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과 이론적 배경,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연주 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종류별 특징,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사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과 이론적 배경,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연주 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종류별 특징,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
1. 리듬
2. 시김새
3. 박의 진행
4. 창법

Ⅲ.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이론적 배경
1. 음계(音階)와 선법(旋法)
2. 장단
3. 기보법
4. 정간보 읽기
1) 음높이 읽기
2) 음길이 읽기

Ⅳ.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연주 형태
1. 병주
2. 대풍류, 삼현육각 그리고 줄풍류
3. 시나위와 산조
4. 취타
5. 사물놀이

Ⅴ.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
1) 향악기
2) 당악기
3) 아악기
2. 재료에 의한 분류
1) 금
2) 석
3) 사
4) 죽
5) 포
6) 토
7) 혁
8) 목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종류별 특징
1. 가야금
2. 거문고
3. 대금
4. 피리
1) 향피리
2) 세피리
3) 당피리
5. 해금
6. 아쟁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1. 몸체를 진동하여 소리내는 악기
1) 선율을 소리내는 악기(가락 악기)
2) 선율 없이 소리만 내는 악기(리듬 악기)
2. 얇은 막을 진동하여 소리내는 악기
1) 박자나 셈여림을 표현하는 ‘북’
2) 효과음이나 상징적인 표현으로 연주되는 ‘북’

Ⅷ. 다양한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사례
1. 씨름판의 판정관 “징”
2. 농악대의 우두머리 “꽹과리”
3. 심벌즈와 같은 “자바라”
4. 나무 방망이로 치는 “축”
5. 호랑이 모양의 “어”
6. 흙을 구워 만든 “부”
7. 긴북 두개가 엇갈린 “노고”
8. 작은 북통 두개가 엇갈린 “노도”
9. 천신 제사에 쓰이는 “뇌고”
10. 작은 북통 세 개가 엇갈린 “뇌도”
11. 북면이 8개인 “영고”
12. 작은북 네 개가 엇갈린 “영도”
13. 작은 북통 두개가 엇갈린 “건고”
14. 해모양이 그려진 “삭고”
15. 달 모양이 그려진 “응고”
16. 네발의 틀에 올려진 “중고”

Ⅸ. 국악기(한국전통악기)와 신디사이저

Ⅹ. 인터넷을 활용한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교육

Ⅺ.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사용하여 오다가 현재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15. 달 모양이 그려진 “응고”
응고란 악기도 긴 통 같이 생긴 북을 틀에다 매단 악기이다. 삭고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삭고 보다 약간 작고 틀 위에는 달 모양을 그리고 붉은 칠을 하였다. 응고도 조호와 연향 때에 주악에 쓰였다. 응고는 고려 때부터 쓰였으며 세종 때 많이 제작하여 사용하여 오다가 현재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16. 네발의 틀에 올려진 “중고”
중고란 악기는 교방고와 같이 네 발이 달린 틀에 올려놓고 연주하는 큰북을 말한다. 중고는 용고와 함께 궁중음악에 사용되던 북이다. 문헌에 의하면 조선왕조 정조때 관왕묘에 악사들이 개주(介)를 입고 중고1,장고2, 피리2,대금2,소금 1,가 2,해금 2,의 악기편성에 의하여 연주되었다고 하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Ⅸ. 국악기(한국전통악기)와 신디사이저
국악기들의 음을 주파수 분석한 결과 각 악기마다 파형의 모양과 주파수들이 많이 달랐다. 파형의 모양을 보면 가야금과 거문고와 같이 처음에 힘을 줘서 퉁기는 방법을 사용한 악기는 그 모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악기는 현이 진동하면서 음을 만들어 내는데 처음 튕길 때 현이 가장 많은 힘을 받기 때문에 진폭이 가장 크고, 그로 인해 가장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폭은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소리의 크기도 같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파형의 모양은 소리의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모양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해금의 경우에는 처음보다는 중간에 가장 큰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현을 켤 때 나타나는 악기 연주방법상의 특성인 것 같다. 가야금, 거문고, 해금의 파형의 공통점은 끝에 그 크기가 줄어든다는 점에 있다. 하지만 세피리, 피리, 대금의 파형을 보면 처음과 끝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게 유지된다. 그 이유는 악기들을 연주할 때 숨을 불어넣고 있는 동안에 손가락으로 막는 구멍의 위치만 바꾸기 때문에 꾸준한 연주가 될 수 있는 것 같다.
주파수의 측면에서 국악기들을 살펴보면, 가야금과 거문고에서 나타난 특징은 주파수-dB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첫 부분의 피크가 상당히 낮았다. 이것이 다른 악기들과 대비되는 큰 특징이었다. 또 가야금, 거문고, 해금은 주요 피크의 개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하지만 피리 종류들의 주요 피크들은 매우 많았다. 또 주파수-dB-시간의 그래프에서도 나타나듯이 피리종류의 음은 그 크기를 유지하는 시간이 매우 길 기 때문에 배음들의 음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또 편경과 편종의 주파수를 살펴보면 하모닉 하지 않은 주파수가 상당히 많았다. 그 이유는 아마 악기의 재질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편경은 돌로, 편종은 쇠로 만들어 놓고, 그것을 쳐서 음을 내기 때문에 듣고 있으면 맥놀이 현상도 많이 일어나고, 음의 후반부로 갈수록 정확한 높이를 갖지 못하는 것 같다. 따라서 그것을 분석해서 신디사이져를 구현한다는 것은 상당히 고되고 힘든 일이었다.
결국 각각의 악기와 비슷한 소리를 내려면 최대한으로 많은 피크들에 대해서 각각의 음을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았다. 이 때 주피크들 간의 간격(비율)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 부분이 그 소리의 높이와 특징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또 우리가 주로 듣는 부분은 주파수 그래프에서 주요 피크가 있는 부분이다. 이 부분이 주파수-dB-시간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끝까지 소리의 크기를 유지한다. 결국 주 피크들의 표현이 보다 정밀한 음을 만드는 척도라고 볼 수 있다.
Ⅹ. 인터넷을 활용한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교육
우리 나라 국악관련단체 가운데서 대표적인 단체인 국립국악원의 홈페이지(http://www.ncktpa.go.kr)는 국악에 관한 유익한 정보가 가득하다. 국악기에 대한 설명과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연주를 하는 모습을 동영상을 통해 볼 수도 있다. 국악교실에 들어가면 국악개론, 국악대사전, 국악사 연표, 무형문화재의 항목을 볼 수 있는데 이 가운데서 국악기에 대한 분류, 악기 편성 등의 설명은 국악개론 안의 국악기 항목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소리와 동영상은 지원이 되지 않는다. 국악기의 소리를 듣고 연주하는 모습을 보려면 국악대사전 항목에서 악기 알아보기를 클릭 하면 된다.
음악교과서에 국악기에 대한 사진이 나와 있기는 하지만 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소리를 들려주기 위해서 악기를 직접 연주하거나 CD음반을 통하여 들려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에서는 컴퓨터 화면에 국악기의 사진이 나오고 또한 연주모습이 동영상으로 지원되며 또한 반복해서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결론
우리 가락은 우리 역사의 온갖 시련 속에서도 민족의 희로애락을 함께 하면서 오랜 전통으로 갈고 닦아온 값진 예술로, 특히 단일 언어의 어법을 바탕으로 하여 음악을 이루어 왔다는 점에서 문화 민족의 긍지를 가진 나라이다. 우리 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민족의 핏줄이 흐르고 있는 한국인 특유의 신명과 음악적 감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밀려드는 서구 문명의 홍수 속에서 아이들이 태어나면서부터 지속적으로 접하는 것이 외래음악이어서 민족 주체성은 상실되고 서양음악 일색의 교육과정 속에서 전통음악은 음력 정초나 추석 같은 명절에 잠시 찾아보는 의식으로 생각한다. 마을마다 농악이라 일컫는 풍물굿이 행해졌으나 그동안 밀려든 서구 문화에 밀려 그것조차 이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자신의 문화와 전통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세계화의 환경속에서 자기 문화를 지켜나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래문화의 수용도 주체적, 자주적으로 해나갈 수 없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 국악기는 내 친구, 서울 (주)삼화인쇄, 1998
반혜성, 전통음악 이론, 두남 출판사, 1999
서한범, 국악통론, 서울 태림출판사, 1995
손태룡, 한국의 전통악기, 영남대학교출판부, 2003
알기 쉬운 국악개론, 풍남, 1994
장사훈, 국악대사전,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
한흥섭, 한국의음악사상
  • 가격7,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