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풍속과문화] 세계속의 한류 현상 내용과 성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류의 의미와 의의
2. 문화상품의 국가간 흐름과 타민족 문화의 수용
3. 한류열풍의 원인
4. 한류의 현황 및 사례들(중국을 중심으로)
1) 방송 산업
2) 영화 산업
3) 게임 산업
4) 공연 및 음반 산업
5. 한류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1) 한류의 효과
2) 한류에 대한 국내 평가
6. 한류 현상의 이용방안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과 일본에는 없는 독특한 한국만의 문화가 용해돼 있는 것이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한류는 13억 중국 인민들을 사로잡은 자랑스런 한국의 대중문화이다.
-한류는 튼튼한 문화적 기반 위에서 성립한 것이 아니며, 우리 문화가 아닌 미국문화의 보세적 경향을 띠고 있을 뿐이다.
-한류는 문화적 교류의 관점에서 취급되지 않고, 단순히 경제적 이익이라는 관점에서만 다뤄지고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류의 기반이 되는 국내 대중문화의 기반과 산업 구조가 취약하다.
한류에 대한 국내의 평가는 상단의 표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평가, 이 두 가지 견해가 많은 다양한 매체와 평자들 사이에서 혼재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첫째, 취약한 문화산업구조의 개선이다. 특히 전근대적인 문화상품 유통구조를 현대화하고,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류적 관점의 정립을 들 수 있다. 문화의 특수함을 고려할 때, 비록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분명치 않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류를 바라봐야 궁극적으로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한중 양국 국민들이 서로를 이해하는 것을 통해 상호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교류적 관점에서 한류를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 문화(전통, 순수문화) 교류를 통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이를 통해 장기적인 관계를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 문화를 소개하고 알림으로써 장기적 관계를 도모하는 것이야말로 문화교류와 수출에 가장 기본적인 전제가 될 수 있다.
6. 한류 현상의 이용방안
한류와 관련하여 우리에게 관심을 끄는 것은 대중문화의 유행이 어느 시대(시간)와 세대에 집중될 뿐 아니라 공간적 영역에서도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대중문화의 유행은 공간적으로 지방(Local), 지역(Regional), 세계(Global)수준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류와 같이 동아시아에서 유행하는 것은 지역적(Regional) 수준의 유행으로서 기본적으로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 정체성의 상관관계로 설명 가능할 것이다. 한류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유교 문화권 또는 한자 문화권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과 지리적 근접성에 기인한다. 그런데 지방(Local)문화와 지역 (Regional) 문화가 글로벌 수준까지 확산되기 위해서는 처음 글을 시작하면서 언급한 생산, 소비, 정체성 등의 조건이 글로벌하게 이루어 질 때 가능해진다.
한류를 지속화하고 품격을 높이면서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지역 뿐만 아니라 세계 문화와 공유할 수 있게끔 즉, 글로벌 수준의 문화로 성장시킬 수 있는 방안은 몇몇 민간분야의 단편적인 개척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의 한류에 대해 분야와 10대에 국한되어 있던 대상 연령대를 확대하고, 상품개발과 더불어 전문 인력 양성, 실질적인 제도의 개선, 재원 확보 등 체계적인 해외진출을 위한 분야별·단계별 전략이 필요하다. 한류는 일시적인 유행, 돌풍, 물결이 아니라, 한국문화로서 거듭나야 하기 때문이다. 인류가 모두 즐길 수 있는 보편성과 동시에 우리의 전통적 요소와 정신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한국적 개성을 살리는 창조적인 한류의 업그레이딩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Ⅲ. 결론 및 개인적 의견
프랑스 문예 비평가 기소르망은 ‘맥몽드’라는 개념을 내놓은 적이 있다. ‘배는 맥도널드로 채우고, 머리는 매킨토시로 채우는 세계’라는 의미이다. 이 용어는 미국 문명만을 뜻하지 않고, 서구진영 전체를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모든 사람은 자국의 시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맥몽드 시민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 맥몽드야말로 현대의 대중문화를 주도하는 정신이자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시대의 화(華)류, 화(和)류에 뒤이어, 새롭게 부상하는 한(韓)류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일종의 ‘맥몽드’라고 할 수 있겠다면 과장일까? 한류 가운데 ‘한글배우기’가 동시에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와 같은 비약을 충분히 가능케 한다. 말은 의식의 기호이고 때문에 이 기호는 다시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 한류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한국인식 혹은 한국 의식이 깊으면 깊을수록 한류의 생명력은 미래지향성을 갖는다는 말이다. 우리는 그러나 한류에 대하여 자만하거나 과장해서는 결코 안 된다. 그렇다고 해서 의의를 폄하하거나 자기비하에 잠겨서도 안 될 말이다. 실태와 실체를 분명하게 파악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실천적으로 이루어 나가야 한류열풍의 호기를 캐치해낼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참고문헌
신윤환. 2002. “동아시아의 ”한류“현상: 비교분석과 평가”. 『동아연구』제 42집. 서강대 동아연구소.
외교통상부. 2001. “한류의 현황과 과제, 편익분석.”(국감자료).
이민자. 2002. “중국 개혁기 청소년문화 분석: ”한류“를 중심으로.”『동아연구』제 42집. 서강대 동아연구소.
이병도. 2003. “태국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문제점.” 한국국제지역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동아시아에서의 한국학연구』. 2003년 11월 14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회관 강연실.
이한우. 2002. “베트남에서의 한류, 그 형성과정과 사회경제적 효과.”『동아연구』제 42집. 서강대 동아연구소.
조흥국. 1999. " 근대이전 한국과 동남아시아 간 접촉에 대한 역사적 고찰.“ 서울대 국제지역원 『국제촹지역연구』8권 1호(1999 봄).
주간조선 . 제2의 한(韓)물결 아시아를 휩쓸다”(2004/03/11: 24~38).
한국학술진흥재단. 2003. 06. “해외에서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해외 한국학 지원정책 및 전략.”Business Thai 2003/10/16-22.
Choi Hyuck's(Korean Ambassador) remarks at the third Korea-Thailand Political Scientist's Dialogue on "Goverance and Sec urity Issue of Concern to Korea and Thailand(July 26, 2003, Hua Hin).
  • 가격3,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22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