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영어과 수행평가][영어과][영어교육][영어교과][교육평가]수행평가의 의미, 수행평가의 특성 고찰과 영어과 수행평가의 의의,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제,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천 방안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행평가][영어과 수행평가][영어과][영어교육][영어교과][교육평가]수행평가의 의미, 수행평가의 특성 고찰과 영어과 수행평가의 의의,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제,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천 방안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수행평가의 의미

Ⅲ. 수행평가의 특성

Ⅳ. 영어과 수행평가의 의의

Ⅴ.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제
1. 역할극형
1) 성취기준
2) 평가기준
3) 문항
4) 평가절차
5) 예시답안
6) 채점기준
7) 유의사항
2. 관찰∙토의형
1) 성취기준
2) 평가기준
3) 문항
4) 평가절차
5) 예시답안
6) 채점기준
7) 유의사항

Ⅵ.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천 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chose automechanics and physics because he has an interest in robots and cars. Although we all chose different subjects, we chose same school activity, reading meeting because we all like to read books.
6) 채점기준
1. 관찰과 토론을 통한 질문지의 채점 점수는 각각 4점, 10점으로 한다.
2. 관찰평가 채점기준 및 채점표
(1) 관찰 점수는 교사가 학생당 1-2분 정도의 시간을 할애하여 채점판을 사용해 개인별로 매긴다.
(2) 관찰평가 채점기준
* 준비도
상(2점) : 사전, 교과서 등 평가와 관련한 준비물의 준비가 잘 되어 있다.
중(1점) : 평가와 관련한 준비물이 1-2가지 빠져 있다.
하(0점) : 준비가 전혀 되어있지 않다.
*참여도
상(2점) : 모둠 활동에 집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중(1점) : 모둠 활동시 관찰자처럼 보일만큼 소극적으로 참여한다.
하(0점) : 모둠 활동에 전혀 관심이 없다.
7) 유의사항
1. 채점기준 및 채점판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위에서 제시한 분석적 채점기준을 사용하여 채점할 때 어려움이 있을 경우, 통합적 채점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
2. 관찰평가는 개인별 평가이고 토의평가는 집단평가이다. 목적에 따라 관찰평가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토의평가는 모둠별로 동일한 점수를 받게 되므로, 참여하는 모둠원들 모두가 협력해야 함을 강조하여, 평가시에 불이익을 받는 모둠원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Ⅵ.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천 방안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절차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평가 방법 및 절차만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목표 및 수업 방법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8단계의 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1. 학기별 혹은 연간 ‘수업 및 평가계획서’를 작성한다.
같은 영어 과목 담당 교사들간의 상호 협의를 거쳐 학기별 혹은 연간 수업 및 평가계획서를 사전에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수업 및 평가계획서에는 교육 내용, 수업 방법, 평가 방법, 평가 시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가르치고자 하는 성취기준을 구체화한다.
성취기준이란 ‘영어과 교수-학습 활동에서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체화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능력 혹은 특성의 형태로 진술한 것’이다. 즉 성취기준이란 교수-학습 활동에서 목표로 삼을 교육 내용을 의미하는데, 성취기준의 개발과 관련된 사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보고서인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고등학교 공통영어’(이소영 외, 1998)에 자세히 나와 있다.
3. 실제로 다양화, 전문화, 특성화된 수업을 진행한다.
4. 성취기준을 실제로 얼마나 성취했는지, 그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명확히 한다.
평가기준이란 ‘영어과 평가 활동에서 실질적인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특정 교육목표 및 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몇 개의 수준(예: 상, 중, 하)으로 나누고 각 수준에서 기대되는 성취 정도를 구체적으로 진술한 것’이다. 이러한 평가기준의 개발 절차 등에 관한 사항도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고등학교 공통영어’(이소영 외, 1998) 보고서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5. 적절한 평가 방법을 결정하고 적절한 평가 도구를 제작한다.
이 때 평가 과제 및 도구에는 문항(절차, 지문, 질문을 포함하여), 답지, 예시 답안, 채점 기준, 유의 사항 등의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어야 한다. 또한 수업 및 평가계획서와 마찬가지로 세부 요소들 역시 평가 시행 이전에 작성하여야 한다. 수행평가의 특성상 신뢰도와 채점의 공정성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사전에 예시 답안과 채점 기준을 포함한 여러 세부 사항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꼼꼼히 준비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6. 실제로 다양화, 전문화, 특성화된 평가를 실시한다.
‘수업 및 평가계획서’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학습 과정의 특성이나 평가 방법의 특성에 따라 특별히 평가 실시 기간을 두지 않고 수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평가를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7. 채점 기준에 따라 채점을 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수행평가 과제나 도구들을 사용하여 평가시 채점을 할 경우, 사전에 준비된 채점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가능하다면 2명 이상이 채점에 참가하여 평균 점수를 구하는 등의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한 채점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경우라면, 채점자들을 사전에 훈련하는 기회를 갖거나 채점에 관한 워크샵을 여는 등의 방법을 통해 채점의 일관성을 추구하는 노력을 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한편, 채점 후의 평가 결과는 가능한 한 수업 및 평가계획서에 제시된 각 교육 내용별로 제시하여 주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강, 약점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8. 평가의 결과를 교수-학습 활동에 피드백한다.
Ⅶ. 결론
영어과 수행 평가는 전통적인 지필검사에 의한 간접 평가를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영어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교수하는 교실 수업 현장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평가의 기준은 원칙적으로 교육 과정의 지도 내용으로 하되, 언어 학습 이론상 설득력이 없거나 교수-학습 시간에 비하여 도달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성취 목표는 그 수준을 하향 조정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 김덕기·안병규(1999), 중등학교 영어과 수행능력 평가방법 및 도구 개발, 한국 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 김대현·김석우(2007),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 백순근(1998),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 방순동(1985), 교육평가, 서울 법문사
▷ 백순근(1998), 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 서울 북부 교육청(1997), 수행평가
▷ 황정규(1984), 학교 학습과 평가, 서울 교육 과학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