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검사][신뢰도][타당도][측정도구][심리]심리검사 신뢰도의 의미, 심리검사 신뢰도의 유형, 심리검사 신뢰도의 접근방법, 심리검사 타당도의 정의, 심리검사 타당도의 분류, 심리검사 타당도의 유형 심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검사][신뢰도][타당도][측정도구][심리]심리검사 신뢰도의 의미, 심리검사 신뢰도의 유형, 심리검사 신뢰도의 접근방법, 심리검사 타당도의 정의, 심리검사 타당도의 분류, 심리검사 타당도의 유형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심리검사 신뢰도의 의미

Ⅲ. 심리검사 신뢰도의 유형
1.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2. 동형검사 신뢰도(identical forms test reliability)
3. 내적 일관성 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4. 반분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5. 문항 내적 합치도(inter item consistency)

Ⅳ. 심리검사 신뢰도의 접근방법

Ⅴ. 심리검사 타당도의 정의
1. 검사의 반동 또는 상호작용 효과
2. 선발․처치 상호작용
3. 실험상황의 반동효과
4. 중다처치간섭

Ⅵ. 심리검사 타당도의 분류
1.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2. 기준 타당도
1) 예측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기준
2) 동시발생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기준
3. 구성 타당도

Ⅶ. 심리검사 타당도의 유형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게 된다. 그렇다면 사후 측정치에서 사전 측정치를 뺀 결과인 사회성의 향상된 점수가 온전하게 그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겠는가?
선발(selection)은 둘 이상의 피험자 집단을 사용할 때 처음부터 피험자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에게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그리고 나머지 집단에게는 기존의 프로그램을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그리고 나머지 집단에게는 기존의 프로그램을 적용시켰을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때 새로운 프로그램을 적용시킨 집단은 유치원의 전일반 아동들이었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적용시킨 집단은 반일반 아동들이었다면, 이 두 집단간의 결과의 차이가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차이였다고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은(논리적으로)무선 할당이다.
탈락(experimental mortality) 역시 둘 이상의 집단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써 실험이 시작되어 종결되기까지 자의든 타의든 실험에 불참하거나 탈락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특히 두 집단의 피험자중에서 특정 집단에서 유난히 탈락자가 많은 경우에 이를 매우 주의해 살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표집한 200명의 아동을 100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고 하자. 여기에서의 연구문제는 처벌이나 보상 중 어느 것이 아동의 기억능력을 더욱 증진시킬 것인 가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매일 1시간씩 두 집단에 동일한 내용의 암기 과제를 주고 1시간 후 그 과제에 대한 시험을 치르게 하였다. 시험결과는 시험 후 즉시 알려주었는데, 처벌집단은 시험결과가 평균 이하이거나 100점 만점에 70점 이항인 경우 75V의 전기충격을 세 차례씩 받아야 하였고 보상집단은 평균 이상이거나 70점 이상인 경우 칭찬과 함께 자그마한 상품을 받았다. 이렇게 일주일에 3번씩 4주가 지난 후 최종적인 시험을 치르게 하였다.
그 결과, 처벌을 받은 집단은 평균점수가 100점 만점에 90점이었으며, 보상을 받은 집단은 평균 40점이었다(점수가 무려 두배 이상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처벌이 학습에 대단히 효과적인 것이 라는 인상을 줄 것이다. 그로나 처벌집단의 피험자 중에서 최종 시험에 응시한 아동은 15명이었고 보상집단에서는 97명이었다면, 위와 같은 결론이 가능한 것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처벌집단의 피험자들 중에서 매번 절반 정도는 전기충격을 받아야 했고 이는 피험자들에게 대단히 고통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실험에 완결되기도 전에 대부분이 실험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게 되었을 것이고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피험자들은 지능(또 기억력)이 우수함 그래서 전기충격을 받지 않아도 될 아동들만 남게 된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이 마지막까지 실험에 참여했던 보상집단에 비해 성적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야 당연한 것이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선발과 성숙 두 오염원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오염을 말한다. 다시 말해, 실험대상 집단을 구성할 때 이미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고 거기에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두 집단간 성숙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 아동들의 인지발달에 특정한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서 100명, 시골에서 100명의 아동을 선정하였다. 서울의 아동들에게는 일반적인 기존의 교과과정을 1년 동안 적용하였고 시골의 아동들에게는 새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1년 동안 적용하였다. 1년 후 두 집단 아동들의 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해 본 결과 두 집단간에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었다. (즉, 효과가 없다고) 결론을 내릴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애초에 두 집단간 차이가 이미 존재했었다. 즉, 서울과 시골이라는 환경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풍부한 환경과 부모들의 더 많은 관심 등에 의해 서울의 아이들이 시골의 아이들보다 지능이 우수하였을지도 모른다. 더 나아가, 아마도 서울의 아이들이 교육받을 준비가 더욱 잘되어 있었을 것이고, 연구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부모의 관심 등에 의해 더욱 빠른 지적(知的)성장을 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 연구에서는 애초의 차이와 지적(知的) 발달속도의 차이가 같이 결과에 작용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시골의 아이들이 서울의 아이들과 비슷한 정도의 결과를 보였다면, 그 프로그램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적어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험설계의 잘못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Campbell과 Stanley는 이 상호작용 외에도 선발과 결합된 다른 상호작용, 예컨대 선발역사 상호작용, 선발검사 상호작용도 오염원이 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가장 흔한 것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선발성숙 상호작용일 것이다.
Ⅷ. 결론
측정이란 경우에 따라 다소 가변적이다. 측정은 비교적 안정되어 있고 예측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불안정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만일 측정 방법이 신뢰롭다면 그 결과는
믿을 수 있다. 그러나 대상을 측정하는 방법이 신뢰롭지 않다면 그 결과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교육 연구에서는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에서처럼 대상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교육현상을 측정할 때에는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했던 개념을 연구 도구를 통해 그대로 측정했다는 확신을 갖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인간의 심리, 사회적 특성과 교육적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교육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였는지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가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인, 심리검사의 표준화과정에 관한 연구 논문, 1994
김계현·황매향·선혜연·김영빈, 상담과 심리검사, 서울 학지사, 2004
김정환, 현대심리검사, 2004
박영숙, 심리평가의 실제, 하나의학사, 1994
연문희·강진령, 학교상담, 양서원, 2002
이희철, 카운슬러교재, 심리검사 강의자료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1981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