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특수아동(장애아동)의 이해,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유형,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진단, 특수아동(장애아동)과 특수교육,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발전 과제 및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특수아동(장애아동)의 이해,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유형,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진단, 특수아동(장애아동)과 특수교육,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발전 과제 및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이해

Ⅲ.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유형
1.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2.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1) 읽기장애(Reading Disorder)
2) 수학장애(Mathematics Disorder)
3) 쓰기장애(Disorder of Written Expression)
3. 운동기술장애(발달성 협응 장애,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4.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1) 표현성 언어장애(Expressive Language Disorder)
2) 수용-표현 혼합형 언어장애(Mixed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Disorders)
3) 음성학적 장애(Phonological Disorder)
4) 말더듬기(Stuttering)
5.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1) 자폐성 장애(Autistic Disorder)
2) 레트 장애(Rettꡑs Disorder)
3) 아동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4)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6. 주의력결핍 및 파괴행동장애(Attention-Deficit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1)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3)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7. 유아기 또는 초기 아동기 급식 및 섭식장애
1) 이식증(Pica)
2) 반추 장애(Rumination Disorder)
3) 유아기 또는 초기 아동기의 급식장애(Feeding Disorder Infancy or Early Childhood)
8. 틱장애(Tic Disorders)
1) 뚜렛 장애(Tourett`s Disorder)
2) 만성 운동 또는 만성 음성 틱장애(Chronic Motor or Vocal Tic Disorder)
3) 일과성 틱장애(Transient Tic Disorder)
9.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s)
1) 유분증(Encopresis)
2) 유뇨증(Enuresis)
10. 기타 장애
1)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2) 선택적 함구증(Selective Mutism)
3)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4) 상동형 운동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

Ⅳ.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진단

Ⅴ. 특수아동(장애아동)과 특수교육

Ⅵ.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발전 과제
1. 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
2) 개인의 교육적 욕구에 알맞은 교육 보장
3) 일반 학생과 똑같은 교육 제공
2. 완전 통합교육의 실현
3. 교수․학습 및 평가체제의 전환
4.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 구현

Ⅶ.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방향
1. 특수교육의 기회 확대
2. 통합교육의 활성화
3. 특수교육의 여건 개선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구하고 있으며, 공동의 목표 성취를 위해 개인에게 역할 부여를 효율적으로 할 때 그 사회는 발전할 수 있다. 다음 세기에는 장애인이란 개념이 차츰 없어질 것이다. 장애인이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장애를 느끼면 장애인으로 남게 된다. 장애인이 사회생활에 장애를 느끼게 되는 것은 정신적물리적으로 우리 사회가 원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장애인이 있다는 것은 그 사회가 장애를 가진 사회임을 의미한다. 우리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고 그 일에 지장이 없다면, 우리 사회에 장애인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가 이상으로 하는 학교도 정신지체로 불리어지는 학생은 없고, 그저 그 학생의 이름으로 불리어지는 학교가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장애학생이 그 학급에 꼭 있어야 할 구성원으로 역할 매김을 받고, 급우와 다정한 벗이 되고, 더불어 살아가는 성원으로 인정될 때, 우리 사회는 차별의식, 열린사회, 모두가 역사의 주연 배우가 되는 사회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Ⅶ. 향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방향
우리의 삶의 질은 부의 축적이 문제가 아니라 공정한 분배를 통해 향상시킨다고 볼 때, 생산적 복지 사회의 구축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새로운 복지사회를 맞이하여 특수교육 대상자들의 독특하고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교육방법을 제공하여 그들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개개 학생들의 소질을 최대한 계발하여 그들로 하여금 미력하나마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최근에 이르러 정보화, 세계화, 지방화라는 커다란 변화의 물결과 더불어 국가, 사회 및 시민의 요구가 기존의 학교체제로는 적절히 대응하기에 한계가 인정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현재의 특수교육 체제는 좀 더 유연하고 다양하게 재구조화되어야 할 것이고, 지식기반사회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 되어지므로 그에 따른 특수교육의 과제와 전망을 간략하게 제시해 본다.
1. 특수교육의 기회 확대
장애자녀를 가진 부모의 요구, 사회의 인식 개선, 법과 제도의 개선 및 그에 따른 실질적인 혜택의 증대, 자녀의 소수화 등은 개인과 가정의 특수교육 요구 수준 및 그 강도가 날로 더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 유아를 위한 특수유치원 설립, 특수학교(급) 유치부 증설 등으로 조기교육의 기회를 확대해야 하며, 초중등교육 이후의 전문대학 수준의 고등교육이나 사회교육 기회 확대 등 다양하고 실질적인 교육 서비스 제공을 필요로 하고 있다.
2. 통합교육의 활성화
특수교육은 일반교육 체제에서는 교육을 보장받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별도의 교육체제를 마련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비장애인들이 특수교육대상자들을 볼 때 그들의 특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편견을 가지고 있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수교육대상자일지라도 일반교육체제 안에서 취학권과 학습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생각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통합교육이다. 물론 장애정도가 매우 심한 학생은 특수학교에서 취학권과 학습권을 보장받아야 하겠지만, 가능하다면 한 교실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상호간에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급당 학생수의 하향조정, 일반학급에 특수교사의 배치,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 교육예산의 증액, 교육시설의 개선 및 확충 등이 필요하다.
3. 특수교육의 여건 개선
특수교육의 여건 개선은 특수교육기관의 선진화, 특수학교(급) 정원 조정, 일반교육 기관의 편의 시설 확대, 특수교육 및 장애이해교육 강화를 들 수 있다.
현행 특수교육관련법에는 특수학급당 5명 이상이 되어야만 한 학급을 편성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어 어떤 경우에는 한 학급에 10명이 넘는 경우도 있고, 순회학급의 경우는 편성 단위를 3-5개교를 묶어야만 할 경우도 있어서 날마다 지도해도 어려운데 일주일에 한두 번 방문하여 지도함으로써 어려움이 많다.
특수교사 및 치료교사의 정원을 늘려야 되며, 학급당 정원을 시도 교육청 실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정해야만 내용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Ⅷ. 결론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특수교육 기관들은 장애아동 부모나 가족의 요구를 직ㆍ간접적으로 반영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많은 어려움을 보고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서비스 대상자 모두 가족 지원에 대한 제도나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나 대상자 모두 가족 지원에 대한 인식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 참여를 도울 수 있는 전략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가족지원은 생애 주기에 따른 지속성과 연관성이 있는 지원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비스 제공자들은 개인을 위해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만, 평생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팀 협력(team work)이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 대상자는 지속적이고 연관된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못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들은 열린 자세로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타 영역의 전문가들과 상호협력 해야 하며, 가족 또한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정보를 연계시키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승국 편(1981), 특수교육백서, 서울, 문교부
2. 김상진, 최환호, 이효자, 정해동(1995),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3.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소(1998), 특수교육 및 재활의 동향과 전망, 제16회 특수교육 및 재활가학 전문가 초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
4. 문교부(1989), 정신지체학교 교육과정기준, 서울
5. 박은혜(1999), 21세기 한국 특수교육에서 통합교육의 의미와 그 방향, 특수교육 제24권 3호,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6. 이상춘, 김정권, 김춘일(1987), 특수학교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대구, 대구대학교특수교육연구소
7. 이소현(2000), 특수아 조기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 가격7,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