속악
1) 시나위
2) 산조

Ⅱ.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1. 역사
1) 문묘제례
2) 팔음
2. 음악적 특징
3. 등가와 헌가
1) 음려
2) 양률
4. 문무와 무무
5. 의식의 절차와 음악

Ⅲ.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1. 역사
2) 영녕전
3) 용광정명
2. 정대업과 보태평
3. 등가와 헌가
4. 문무와 무무
5. 의식의 절차와 음악

Ⅳ. 판소리와 민요
1. 판소리
2. 민요
1) 경기민요
2) 남도민요
3) 서도민요
4) 동부민요
5) 제주민요

Ⅴ. 잡가

Ⅵ. 산조

Ⅶ. 가곡

Ⅷ. 시조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단으로 다루었다. 이들은 나아가 높은 경지에까지 가곡의 수준을 끌어 올렸기 때문에, 오늘의 가곡은 조선전기 이후 가곡활동에 뛰어난 가객, 곧 선가들에 의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전통가곡은 고려시대 향악과 관련이 있다. 고려 향악의 성악곡 중 한 갈래가 발전되어 조선전기의 만대엽이 되었고, 만대엽은 빠르기의 차이에 의한 중대엽과 삭대엽으로 조선후기에 이어졌는데, 이것이 전통가곡의 원형이다.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이란 성악곡이 서로 음악적으로 관련되었다는 사실은 1610년에 지은 {양금신보}의 \'요사이 연주되는 대엽의 만 중 삭은 모두 정과정의 삼기곡에서 나온 것이다\'라는 글에서 확인된다. 아울러 만대엽이 조선전기에 나타난 새로운 음악형식의 성악곡이었으며, 5장 형식으로 된 만대엽은 중대엽의 형식과 같다. 이득윤(1553-1630)의 {현금동문류기}(1620)에서 \'평조 만대엽은 여러 곡의 조종(祖宗)으로서 종용하고 한원하여 자연스럽게 평담한다\'라는 내용으로 보아, 만대엽은 임진왜란(1592) 이전에 성악곡으로 널리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금합자보}(1572)에 만대엽만이 기보되었고, {양금신보}(1610)에 만대엽과 중대엽이 기보되었으며, {현금동문류기}와 {금보신증가령}(1680)에서는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이 모두 기보되어 있으므로, 만대엽은 임진왜란 이후 차츰 하향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중대엽과 삭대엽이 만대엽 대신에 임진왜란 이후 등장하였음을 아울러 알 수 있다.
{양금신보}에 의하면, 중대엽은 네 악조로 연주되었고, 삭대엽은 \"여민락\" \"보허자\" \"영산회상\"처럼 춤 반주음악으로 쓰였음이 확인되므로, 17세기 초기에는 중대엽이 삭대엽보다 성행하였음이 확실하다. 숙종(1675-1720) 전후에 편찬된 {백운암금보} {한금신보} {금보신증가령}(1680)에서 중대엽과 삭대엽의 제1 제2 제3이라는 파생곡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중대엽과 삭대엽은 17세기 후반에 서로 비슷하게 성행되었다. 한편 이후에 출판된 {연대소장금보}에 제1 2 3 중대엽에 얹혀서 노래로 불린 9편의 가사가 전하므로, 중대엽은 17세기말과 18세기초에 전성기를 이루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익(1681-1763)의 {성호사설}에 의하면, 18세기에 이르러 삭대엽은 중대엽보다 성행되었음이 드러난다. 그 이유는 느린 노래보다는 조금 빠른 노래를 더 좋아하였던 그 당시 사람들의 취향 때문이다.
<사료> 우리나라의 풍속가사에 대엽조가 있는데, 형식이 다 같아서 길고 짧은 구별이 없다. 그중 에 느린 것 중간 것 빠른 것 세 가지 조가 있으니, 이것은 본래 심방곡이라 이름하였다. 만대엽은 너 무 느려서 사람들이 싫증을 내어 폐지된 지가 오래고, 중대엽은 조금 빠르나 또한 좋아하는 사람이 적고, 지금 통용하는 것은 삭대엽이라는 곡조이다.
이렇듯, 조선전기에 성행되었던 만대엽은 17세기 초반부터 하향의 추세를 보이다가 18세기 이르면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한편 17세기 전반부터 성행하였던 중대엽은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제1 2 3이란 파생곡으로 발전되다가 18세기 전반부터 차츰 하향의 추세를 보였고, 그 이후 사라지는 변천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17세기초에 무용음악으로 쓰이던 삭대엽은 중대엽처럼 17세기 후반부터 차츰 성행하다가 18세기 전반에 이르러 중대엽보다 새롭게 발전임진왜란 직후인 광해군(1608-1623) 때부터 숙종(1675-1720) 중엽까지 17세기의 {양금신보}는 삭대엽이 무용의 반주음악으로 쓰인다고만 기록하고 있으며, 악보는 {현금동문류기}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평조와 우조라는 악조의 명칭이 밝혀진 삭대엽, 허사종이 연주하였다는 삭대엽, 자자대엽(滋滋大葉)이라고도 불린 삭대엽은 {현금동문류기}에 전하는 것으로 미루어, 17세기 전기에 무용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되기도 하였던 삭대엽이 아직 풍류방에서 널리 성행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Ⅷ. 시조
고려후기에 이르러 신흥 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해 또 다른 표현 영역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창안된 국문학 양식이다. 조선조 오백년동안에 집중적으로 창작되고 또 향유되었던 문학이다. 시조라는 명칭은 현재까지 알려진 문헌상으로는 영조 50년에 신광주가 쓴 관서악부에 처음 보인다. 따라서 시조 형식은 고려때부터 있어 왔지만 영조 이전에는 그것을 가곡, 단가, 영언 등으로 일컫거나 ,또는 다른 노래와의 통합하여 “시.가” 등으로 일컬었던 것이다. 일반적 형식은 3장 6구 45내외가 기본형이다. 음수율은 3.4조 또는 4.4조가 기조로 되어 있으나 한두 음절의 가감은 무방하다. 4음보의 율격을 이루며 종장의 첫 음보는 3음절로 고정되어 있고 둘째음보는 5음절 이상 이어야한다. 시조에 있어 가장 엄격한 제약이 따르는 것은 종장의 첫 음보이고 다음이 종장의 둘째음보이다. 시조라는 명칭은 영조 이전에는 그런 형식을 가곡의 창법으로 부르다가 영조 때쯤에 3장식시조 창법이 널리 유행하게 되자 이 시대의 유행조라는 뜻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즉 그 시대의 풍속을 시속, 그 시대의 값이를 시가, 그 시대의 일을 시사, 그 시대의 여론을 시론이라고 이르는 바와 같이 그 시대의 유행조라는 뜻에서 시조라고 한 것이니 요새말의 유행가와 같은 뜻으로 쓰인 말이다.
따라서 그 것을 시조라고만 한 것이 아니라 시절가·시절단가·신조·신성 등으로도 일컬었으니 그런 명칭도 모두 새로 유행한 노래조라는 뜻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명칭이 이루어진 후에도 이전의 명칭이 그대로 쓰이기도 했으나 다만 가곡의 창법과 시조의 창법은 서로 달랐기 때문에 음악상 명칭으로서는 가곡과 시조는 창조에 따라 구분해서 일컫게 되었다.
참고문헌
- 곽준, 판소리와 장단, 서울 아트 스페이스, 1992
- 반혜성, 전통음악 이론, 두남 출판사, 1999
- 임수철, O.K국악, 작은 우리, 1993
- 이성철, 국악 개론, 풍남, 1995
-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96
- 최동형, 판소리란 무엇인가, 에디터
- 한국음악, 전통음악 연구회, 1981

키워드

정악,   민속악,   제례악,   판소리,   민요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2.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