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장학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1

Ⅱ. 臨床獎學의 必要性과 現行獎學의 問題 2

Ⅲ. 臨床獎學의 過程 세 단계 3

Ⅳ. 아우르며 7

※ 참고문헌 9

본문내용

대한 計劃, 觀察, 集中的 分析의 體系的 週期에 의하여 授業改善에 초점을 둔 장학이라 하여 3단계 모형에 동의하고 있다.
計劃協議會, 授業觀察, 피드백協議會는 임상장학의 주요활동이다. 이세 활동의 주요목표는 교사의 교실수업 개선이다. 이 점에서 임상장학은 교사의 전문성 발전과 신장을 위한 주요기술이다.
임상장학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목표로 분석될 수 있다.
(1) 교사 수업의 현 상태에 관한 객관적 피드백을 교사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가장 기본적 형태에 있어서 임상장학은 교사로 하여금 가르치고 있는 동안 실제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도록 하나의 거울을 설치하는 것이다. 교사가 실제 하고 있는 것은 교사가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는 아주 다를지 모른다. 예를 들면, 많은 교사들은 자기 수업의 녹음을 듣기 전까지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잘 격려하고 있다고 믿는다. 녹음을 듣고 나서 교사들이 수업을 獨占하는 정도를 발견하게 된다. 대개 수업의 ⅔는 교사의 말이 차지한다. 객관적 피드백을 받으면 교사들이 자기개선과정을 주도 할 수 있는 충분한 자극이 된다.
(2) 授業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임상장학의 장학자는 교사로 하여금 자기가 실제로 하고 있는 것(are doing)과 해야 하는 것(ought to do)의 구체적 差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協議會 技術과 觀察記錄을 이용한다. 어릴 때 교사는 자신이 差를 진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장학자의 기술적인 개입도 필요하다. 이와 똑같은 상황은 교실수업에서도 있다. 때로는 학생들이 학습 중에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기 진단할 수 있고, 이 진단정도에 따라 처방단계를 취할 수 있다. 어떤 때는 학생이 어떤 특정주제를 배울 수 없는 무능으로 방해를 받고 있어 교사가 진단 처방할 필요가 있다.
(3) 교사로 하여금 授業戰略 使用技能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만일 임상장학의 유일한 목적이 교사로 하여금 즉각적인 문제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면 장학의 가치는 심히 제한된다. 교사가 "발등의 불(brush fire)"을 가질 때마다 장학자를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능한 장학자는 교사로 하여금 지속적인 행동양식ㅡ우린 이걸 "授業戰略"이라 부르는데ㅡ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임상적 협의회와 관찰자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략은 학습을 촉진하고, 학생을 동기 유발시키고, 학습을 관리하는 데 효과적이다. 觀察技術(方法)은 제 12장에 제시되었고, 효과적인 敎授의 기준은 대개의 교육자가 효과적이라고 믿는 授業戰略을 다룬다. 교사는 이러한 전략을 실천할 수 있고, 또 실천에서 나온 개선결과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가질 수 있다.
(4) 교사의 승진, 임기보장(tenure), 또는 다른 어떤 결정을 위하여 敎師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것이 임상장학에 있어서 가장 논쟁이 되는 機能이다. 어떤 장학자는 평가를 회피한다. 그러나 敎區育나 敎育大學은 奬學週期의 마지막에 교사의 능력을 마지막에 교사의 능력을 평가하라고 대개 장학자에게 요구한다. 임상장학은 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강조하지만 체계적인 수업관찰을 통해서 수집된 객관적 자료는 교사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근거를 제시해 준다. 다음 章에서 다루게 되는 것처럼, 만일 임상장학과정의 부분으로서 장학자가 評價報告書에 사용될 기중과 표준을 교사와 같이 결정한다면 평가의 '毒(sting)' 은 훨씬 줄어들 수 있다. 이 목표는 외국의 상황이므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임상장학을 도입하는 상황에서는 적용하지 말도록 권고한다. 임상장학을 평가에 활용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임상장학은 실패한다.
(5) 교사로 하여금 계속적인 전문적 발전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임상장학의 주요목표는 교사로 하여금 資格證 획득과 함께 교사훈련이 끝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는 자신을 專門家로 볼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직업적 노력으로 自我發展과 技術訓練에 종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장학은 자발적으로 새로운 장학기술을 개발시킴으로써 專門主義의 이러한 측면을 모형으로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영삼, 외,『장학론』, 서울 ; 도서출판 하우, 1995.
·김영식·주삼환, 『장학론』, 서울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남정걸, 『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주삼환 역, 『장학론』, 운음사, 1986.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