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리학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트라보(Strabo)

2. 프톨레마이오스(Ptolemaeos, Klaudios)

3. 바레니우스(Varenius, Bernardus)

4. 칸트 (Kant, Immanuel)

5. 훔볼트 (Humboldt, Alexander von)

6. 훔볼트의 지리적 사상

7. 리터 (Ritter, Karl)

8. 리터의 지리적 사상

9.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10. 페셀(Oscar Peschel)

11. 리히트호펜(Ferdinand von Richthofen)

12. 라첼(Fridrich Ratzel)

13. 비달(Vidal de la Blache)

14. 데이비스(Willam Morris Davis)

15. 헤트너 (Alfred Hettner)

16. 슐뤼터 (Otto Schluter)

17. 하트숀(Richard Hartshorne)

18. 셰퍼(Fred Schaeffer)

19. 사우어( Carl Ortwin Sauer)

20. 이푸투안(Yi-Fu Tuan)

21. 하비(D. Harvey)

22.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은 관념론으로 하비에게 받아들여졌다.
1982년 출간된 「자본의 한계(The Limits to Capital, 1982)」는 하비의 학문적 완숙을 보여주는 대작이다. 공간이론 뿐만 아니라 경제학, 사회학 등 사회이론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제2의 혁명 이후 마르크스의 경제학을 도시공간의 생산이론으로 발전 시켰으며, 경험과 의식이 공간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중시된다. 자본주의 도시의 공간 편성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절대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하비는 저서에 관하여, 건조환경(built-environment)에서의 자본 순환, 신용체계 그리고 공간적 편성들의 생산에 주목하면서 논술 된 마르크스적 일반 이론에 관한 저서라고 하였다.
자본은 상품의 생산과정을 통하여 순환하고, 순환과정에서 자본과 노동의 계급적 대립, 기술변화의 모순적 역동성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위기를 회피하기 위해 고정자본과 소비기금의 형성을 통하여 잉여자본과 잉여노동이 미래를 위한 순환형태로서 창출되게 되고, 그들의 축적은 영속화되어 지속적인 기술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자본은 영속화 되어감에 따라 자본의 지속적 순환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는 것이 신용체계이다. 신용체계는 그 자체 내에 모순을 내재되어 있으므로 신용에 의한 막대한 자본은 자본주의를 안정시킬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금융체계 간에 근본적으로 대립이 생겨 금융공황이나 인플레이션과 같은 제2차 국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2차 국면이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건조환경의 재편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공간 영역에서의 건조환경의 재편성은 금융자본의 확대과정에서 발생하게 될 위기를 일시적으로 해소해 주는 역할을 한다. 모순 경향적 자본주의가 지리적 팽창과 지리적 불균등 발전을 통하여 그 자신을 다시 정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은 물적 토대의 감가를 초래하는 제3의 위기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공간적 조정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국면은 자본주의적 내적 모순들을 심화시켜 과거 역사를 새로운 형태로 반복하게 만든다. 이 점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역사지리에 대한 이론화를 위한 틀을 구축하도록 해 주었다.
1989년 출판된 저서인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에서는 지리학뿐만 아니라, 사회이론 특히 문화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비는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반동으로 인하여 등장한 문화적인 조류가 아니라, 자본주의로 인하여 만연해진 모더니즘의 위기로써 나타나게 된 문화적 변질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평하고 있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기인 포디즘-케인즈주의 시기는 노동통제, 기술, 소비형태, 정치경제적 권력을 중심으로 막대한 잉여가 발생하던 시기이다. 이러한 축적체제가 불확실성에 직면하면서 새로운 축적체제로의 이행을 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하비는 사회생활의 시간과 공간을 설명함으로써 정치경제적 과정과 문화적 과정 사이의 물질적 관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둔다. 공간경험과 시간경험을 매개로 하여 포디즘에서 유연적 자본축적 양식으로의 변화가 포스트모더니즘과 어떠한 관계를 갖게 되는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하비의 주장에 의하면, 화폐시간공간에 대한 지배가 실질적인 사회적 권력관계를 형성하게 되며, 화폐를 지배로 상호 환원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시간과 공간은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세상을 표현하는 방법이 바뀌게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포스트모던의 조건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자본이 회전되는 시간이 가속화 되면 될수록 즉흥성과 순간성이 강조된다. 그리고 공간의 장벽이 감소하면 할수록 장소의 차이에 대한 자본의 민감도는 높아지며, 자본을 유인하기 위한 장소의 차별화 욕구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변화의 가속도에 대하여 대응하는 방식으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시공간 압축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 그 대응하는 양식은 시공간 압축을 반영하고 지배할 수 있는 언어나 이미지를 만들어 냄으로서 정면으로 대응하자는 입장이다. 즉, 과거 역사 유물론 속에서 이미 등장한 모습으로서 이를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발달 이론으로 접근해 볼 수 있다. 이것은 과거의 흐름 속에서 해답을 찾으려는 역사지리유물론의 입장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하비는 공간이론에서 생태, 환경이론으로의 방향 전환이 있었다. 공간의 개념을 재구성하였다. 공간은 단순한 자연이 아니라 인간의 활동과 생활에 관계되어야만 공간으로서의 가치가 형성된다고 보았다. 또한 공간의 가치를 두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였는데, 우선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볼 때 공간은 지역적 차이를 지니기 마련이며,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모더니티 문화의 반동으로서가 아닌 정치경제학적인 구조의 형성으로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간의 차이는 환경에 대한 사회정의의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하비가 지리학에 공헌한 점은 명백하다. 1950년대 후반부터 지리학의 제1혁명, 제2혁명을 이끌면서, 여러 사회과락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지리학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 확립에 공헌하였다. 하비는 자본주의의 위기에 대한 대답으로 행태주의의 관점으로 바라보았으며, 그 결함을 인간의 주체적 행위나 심리적 우연성에 기초하였으므로, 마르크시즘의 도입이라는 제2의 혁명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 자본주의 도시공간에 관한 이론의 맹점에 대하여 하비는 흑인 거주구역의 빈곤 상태에 관한 입지를 모델링함으로써 사회주의적 입장을 표명하였다.
포스트모던으로 해석으로 이러한 일련의 공간이론의 전개는 공간과 경관 등을 지리학의 독립된 개념으로 발전시켰으며, 사회과학분야에서도 지리학의 공간이론을 도입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참고 문헌>
지리학사, 권용운 외, 한울아카데미, 2001
지리학사, 이희연, 법문사, 1991
지리학을 빛낸 24인의 거장들, 한국지리정보연구회, 한울아카데미, 2003
훔볼트의 세계, 데즈카 아키라(저), 정암(번역), 2000
근대 지리학의 개척자들, 데즈카 아키라(저), 정암(번역), 1998
인터넷 다음 카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