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개론(5장 영어문법론 I)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학개론(5장 영어문법론 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5.1 범주 정의에 대한 비판

5.2 품사의 정의

5.3 ‘실사’와 ‘형용사’

<6장 영어 문법론 II>

6.1 명사, 형용사와 관련된 범주들

6.2 동사와 관련된 범주들

본문내용

바꾸면 되는 것이다. 직접 화법의 문장을 간접화법으로 바꿀 때의 또 하나의 중요한 부분은 동사의 시제이다. 주절의 동사가 현재형일 때에는 전달문의 시제에는 변화가 없다. 그러나 주절의 동사가 과거 시제일 때에는 전달문의 동사는 다음과 같은 시제의 변화를 겪게 된다.
1) 전달문의 동사 시제가 현재일 때 에는 간접화법에서는 과거형을 갖게 된다.
2) 직접 화법의 과거, 현재 완료, 과거 완료 시제는 간접화법에서는 모두 과거 관료가 된다. 3) 직접 화법에서 미래와 조건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간접화법의 문장에서는 모두 조건문의 동사와 같은 형태가 된다.
진술 내용이 변함없는 진리에 대해 언급하고 있을 때에 직접 화법에서의 전달문의 동사 시제를 간접화법에서도 그대로 현재형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이와 같은 전달 내용에 전달자도 동의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달문의 동사 시제를 주절에 맞춰 과거형으로 바꾼다는 것은 그 진술 내용에 대해 전달자는 간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암시하게 된다. Jespersen은 직접화법과 간접화법의 중간적 성격을 갖는 화법인 묘출화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ex)Why should he be worried like this?
직접화법: He thought, "Why should I be worried like this?
간접화법: He wondered why he should be worried like that?
직접화법과는 인칭이 다르며 간접화법과는 어순이 다르다. 그러면서 간접화법에 비해 훨씬 더 표현의 생동감이 있다.
6.2.5 부정(Negation)
논리학자들은 부정을 모순부정과 반대부정의 두 가지로 구분한다. not나 non등의 접두사를 첨가해서 만들어지는 모순부정은 whiteㅡnon-white, Christianㅡnon-Christian humanㅡnon-human의 경우처럼 전체를 양분하여 모두가 이 둘 중 어느 하나에 속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간 단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한편 반대 부정은 어떤 기준으로부터의 극단적인 이탈을 나타내는 것으로 young-old, good-bad, big-small에서처럼 상이한 어원의 단어를 짝으로 구별되거나 Christian-unchristian, human-inhuman에서처럼 접두사를 첨가해서 만들어진다. 반대부정은 중간 단계를 인정한다는 점과, 그 자체가 동질적이라는 점에서 모순 부정과 구별된다.
Jespersen(1924:322)은 모든 언어에서 not의 뜻은 ‘less than’(~보다 못함)의 뜻이라고 말한다.
ex) 영어의 not good이라는 표현은 ‘inferior’의 뜻이며 결코 ‘excellent’의 뜻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이것은 not가 수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일 때 더욱 분명해진다.
ex) He does not read three books in a year.
여기서 뜻은 세권이 채 못 된다는 것이다.
Not가 예외적으로 ‘more than’의 뜻을 가질 수 있는데, 그것은 not 뒤에 오는 말에 강한 강세가 놓이며, 한편 그 뒤에 보다 정확한 표현이 오는 경우에 한한다.
ex) not lukewarm, but really hot
흔히 부정은 동사부정과 단어부정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전자는 정동사를 부정해서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고, 후자는 문장 중의 특정 단어만을 부정하는 경우이다.
ex) Many of us didn't want the war.
Not many of us wanted the war.
동사부정과 단어 부정의 차이를 보여주는 기준으로 Jespersen(1924:329)과 Huddleston(1984:419-20)은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열거하고 있다.
1) very를 첨가해보면 그 차이가 드러난다.
ex) She is not very happy
She is very unhappy.
첫 번째 문장은 그녀가 썩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뜻인 데 비해 두 번째 문장은 그녀가 아주 불행하다는 뜻 이다.
2) 뒤에 부가문을 첨가해보는 것이다.
ex) She is not happy and nor is Ed.
She is unhappy and so is Ed.
She is happy and so is Ed.
두 번째 문장은 부정적인 내용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말이라는 것은 대표적인 긍정문인 세 번째 문장과 동일한 접속사 so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3) either와 too의 사용에서 나타난다.
ex) She is not happy; (and) Ed isn't (happy) either.
She is unhappy; (and) Ed isn't (unhappy) too.
4) 부가 의문문의 사용에서 나타난다.
ex) She isn't happy, is she?
She is unhappy, isn't she?
5) 부정과 관련해서 자주 운위되는 것으로 2중부정의 문제가 있다. 2중부정이란 두 개 이상의 부정어가 하나의 부정어 구실을 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셋 이상의 부정어가 하나의 부정어 구실을 하는 경우는 누가부정이라고 한다.
ex) I don’t lose no time.
I can't see no wit in her.
I’ve never hardly known him to miss church before.
2중부정은 고대영어나 중세영어, 그리고 초기 현대영어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었다. Curme(1931:139)은 못을 하나 박기보다는 여럿 박는 것이 더 튼튼한 것처럼 부정어를 하나 쓰는 것보다는 여럿 쓰는 것이 더 강조되는 법이라고 말한다.
한편 Jespersen(1924:333-4)은 대개 구라파 언어의 경우 부정어가 n-이나 ne- 따위의 눈에 잘 띠지 않는 약한 형태여서 걸핏하면 다른 단어의 일부로 흡수되기가 일수였기 때문에 이것을 반복하는 관습이 생겼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동시에 문장이 길어지는 경우 부정어가 문두에 한번만 나오고 말면 현재의 문장이 부정문이라는 사실을 문장이 끝날 때까지 계속 기억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적당한 때를 보아 다시 반복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5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