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 정의와 음계생성원리, 국악기 이해와 국악곡 해설 사례, 국악(한국전통음악) 학년별 감상제재곡과 교과서제재곡, 국악(한국전통음악) 장단지도와 감상지도, 국악(한국전통음악) 감상실기평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 정의와 음계생성원리, 국악기 이해와 국악곡 해설 사례, 국악(한국전통음악) 학년별 감상제재곡과 교과서제재곡, 국악(한국전통음악) 장단지도와 감상지도, 국악(한국전통음악) 감상실기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

Ⅲ.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계생성원리
1. 삼분손익법
2. 율명의 생성 이치
3. 12율명과 12지
4. 악곡의 음양률 구조
5. 악곡의 음양률적 느낌 분석

Ⅳ. 국악기의 이해
1. 가얏고
2. 거문고
3. 대금
4. 퉁소
5. 단소
6. 향피리
7. 당피리
8. 태평소
9. 생황
10. 훈
11. 나각
12. 나발

Ⅴ. 국악곡의 해설 사례
1. 영산회상(靈山會相)
2. 정읍(井邑)
3.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4.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5. 범패(梵唄)
6. 무악(巫樂)
7. 가곡(歌曲)
8. 가사(歌詞)
9. 시조(時調)
10. 판소리
11. 시나위
12. 산조(散調)
13. 잡가(雜歌)
1) 경기 12잡가
2) 남도잡가
3) 서도잡가
4) 기타
14. 민요(民謠)

Ⅵ. 국악(한국전통음악)의 학년별 감상제재곡
1. 1학년
2. 2학년
3. 3학년
1) 감상제재
2) 지도요소
4. 4학년
1) 감상제재
2) 지도요소
5. 5학년
1) 감상제재
2) 지도요소
6. 6학년
1) 감상제재
2) 지도요소

Ⅶ.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교과서제재곡

Ⅷ.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교과서제재곡지도 사례
1. 제재곡 : 둥당기 타령
1) 도입
2) 전개
3) 정리
2. 제재곡 : 싸름
1) 도입
2) 전개
3) 정리
3. 제재곡 : 거문도 뱃노래
1) 도입
2) 전개
3) 정리
4. 제재곡 : 풍년가
1) 도입
2) 전개
3) 정리
5. 제재곡 : 쾌지나 칭칭나네
1) 도입
2) 전개
3) 정리

Ⅸ.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장단지도
1. 3학년
2. 4학년
3. 5학년
4. 6학년

Ⅹ.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감상지도
1. 비교하며 듣기
2. 신체적 표현을 곁들인 학습
3. 감상을 위한 감상학습

Ⅺ.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감상실기평가

Ⅻ.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겹채)’과 ‘더러러러(채 굴림)’을 들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어려운 기교를 생략하고 단순화한 것이다.
대취타 장단은 12박자로 대취타와 취타에서만 사용하는 매우 독특한 장단이다. 12박자이지만 3박씩 네 개가 아니고 2박씩 여섯 개로 묶이는 리듬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대취타가 행진음악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제 15과 ‘강강술래’에 감상곡으로 제시된 풍물놀이의 장단은 흔히 ‘삼채’라고 부르는 것으로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된 장단이다. 또한 가장 많이 쓰이는 장단으로 기악 반주 장단의 자진모리와 같다.
아리랑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요로 세마치 장단이다. 세마치 장단은 9/8박자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예전에는 세마치를 3/4박자로 표기한 경우가 있었는데 자진모리를 2/4박자나 4/4박자로 표기하는 것과 같이 옳지 못하다. 이렇게 할 경우 한 박이 3분되지 못하고 4분되기 때문에 긴 박과 짧은 박이 <2 : 1>의 비율을 갖지 못하고 <3 : 1>의 비율이 되어 짧은 박이 너무 짧아져 날카로운 느낌을 주게 된다.
3. 5학년
5학년 제 2과 ‘고사리 끊자’는 자진모리로 정간 악보에 제시된 장단은 역시 자진모리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자진모리가 나오지 않아서인지 상당히 단순화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제 5과 ‘봄이 가고 여름 오면’ 역시 교사용 지도서에 자진모리로 설명되고 오선보에 자진모리 장단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재곡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진모리보다는 굿거리가 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 8과 ‘도라지 타령’은 역시 널리 알려진 민요로 세마치이다. 감상곡으로 제시된 ‘영산회상’ 중 ‘타령’은 국악 연주회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이다. 장단은 일반적으로 ‘타령 장단’이라고 부르며 이 장단은 ‘군악’, ‘별우조 타령’, ‘계면가락 도드리’, ‘우조가락 도드리’ 등 많은 곡에 사용된다. 민속악 장단으로는 굿거리나 중중모리와 속도가 비슷하다.
‘닐리리야’는 굿거리 장단이다. 정간 악보로 굿거리 장단이 제시되어 있다. 이 장단형은 교과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연주자들은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형태이다. 연주자들은 흔히 ‘궁’으로 표시된 부분은 ‘덩’으로 연주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형태가 틀렸다고 할 수는 없으나 민속 음악이 연주자들에 의해 전승된 점을 감안하면 연주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태를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제 17과 ‘방패연’은 창작 동요로 굿거리 장단에 맞게 작곡된 곡이다. 오선 악보로 굿거리 장단의 여러 변주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 민속 음악에 사용되는 굿거리, 자진모리, 세마치 등의 장단은 무수히 많은 변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러 형태들 중에서 선율에 맞게 적절히 조합하여 연주하는 것이 연주자의 능력이다. 제 18과 ‘귀뚜라미 노래 잔치’ 는 민요풍의 노래로 장단을 지시하지는 않았지만 굿거리로 볼 수 있다.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형을 보면 굿거리 장단으로 볼 수 있는데 약간 변형된 형태이다. 제 20과 ‘떡 노래’는 자진모리로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형은 매우 단순한 형태이지만 방아 찧는 형상을 모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4. 6학년
6학년 제 2과 ‘둥당기 타령’과 제 7과 ‘쾌지나 칭칭 나네’는 노래의 빠르기에 따라 굿거리 또는 자진모리로 칠 수 있다. 이런 형태는 우리 음악의 형식 중 <긴-자진 형식>으로 ‘농부가’와 ‘자진 농부가’, ‘산염불’과 ‘자진염불’, ‘강강술래’ 와 ‘자진 강강술래’ 등 많은 예가 있다.
Ⅹ.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감상지도
1. 비교하며 듣기
전통음악과 서양음악, 현대음악과의 특징 및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구성의 차이점과 흐름, 음계의 변환 등에 대한 인식을 갖도록 한다. 악기의 구성, 창법, 가락, 장단 등의 명확한 차이점을 알고들을 수 있도록 한다.
2. 신체적 표현을 곁들인 학습
무릎치기, 발구르기, 손뼉치기, 책상치기 등 나름대로의 장단을 치며, 신체적인 표현을 곁들인 가운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통무용 등의 동작과 함께하는 신체적 표현 학습은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감상을 위한 감상학습
가창을 위한 감상이 아니고, 감상을 위한 감상으로 생각하여 가락 익히기에 너무 치중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문적인 창법을 모방하기 위한 부담 있는 학습지도는 오히려 전통제재에 대한 선입견만을 흐리게 할 수도 있다.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감상실기평가
음악 감상문 작성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평가한다. 가급적이면 좋은 감상 기기 및 좋은 음질의 재생 테이프를 활용하며, 중요한 부분은 반복 들려준다. 감상할 때 문제를 정확히 제시하고 그 문제에 의한 감상문을 작성케 한 후 평가기준에 의하여 평가한다.
<문제예시>판소리와 창극을 듣고(6학년)
1. 판소리는 몇 사람이 노래를 부르는가?
2. 지금 듣고 있는 판소리의 제목은 무엇이라 생각되는가?
3. 창극은 몇 사람의 노래를 부르는가?
4. 판소리와 창극의 다른 점은 무엇이라 생각되는가?
5. 판소리와 창극을 듣고 자기의 종합적인 느낌을 써 보자.
감상문을 쓰고 난 후 그 내용에 의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한다.
. 결론
·학생들에게 지도할 국악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 구체적으로 편성되어 교사들이 국악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한다.
· 기능 위주가 아닌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 가정과 연계하여 생활과 교육이 되도록 부모 교육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놀이중심의 국악 연수 계획으로 국악에 관심과 노력을 계속해서 기울일 수 있도록 많은 연수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영운 외 8인 :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국립국악원 자료실 http://www.ncktpa.go.kr/info1.htm
이성재 : 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1994
이강숙 : 열린 음악의 세계, 서울 은애, 1980
이성천 외 : 알기쉬운 국악개론, 도서출판 풍남, 1994
정성자 : 어린이 국악교육, 서울 창지사, 1988
정성자 : 어린이 국악마당, 도서출판 예원, 1998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