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학사 시험대비 완벽정리 노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문학사 시험대비 완벽정리 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중국문학사의 배경

제2장 중국문학의 역사적 변혁

제3장 시경

제4장 서경과 역경

제5장 춘추전국시대의 산문

제6장 초사와 한부

제7장 한대의 산문

제8장 한대의 시가

제9장 위진의 시

제10장 남북조의 시와 민가

제11장 위진남북조의 문학평론

제12장 위진남북조의 산문과 소설

제13장 당대의 시

제14장 성당의 시

제15장 이백과 두보

제16강 중당의 시

제17장 만당의 시

제18장 당시의 산문

본문내용

있다
- 이런 상황을 배경으로 새롭게 등장한 신진사대부계층은 고문운동을 내걸고 문벌귀족에 도전하게 된다
- 또한 중앙집권을 지향하는 왕조와 신진사대부계층은 불교와 도교에 대해 유교의 우월성을 주장하고, 변려문에 대해 고대 산문의 전통을 부활할 것을 주장했다.
ㆍ 변려문 비판 분위기의 형성
- 당대초기 역사가들은 변려문을 비판하는데, 남북조시대의 유미적이고 화려함을 추구하는 변려문의 문학풍조가 정치에 나쁜 영향을 끼쳤다고 비판하고 문학의 교화적 기능의 회복을 주장한다
ㆍ 초당의 고문운동
- 당대초기 변려문을 비판하고 새로운 문체를 주장한 사람은 유가적 문학관에 입각한 내용을 중시했다.
- 그들은 외형적 수식보다 내용을 중시했고, 구체적으로는 유가적 충효관념의 고취를 목적으로 한 교화에 있었다. 그러나 이런 주장과는 달리 그들의 주장은 단편적이었고 세련되지 못했다
ㆍ 유면의 고문운동
- 중당 이전에는 유면이 고문을 논했는데, 그는 문학의 교화적 기능을 중시했으며 변려문의 개혁과 새로운 문체에 대한 주장 또한 이에 바탕을 두었다. 교화는 그의 문학관의 한 전형으로서 載道의 문학론으로 이어졌으며 교화와 도를 강조한 유면의 주장은 한유와 유종원에 의해 정리 발전된다.
ㆍ 만당의 변문 성행과 송대의 고문운동
- 이런 노력은 한유/유종원에 의해 전개되고 공식적이고 의례적인 글 이외에는 변려문 사용이 줄어든다
- 만당에 이르러서는 유미적 문학풍조로 고문은 세력을 잃게되고 변려문이 주류를 이룬다
- 만당의 이상은은 처음에 고문을 창작하나 나중에는 변려문에 전향한다. 이는 고문운동이 중앙집권과 유가상을 지향하는 신진사대부들의 정치운동/사상운동 이면서, 시민계층/중소지주계층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총체적인 사회적 변화이다.
2. 한유
ㆍ 한유의 고문론과 도의 개념
- 한유는 고문가들의 이론을 집대성했고 창작역량을 발휘하여 수준높은 고문을 지었다.
- 그는 문학이란 도를 밝히는 도구라고 규정했다. 이때의 道는 유교의 도를 의미하며, 엄격한 유가적 문학관에 입각한 고문의 가치를 주장한다. 또한 그는 고문을 짓는 것은 유가의 도를 배우고 밝히는데 목적이 있지 문장 자체의 아름다움 추구가 아니라고 밝히고있다
ㆍ 한유의 도통론
- 載道와 道統論을 주장한 한유는 자신이 맹자 이후 끊어진 유가의 전통을 이어받은 사람임을 강하게 암시한다. 그의 도통은 학술과 문장에 대한 자신있는 태도에서 비롯됐으며 유가사상의 신념으로부터 제기되었다.
- 그는 論/解/設같은 글을 많이 지었고, 유가사상을 천명하고 불교와 도교를 비판하는 글을 많이 지었다.
ㆍ 한유의 이전문장에 대한 견해
- 한유는 산대부터 양한까지 유가적인 글, 위진시대까지 글은 높이 평가하고 남북조 이후의 글과 유가사상을 벗어난 글은 비판적이었다. 구체적으로 고대경전과 역사서, 정치적인 논설문, 유가사상서, 우국적인 글등은 높이 평가했다. 한유의 이런 태도는 그의 문학관이면서 신진사대부의 일반적 세계관/문학관과도 연관되어 있다
ㆍ 한유의 고문창작
- 한유는 고문운동의 이론적 근거의 제시와 변려문을 능가하는 수준높은 글을 지은것을 문학사적 의의로 꼽을 수 있다.
- 한유의 고문은 주제의 부각, 세부적 묘사, 압축과 함축, 남성적이고 압도적인 기세와 세련된 심미성의 조화 등 여러 측면에서 매우 수준높은 수준을 과시하고 있다.
- 그의 고문은 변려문의 표현방식을 대폭수 용하였고, 구어체와 새로운 어휘 등의 활용, 음악적인 감각과 다양한 기교의 구사 등 고대의 고문과는 아주 다른 매우 세련된 새로운 산문이었다. 또한 그의 고문은 웅장하고 기세가 강하고 명쾌하고 날카로운 특징을 가진다
. 논어, 맹자의 어투가 활용됨/직접인용을 하거나 경전을 빌려오는 형식이 아닌 전체적 문맥을 통해서 흡수되고 있다.
. 다루고 있는 소재는 스케일이 크고 맹자의 문장을 연상케하고 있다 따라서 논리에 다소 무리가 있다
. 교훈적이고 일방적인 훈시를 취하는 경우라서 경직된 측면도 있다
. 한문이 가지는 스케일의 측면에서 한유의 글은 모범적이다
. 큰 문맥에서 대구를 끌어들이고 있고, 글의 순환/반복구조를 가진다, 변려문보다 설득력이 강하다
3. 유종원
ㆍ 한유와 유종원의 고문운동 입장의 차이
- 유종원은 한유에 비해 도의 성격을 상대적/포괄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와 함께 문의 중요성도 인정하고 있는 차이점이 있다.
- 유종원은 문학적 의의가 유가적 도리의 천명에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도의 천명은 반드시 훌륭한 문장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도 중시했다. 즉, 도와 외형 모두가 중요하다는 절충적인 입장을 취했다.
- 한유가 유가사상을 배타적으로 주장하고 고대 유가의 도통을 자기가 계승 발양하겠다고 자임하던 것과는 달리, 유종원은 유가사상에 근간을 두고 불교와 노장사상 등 제자백가의 학설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을 취했다.
ㆍ유종원의 고문창작
- 한유→사상가적 측면, 유종원→문인의 측면에서 고문을 창작했다
- 유종원의 고문은 한유에 비해 서정적이고 은유적이다
- 유종원은 냉철하고 이지적인 논설적 성격의 글을 많이 섰고, 우언문도 많이 남겼다.
- 유종원의 고문 가운데 문학적 성취가 높은 것은 유기문으로 불리는 산수자연과 감상을 적은 글들을 꼽는다
- 유종원의 유기문은 다산한 자연의 묘사나 서정적 표현이 아니라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해서 정치적 좌절과 현실에 대한 비판, 인간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고뇌가 함축되어 있다. 또한 그의 유기문은 유배생활을 통해 축적된 체험과 깊은 생각들을 형상화한 명문으로 꼽힌다
. 기행문 겸 감상문
. 유배지의 수려한 풍격을 묘사
. 한유의 글과 비교해보면 자연을 주제로 해서 매우 심미적이고 문학적 성격이 강하다
. 유배생활로 인한 명상적 생활과 내면세계와 외부사물을 연결시켜서 표현하고 있다.
. “조물주와 같이 노닐면서도”, “마음이 하나가 되고 육신이 자유로워지니 우주만물의 변화와 융합하여 하나가 된다”, “진정한 유람은” → 장자의 소요와 재물로 부터 얻은 아이디어이다
- 기타
. 공자, 맹자 등 고대경전들은 중국문학/문화의 원형을 제시했고
. 문화/문학/문장 등의 원형은 한유, 유형원 등 당송8대가의 문인들에서 비롯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0.03.01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