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교육][한국근대교육사상가]한국근대 교육기관의 종류, 한국근대 교육기관의 특징과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한서 남궁억,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남강 이승훈,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도산 안창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근대교육][한국근대교육사상가]한국근대 교육기관의 종류, 한국근대 교육기관의 특징과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한서 남궁억,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남강 이승훈,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도산 안창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근대 교육기관의 종류
1. 관학, 사학
1) 영어학교(1833)
2) 육영공원(1886)
3) 한성사범학교
4) 배제학당
5) 이화학당
6) 원산학사
2. 우리민족의 선각자들이 세운학교
1) 안창호
2) 이승훈
3) 이용익
4) 조동식
5) 남궁억
6) 엄주익
7) 이시영

Ⅲ. 한국근대 교육기관의 특징

Ⅳ.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한서 남궁억
1. 한서 남궁억의 행적
2. 한서 남궁억의 교육사상
1) 인간 평등의 교육
2) 주체성의 교육
3) 인고하는 인격완성의 교육
4) 생산․실천하는 생활 교육

Ⅴ.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남강 이승훈
1. 교육사상
2. 교육사적 의의

Ⅵ. 한국근대의 교육사상가 도산 안창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천적 덕목들 위에 민족주의적 애국투쟁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민족의 실력을 배양해야 된다고 하는 역사성 위에서 성립된 것이었다. 이와 함께 \'3대육(三大育)\'이란 먼저 “덕육”에 중점을 두고 이어서 “체육”과 “지육”을 조화 있게 발전시키고자 한 “전인교육론”이다. 그는 인간이 덕이 없으면 그 지식은 악용되기가 쉽고 몸이 건강치 못한 자는 지식이 다만 불평불만의 씨가 될 뿐이라고 하였다. 특히 4대 정신을 바탕으로 한 도덕적 품성의 배양위에 튼튼한 몸을 갖도록 정진할 것이며, 지식에 있어서도 추상적 관념적 재의식이 아니라 생산과 기술과 직업에 관련된 실용적 지식일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이미 개화사상(開化思想)의 교육론에서 일찍이 주장되어 온 실학적 지식교육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한편으로 1인 1기의 직업교육으로 보다 구체화되어서 국민개업론(國民皆業論)과 이상촌 계획에 관련되어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그는 이상촌에 있어서 일반학교와 직업학교를 구분하고, 직업학교에서는 농(農), 잠(蠶), 임(林), 원예, 목축, 공(工) 등의 여러 과목을 두되, 공(工)에는 농가건축, 농촌토목, 실업, 식료품 가공, 농기구 제조를 위한 목공, 철공 등과 농촌상업을 포함토록 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으로는 학과 교수 외에 실습을 위주로 하여 농촌에는 전답, 과수원, 채소원, 상전(桑田), 조림지 등을 두어 실지로 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토목으로는 도로, 치산, 치수, 배수, 관개를 직접 경영케 하고, 공업 부문 또한 동일한 실습 코스를 두게 하였다.
그의 대공주의(大公主義)하에서의 사회. 국가윤리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대공주의는 사(私)보다는 공(公)을 위주로 하고 무슨 일에나 공명정대하고 공평무사하기를 힘쓰는 정신을 말한다. 특히 도산에 있어 대공(大公)이란 민족을 의미하며, 즉 민족이라는 대공에 스스로 봉사하고 \'나\'라는 자유로운 개체에서 출발하여 민족이라는 대공에 도달하자는 것으로 내쇼날리즘의 이념이다.
특히 그는 \'단결훈련\'과 \'공민훈련\'을 통하여 민족적 단결과 자치적인 능력, 자주적 시민의 자질을 배양코자 하였다. 이는 \'인격훈련\'과 더불어 도산이 주창한 청년 수련의 3대 과제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단결훈련은 신의(信義)를 생명으로 하고 이를 굳게 지키며, 규율에 스스로 복종하며 서로 사랑하고 돕는 습관을 기르는 데에서 행해졌으며, 공민훈련은 고도의자각과 명확한 책임의식을 가지는 자주적 시민으로서 자립적 정신과 자치 능력 그리고 사회인으로서 뚜렷한 식견 또는 자기의식이 있어야 된다고 하였으며 대공의식(大公意識)에 투철함으로써 비로소 국민적 품격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이 학교를 졸업한 젊은이들은 소자본과 약간의 연장으로 독립한 하나의 직업을 가져서 한 지방의 한 부문을 담당케 하여야 하며 이들은 재학 중 \'모범촌\' 생활을 견습하고 실제로 그 생활 습관을 길러 자기 고향에 돌아가 모범촌에 의거하여 개조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 것이다. 도산은 대성학교의 계획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범촌과 그 직업학교를 각 도(道)에 하나씩 설립하여 적어도 전국의 각 면에서 한 사람씩 선발하여 이 교육을 받게 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재건운동에 앞장 설수 있도록 하고자 의도하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누대(累代)의 빈곤과 고통 그리고 망국의 치욕 속에서 침체된 무거운 체념과 무정의 그림자가 우리의 생활과 의식을 덮어씌우고 있음을 통찰한 선각자의 정신력을 읽을 수 있으며, 그는 심리적 침체에 기인한 무정함이 곧 의욕과 활력을 상실케 함으로써 사회발전의 독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직관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계몽운동가였던 그가 스마일 운동을 구상하게 된 것이었으나 한편으로 그의 이상주의적인 면모도 엿볼 수 있다.
그리하여 정의돈수를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1)남의 일에 개의치 말 것, (2)개성을 존중할 것, (3)자유를 침범치 말 것, (4)물질적으로 남을 의뢰하지 말 것, (5)서로 다른 상대방에 대한 정의(情誼)를 혼동치 말 것, (6)신의를 지킬 것, (7)예절을 존중할 것 등을 들었다. 이를 보면 정의돈수이란 개성과 자유, 인격, 신의 등을 강조한 민주적 이념의 사회 윤리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 부단한 실천과 자기 수양에 대해서 그는 우리가 근본 정한 주의와 방침에 대해서는 이를 관철하는 것뿐이라고 한 바에서 나타나며, 이는 성실성과 점진주의로써 나아가며 항상 대화의 문을 먼저 열고 서로 토론하여 합리적 결론이 나올 때까지 대화하는 평소의 태도가 대화의 의미를 말해 주고 있다. 그리고 그의 교육방법상 매우 특이한 것은 \'모범\'에 의한 방법이다. 그는 청년학우회의 회원 된 성격을 도덕적 완전성의 모범에서 보았고 대성학교나 자기회사의 의의가 하나의 모범인데 두었으며, 흥사단 단원이 또한 모범적인 지도적 인격으로 성장하기를 원했다. 이에서 마치 신라의 화랑을 연상시킨다.
그의 부단 없는 민족계몽활동을 통해서 제시된 많은 원칙과 덕목 기준들은 사실 어떤 철학적 이론체계로서 일맥상통하게 정리하기는 어렵다. 그는 탁월한 선각자요 지도자였으며, 실천가였지 이론가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의 위대성이 암울하고 침체된 시대의 분위기 속에서 전근대성과 제국주의적 침략에 기인하는 불합리성을 혁파하고 민족의 참신한 생명력을 되살림으로써 열악한 내외적 조건을 개선하려는 실천가적 투쟁사에 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도산의 점진론은 근대 민족 운동의 다양한 갈래 가운데 민족내부의 발전을 지향했던 근대화 운동으로서, 급진론자들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그 의미가 퇴색하지 않은 민족 근대사의 당당한 지류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강창동 / 한국의 교육 문화사, 문음사, 2002
김윤태 / 한서 남궁억의 교육실천,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994
박의수 외 / 도산과 힘의 철학, 흥사단출판부, 1985
신용하 / 한국근대의 선구자와 민족운동, 집문당, 1993
이종행 / 한서 남궁억의 교육사상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1996
윤병석·윤경로 / 안창호 일대기, 역민사, 1997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 교육사상가평전 - 한국편, 교학연구사, 1987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3.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