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시 양식과 향가의 제성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정시 양식과 향가의 제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향가의 개념
2.2 향가의 유형과 구조
2.3 향가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 세계
2.3.1 민요 계열
2.3.2 사뇌가 계열

3. 향가의 수용과 전승

4. 맺음말

본문내용

신충(信忠)이라는 인물이 권력으로부터의 소외를 견딜 수 없어 왕에게 은총을 하소연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소외를 비탄하긴 하지만 자기의 가치를 주장하면서 권력에 접근을 해가는 새로운 권력지향집단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은총의 하소연은 이후 정서의 「정과정」, 정철의 「사미인곡(思美人曲)」등의 연군시가(戀君時歌)의 한 맥을 형성한다.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는 맹아인 다섯 살 먹은 아이의 눈뜸에 대한 발원이다. 「처용가(處容歌)」는 열병 퇴치를 위한 무속적 제의의 현장을 사뇌가의 틀에 담아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작품도 신라 하대에 이르러 사뇌가의 틀이 광범하게 대중화된 양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향가의 수용과 전승
향가는 주로 노래로 불리고 입에서 입으로 전파되어간 것으로 보인다. 사뇌가의 경우는 개인 창작 시가여서 처음에는 향찰 표기에 따라 기사되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이 전달 수용되는 방식은 노래를 귀로 들어서 익히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근거는 최행귀가 균여의「보현십종원가」를 한시로 번역하면서 밝힌 번역 이유를 통해 알 수 있다. 역시(譯詩)는 우리나라 사람들을 위한 것이기도 한데, 사뇌가가 주로 노래로만 수용되기 때문에 그 속에 온축(蘊蓄)되어 있는 깊은 뜻의 겉넘기 쉬움을 보완하여 교리적 이해를 온전케 하고자 한시번역을 함이라고 하였다. 민족문학사연구소 편,「서정시 형식의 완성과 향가」,『민족문학사강좌』상, (서울 : 창작과비평사), 2006, p.77
향찰 표기는 불완전했고 일반인에게는 난해한 것이었기 때문에 향가의 수용과 전승은 입을 통하였던 것이다. 『삼대목』의 편찬은 향찰 표기로 전해오던 문헌들을 수집한 것 못지않게 일반에 널리 유포되어 있던 수많은 노래들의 채록이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문 표기가 일반화되어 가면서, 향찰 표기로 이루어진 문헌 전승은 더욱 어렵게 되어갔고 향찰표기는 사찰을 중심으로 전승되다가 소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13세기 말엽까지는 전승의 명맥이 유지되어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의 자취가 편린이나마 남아있던 것으로 보인다.
4. 맺음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향가는 민요 계열과 사뇌가 계열로 대별되는데, 어느 경우든 간에 우리의 언어구조를 굴절 없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시가 형태라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는 물론 어학사 적으로도 중요한 유산이다.
특히 사뇌가는 우리 문학사에서 본격적인 서정시 형식의 양식의 완성으로서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사뇌가 형식은 6세기경에 「혜성가」에서 그 완성된 형식을 보이고 있으나 그 내용이 서정시로서의 내용보다 공식적인 행사에서 연행된 의식요로서 주가(呪歌)에 가까웠다. 사뇌가가 본격적은 서정시가로서 대중화된 것은 삼국통일이 완성되고 신라가 중세 전제왕정으로 국가체제를 정비한 8세기 중반이라고 할 수 있다. 월명사의 「제망매가」와 충담사의 「찬기파랑가」로 대표되는 서정적 사뇌가는 자연표상을 비유적 심상으로 끌어들여 개인의 내면정서를 형상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 이후 사뇌가의 대중성은 승려계층에 의해 포교용 사뇌가를 양산하였다.
사뇌가가 대중성을 획득할 수 있었던 배경은 인간의 근원적인 숙명과 인류 보편의 감정에 관심이 집중하게 된 신라 중대의 중세 보편주의 적 시대사조에 있다. 그러나 좀 더 근원적으로 보면, 사뇌가 형식이 지니고 있는 정연한 3단 구성의 정형적 틀이 대중화에 촉진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사뇌가는 제1단의 모티프가 2단을 거쳐 심화 확대되고(전대절), 감탄사로 이루어지는 낙구형식을 거쳐 제3단의 서정적 종결(후소절)에 이른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분단에서 시조가사의 형식적 구조에 이르기까지 우리 시가사의 한 원형적 특질로서 계승되고 있다. 이런 점을 종합하면 사뇌가 형식의 창안은 우리 문학사의 전개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민족문학사연구소 편,『민족문학사강좌』상, (서울 : 창작과비평사), 200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4판 1, (서울 : 지식산업사), 2005
김승찬, 『향가문학론』(서울 : 새문사), 1991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김열규 외,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서울 : 집문당), 2002
국가기록유산 원문텍스트 국보 제 306-2호삼국유사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0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9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