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경골골절][상완골골절][골절치료][뼈][골격]골절의 정의와 양상, 골절의 유형, 경골 골절, 상완골 골절, 골절의 응급처치, 골절의 진단과 치료, 골절과 견인, 골절의 합병증, 골절 환자의 간호 심층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절][경골골절][상완골골절][골절치료][뼈][골격]골절의 정의와 양상, 골절의 유형, 경골 골절, 상완골 골절, 골절의 응급처치, 골절의 진단과 치료, 골절과 견인, 골절의 합병증, 골절 환자의 간호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골절의 정의와 양상
1. 골절의 정의
2. 골절의 임상적 양상

Ⅲ. 골절의 유형
1. 단순골절 (폐쇄성 골절)-(Closed fracture)
2. 개방성 골절(복합골절)-(Open fracture)
3. 선상골절(Linear fracture)
4. 사선골절(Oblique fracture)
5. 종선골절(Longitudinal fracture)
6. 횡선골절(Transverse fracture)
7. 완전골절(Complete fracture)
8. 나선골절(Spinal fracture)
9. 전위골절(Displaced fracture)
10.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
11. 매복골절(Impacted fracture)
12. 병리적 골절(Pathologic fracture)
13. 압박골절(Compession fracture)
14. 유연골절(Greenstick fracture)
15. 조각골절(Chip fracture)
16. 결출골절(Avulsion fracture)

Ⅳ. 경골 골절

Ⅴ. 상완골 골절
1. 상완골 골간부골절
2. 상완골 상단골절
3. 상완골 하단골절

Ⅵ. 골절의 응급처치

Ⅶ. 골절의 진단과 치료
1. 골절의 진단
2. 골절의 치료

Ⅷ. 골절과 견인
1. 목적
2. 견인의 종류
1) 지속견인 (Running traction)
2) 균형 걸대견인 (Balanced suspension traction)
3. 견인의 적용
1) 피부견인
2) 골격견인
4. 합병증
5. 간호사정
6. 간호진단
7. 간호중재
1)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2) 피부통합성 유지
3) 핀 부위의 감염방지
4) 환자교육/건강유지

Ⅸ. 골절의 합병증
1. 무혈성 괴사(avascular necrosis)
2. 불유합
3. 감염
4. 고정, 상실
5. 동맥혈관 손상
6. 구획 증후군
7. 심부정맥혈전증과 폐색전증

Ⅹ. 골절 환자의 간호
1. 1차 간호
1) 위험인구
2) 예방
2. 2차 간호
1) 간호 사정
2) 간호 문제와 중재
3) 평가
3. 3차 간호
1) 간호 사정
2) 평가
4. 4차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리고 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조처를 포함한다.
1) 위험인구
외향적 성격의 사람들
격렬한 스포츠에 참여하거나 물불을 가리지 않는 성격의 소유자이다.
뼈가 부당하게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기계 근처에서 일하는 사람, 스턴트맨, 소방수 등이다.
노인
흔히 좋지 않은 시력, 손상된 청력, 혹은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우발적으로 넘어지는 경우가 많다.
신체적 무능력 상태에 있는 사람들
신경근 질환, 관절염, 통제되지 않는 당뇨병이나 일시적인 허혈성 발작같이 현기증을 일으키는 상태.
모든 입원 환자
2) 예방
side rail의 적절한 사용, 적당한 침대의 위치, 환자를 들어 옮길 때 휠체어를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시키는 일, stretcher straps의 사용, 그리고 바닥의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엎질러진 것을 치우는 일 등의 환경적인 요소들은 특히 의료기관에서 실행되어야 할 중요한 안전 조치이다. 한편 간호사는 가정환경에 대해서도 교육할 수 있다.
환자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식과 함께 환자와 다른 가족들의 연령과 생활양식에 대한 관심이 교육을 용이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호사는 욕실과 층계에서의 hand rail의 사용, 발밑의 느슨한 깔개의 제거, 그리고 잘 보이지 않는 물체에 부딪히게 할 수 있는 흐린 조명의 개선 등을 조언하도록 해야 한다.
2. 2차 간호
골절은 지역사회에서 가장 자주 생긴다. 응급간호는 완벽한 간호 사정이 이루어 질수 있는 적절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이송하기에 앞서 손상의 정도에 대한 최초의 사정, 구명적 조처, 그리고 고정 등에 초점을 둔다.
1) 간호 사정
건강력
손상의 범위 판단, 통증의 위치와 설명, 부상당하지 않은 부분들의 가동성 여부, 알레르기 등이다.
신체 검진
기도의 개방성, 심폐 기능, 혈액 손실에 초점을 두고 활력 증후, 피부 온도와 색, 출혈의 명백한 증후 등의 사정 등이다.
2) 간호 문제와 중재
대량의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골절된 뼈의 끝부분에 의해 연성 조직에 더 이상 손상이 가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압박을 가한다. 체지를 들어올리는 것은 부종과 출혈 감소에 도움이 된다. 손상 부위의 통증은 움직일 때 심화되므로 가능한 움직임을 제한하고 경구적, 비경구적 진통제를 투여한다. 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오염된 창상으로 간주하고 가능한 부위의 피부를 청결히 하고 개방된 부위는 무균 드레싱으로 덮도록 한다.
의복이나 장신구가 사지를 감쌀 경우 체지의 부종이 원위부로의 혈액 순환에 장애를 줄 수 있으므로 이것들은 너무 빡빡해져 제거하기 힘들기 되지 전에 일찍 제거하도록 한다.
손상 부위를 움직이거나 조작하는 것은 후속적인 연성 조직이나 골막의 외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의료기관에 도착하여 X-ray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골절을 복위시키려는 시도를 해선 안된다. 근육을 지지하고 근육 강직을 최소화 하는데는 부목을 사용한다.
3) 평가
응급 간호중재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도의 개방성 확립으로 정상적 호흡 기능의 유지
- 명백한 출혈의 감소와 활력 증후의 안정으로 증명되는 혈액 손실의 처리
- 개방된 창상 오염의 최소화
- 통증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이송 동안의 손상된 부분의 고정
3. 3차 간호
1) 간호 사정
건강력
손상과 손상이 생긴 장소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손상에 이르게 된 상황에 초점을 두고 기타 알레르기를 포함한 주요 건강 문제를 사정한다.
신체 검진
2차 간호에서의 신체 검진이외에 골절 환자의 경우에는 항상 척수 손상에 주의를 해야 한다. 머리, 목, 등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이 생길 수 있는 사고가 있었을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간호사는 일단 척수 손상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정지시 환자는 아무런 통증을 경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척추 부위를 촉진할 때 압통이 관찰될 수도 있다. 환자가 안면이나 두피에 상처가 있을 경우 간호사는 목 골절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체간의 열상이나 혈종은 흉곽이나 요추 손상을 암시한다.
진단 검사
X-ray, 칼슘과 인 수준의 측정, 요추 천자( 단, 두개뇌압 상승시 금) 등이 있다.
2) 평가
다음의 사항들을 기준으로 3차 간호 중재를 평가할 수 있다.
- 통증의 감소와 모든 통증의 궁극적인 완화
- 손상의 범위와 생활방식에 끼친 손상의 영향을 논의할 수 있는 환자의 능력과 두려움의 감소
- 발적, 종창, 발열이 없는 상태로 감염의 징후 부재
- 활동을 증가시키는 운동요법에의 충실성과 함께 궁극적인 완전한 체중 지탱과 평소 활동의 재개
4. 4차 간호
골절상을 입은 환자를 위한 간호에 있어서의 모든 중재의 궁극적인 목표는 최소한의 기형과 기능적인 제한과 함께 손상 이전의 일상 활동으로 환자를 복귀시키는 것이다. 파손된 뼈들이 치유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환자는 흔히 최초의 치료 후에 회복을 위해 집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 시기동안 재활은 근육 기능을 유지하고 관절 기형을 최소화하며 감염증을 예방하고 일상생활의 활동으로 복귀시키는데 초점을 두게 된다.
지식 부족을 확인하고 환자의 건강유지방식에 중점이 두어지는 개별적인 교육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cast를 한 채 가정으로 돌아가는 환자들은 그 사지로의 혈액 순환, cast 관리, 특별한 피부 관리에 대한 지식들이 있어야 한다.
특히 복합 골절 환자들은 오랜 회복기간을 갖게 되어 대처 양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손상이 생활양식을 크게 손상시켰을 경우 노여움, 우울, 혹은 좌절 등이 드물지 않게 나타나게 된다. 간호사는 이 점을 인식하고 환자에게 자유롭게 배출할 기회를 주도록 한다.
참고문헌
▷ 골절의 진단과 치료, 서광의학
▷ 대한정형외과학회(1999), 정형외과학 제 5판, 최신의학사
▷ 박명식 저(2000), 골절 및 탈구학 제 2판, 고려의학
▷ 서문자 외(1999), 성인간호학 상Ⅰ·Ⅱ, 수문사
▷ 이향연 외(2007), 성인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2007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 R. Bauer 외(2006), 정형외과와 외상의 수술, 서울 서울의학사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