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의 한반도 정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과 일본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역사적 첫 만남에서 2차대전 발발 전까지

Ⅲ. 냉전시대 미국의 대(對)한반도 정책

Ⅳ. 탈냉전시대 미국의 대(對)한반도 정책

Ⅴ. 결 론

본문내용

대회.
= 백학순, “부시정부 출범 이후의 북미관계 변화와 북한핵 문제”, 『세종정책연구』, 성남:세종연구소, 2003.
= 서정경, "중국의 부상과 대미 인식의 변화: 중국학계의 논의를 중심으로",『국가전략』제14권 2호, 세종연구소, 2008.
= 송대성. ‘북한 비핵화 쟁점과 전략’.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제17차 세종 국가전략 포럼』, 2007. 10.
= 신상진, "대만문제와 북핵문제를 둘러싼 중·미관계",『국가전략』제13권 3호, 세종연구소, 2007.
= 심경욱, "북핵 및 미사일 사태와 러시아",『외교 제79호』, 한국국방연구원. 2006. 10.
= 윤황, “북한의 핵실험 강행 배경 분석: 김정일의 핵보유전략과 선군정치 혁명전략노선을 중심으로,” 『북한학보』제31집, 2006. 11.
―――, "북한의 핵실험과 세계의 안보지형",『통일전략』제7권 1호, 통일전략학회, 2007. 4.
= 이근, “해외주둔미군재배치계획(GPR: Global Defense Posture Review)과 한미동맹의 미래”,『국가전략』제11권 2호, 2005.
= 이대우, “미국의 입장과 정책전망”,『정세와 정책』제125호, 2006. 10.
= 이삼성, "21세기 동아시아의 지정학: 미국의 동아태지역 해양패권과 중미관계",『국가전략』제13권 1호, 세종연구소, 2007.
= 이상현, “북한 핵실험과 한국의 대응”,『정세와 정책』제125호, 2006. 10.
――――, ‘평화체제와 한미동맹 및 유엔사 문제’,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제17차 세종 국가전략 포럼』, 2007. 10.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일정 합의와 한국 국방의 과제",『정세와 정책』, 세종연구소, 2007. 4.
= 이태환, "북한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전략",『정세와 정책』특집호, 세종연구소, 2006. 10.
= 정성장, “북한 핵실험: 북한의 의도와 입장”,『정세와 정책』, 특집호, 세종연구소, 2006. 10.
――――. “북한 핵실험 이후 북핵 문제의 관리 및 해결 방향”,『세종정책연구』제3권 1호, 세종연구소, 2007.
= 진창수, “북한 핵실험에 대한 일본의 대응”,『정세와 정책』제125호, 2006. 10.
= 최종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구상”,『국가전략』제12권 1호, 세종연구소, 2006.
= 허문영, “추석에 발표된 북한 핵실험 계획”,『Kinu 현안분석-온라인시리즈』, 통일연구원, 2006. 10.
= 홍현익. “북핵문제와 6자회담: 전개과정, 평가 및 과제”,『한국과 국제정치』제24권 제1호, 2008. 봄.
―――― “21세기 한국의 국가안보전략과 한·미동맹”,『세종정책연구』제4권 1호, 세종연구소, 2008.
= 김성한, 테러사태 이후 미국의 대 테러 및 대외정책 전망,외교안보연구원, 이대우, 911 테러 이후 미국 외교정책 변화, 세종연구소
= 한국국제정치학회(2003), 911 테러이후 미국 대테러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전망, 국제정치논총 43권 2호
3. 신문 잡지
= “북일공동선언 이행은 공동의 의무”,『로동신문』, 2004년 9월 17일자.
,『로동신문』, 2006년 10월 21일자.
= “안보리제재, 북한 경제 사실상 전면 봉쇄”,『머니투데이』, 2006년 10월 15일자.
= 『연합뉴스』, 2006년 10월 9일자.
『연합뉴스』, 2006년 10월 11일자.
= “HEU 프로그램은 제네바합의 깨기 위한 네오콘의 조작",『오마이 뉴스』, 2007년 3월 12일자.
= "강화되는 미일동맹과 한국의 전략대안",『월간조선』, 2006년 5월 19일자.
= “양안관계 완화는 미국을 진퇴양난에 몰아넣는 것",『인터내셔널 동북아』, 2008년 6월 11일자.
= "힐-김계관 北京회동서 日人 납치문제 협의",『조선일보』, 2008년 5월 25일자.
= “안보리, '신속'대북제재 선택.. 北 유인 효과는 미지수”,『쿠키뉴스』, 2006년 10월 13일자.
= 『한겨레』, 2006년 1월 19일자.
= 『한겨레』, 2008년 11월 6일자.
4. 기관자료
= 북핵외교기획단, “제4차 6자회담 2단계 회의 결과” 2005. 9. 23.
= 외교통상부,『제5차 6자회담 의정성명』, 2005. 11. 11.
5. 인터넷 자료
= 네이버(www.naver.com) ‘제네바합의’, (검색일: 6월 5일)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6&dir_id=601&eid=c2LxNIj8p7dGPMjzOQ8YWjFvNai6dw5r&qb=waaz17nZx9XAxw==&pid=fZpygsoQsCCssZcSCVhsss--330255&sid=SEpnAXJOSkgAADE@8wo
= 두산대백과사전 '유사법제', 네이버(www.naver.com) 검색.
= “북한핵실험에 대한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결의안(2006.10.14)”
6. 참고서적 자료
= 강성현. 『21세기 한반도와 주변 4강대국』. 가람기획. 2005.
= 리처드 하스 외/장성민 역. 『9ㆍ11테러이후 부시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김영사. 2002.
= 백종천. 『한반도 평화안보론』. 세종연구소. 2006.
= 사공일. 『한반도 통일 및 韓ㆍ美 관계의 현황과 과제』. 세계경제연구원. 1998.
= 심양섭. 『미국은 남북화해를 방해했나?』. 도서출판 오름. 2006.
= 윌리엄 스툭/서은경 역. 『한국전쟁과 미국 외교정책』. (주)나남출판. 2005.
= 이삼성. 『미국의 대한정책과 한국민족주의』. 한길사. 1993.
= 정용욱.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정욱식. 『2003년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이후. 2003.
= 차상철. 『해방전후 미국의 한반도정책』. 지식산업사. 1991.
= Edward A. Olsen/채정관ㆍ박균열 역. 『한미관계의 새 지평』. 인간사랑. 2003.
=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외교통상부. 2001.
= 「통일문제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연구개발팀. 2006.
= 「정세와 정책(2007.3월호)」. 세종연구소. 2007.
  • 가격3,4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0.03.28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