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 갈래,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부데,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몬테소리,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마르틴부버, 현대 교육철학자 킬패트릭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 갈래,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부데,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몬테소리,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마르틴부버, 현대 교육철학자 킬패트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갈래
1. 진보주의
2. 본질주의
3. 항존주의
4. 재건주의
5. 실존주의
6. 분석철학
7. 비판이론
8. 생태주의
9. 신자유주의

Ⅲ.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1. 전통적 교육과 진보주의 교육
2. 경험의 기준 - 계속성의 원리․상호작용의 원리
3. 경험중심의 교육을 받은 사람의 특성

Ⅳ.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부데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몬테소리
1. 생애와 저서
2. 교육사상
3. 교육원리
1) 출생 후 3년까지
2) 3-6세
3) 6-9세
4) 9-12세
5) 12-18세
4. 교육방법 및 교사의 역할

Ⅵ.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마르틴부버
1. 하시디즘이란
2. 하시디즘의 성속관
3. 만남의 철학
1) 인간의 이중적 태도
2) 대화적 관계

Ⅶ.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킬패트릭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의 역할
몬테소리의 방법에서는 활동은 주로 어린이가 하게 된다. 사물은 어린이들이 학습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어린이 스스로 자신의 흥미와 욕구, 속도에 맞추어서 자료의 대상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의 대상 또는 사물은 발달의 수단이 된다. 여기에서 능동적으로 활동하게 되는 편은 교사가 아니고 어린이인 것이다. 교사의 역할은 주로 관찰자의 역할이다. 교사는 아동의 잠재적 발달단계를 주의깊게 관찰해 보면서 각 아동의 최상의 능력수준에 알맞은 시범으로 보여 줌으로써 아동의 학습분위기를 이상적인 상황으로 유지시키도록 배려한다. 교사의 또 다른 역할은 교실을 잘 정리 정돈하여 항상 ‘준비되어 있는 환경’을 아동에게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정돈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몬테소리는 믿었다.
Ⅵ.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마르틴부버
마틴 부버(Martin Buber)는 1878년 2월 8일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 태어났다. 평범한 중산층의 유대인이었던 그의 부모는 부버가 3살 때 이혼했는데 그로 인해 부버는 유년기를 조부모 밑에서 보내야만 했다. 부버의 조부모는 유대 고전 뿐만 아니라 독일 고전 작품까지 고루고루 섭렵할 정도로 박식하고 학문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런 점은 부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9살이 되었을 때부터 그는 매년 여름철을 농장에서 아버지와 함께 보내곤 했는데, 그때 그는 \"하시디즘\"에 대해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시디즘에 대한 그의 느낌은 별로 좋지 않은 것이어서 그는 하시디즘은 미신적이고 퇴행적인 것이라며 멀리하게 되었다. 17세에 비엔나 대학에 입학하게 된 그는 칸트, 포이에르바하, 키에르케고르, 니히체 등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특히 포이에르바하가 제시한 공동체 속의 인간과 키에르케고르와 칸트의 실존철학을 적극 수용했다.
부버가 성장하던 시기의 유대교는 서로 상반되는 3가지 운동 가운데 분열되고 있었는데 ① 유대교의 존속을 위해 순수 전통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유럽문화와 분리되어야 한다. ② ①의 운동과는 반대로 유럽의 세속적, 지적 문화와 동화해야 한다. ③ 그들의 영토인 이스라엘로 복귀하려는 민주주의 운동(시온주의). 부버는 형식적인 전통 유대교에 실망하여 유대교를 재평가 하는 방법으로 하시디즘을 지향하게 되었다. 현세의 일상속에서 하나님에 대한 즐거운 예배를 강조하는 하시디즘과의 만남은 부버로 하여금 유럽식 지성에서 벗어나 마음 깊숙한 곳에서 우러난 유대사상가로 변신하게 해 주었다.
그는 인간주의에 대한 열정적 관심을 가지고 평생을 살았으며 그의 초기사상에 신비주의가 큰 영향을 주었다. 신비주의에 대한 그의 초기 사상은 후에 실존주의로 발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대화철학으로 귀결되었다. 부버는 20대 후반부터 50여년을 하시디즘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노년에는 여러 대학에서 유대교에 대한 강연을 하였으며 나치하에서의 유대교육에도 힘썼다. 그는 괴테상, 펑화상, 비알릭 문학상, 에라스무스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고 1965년 4월 다리부상을 당해 침대생활을 하다가 몸이 쇠약해져 1965년 6월 13일 저택에서 사망했다. 부버의 대표적인 저서 : 다니엘(Daniel, 1913), 나와 너(I and Thou, 1923), 선과 악의 이미지, 정의와 불의
1. 하시디즘이란
폴란드에서 생겨난 유대교의 경건주의적 신비운동으로 하나님에 대한 사랑뿐 아니라, 이웃에 대한 인간의 현실적이고 개방적인 사랑까지 강조한다.
2. 하시디즘의 성속관
하시디즘이 다른 종교와 차이점을 보이는 것 중 하나가 성속(聖俗)에 대한 관점이다. 하시디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실존 뿐 아니라 공동체적 실존을 유지하면서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의 분리를 근본적으로 피한다는 것이다. 세계속에 신이 들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성속의 분리가 어렵고 인간은 세계와 신을 연결하는 중재자의 역할로 세계의 신성화는 신을 맞이할 수 있는 인간의 태도에 달려있다. 하시디즘의 성속관에 근거하여 부버는 현대인의 위기가 성과 속의 분리에 있다고 보았다.
3. 만남의 철학
1) 인간의 이중적 태도
\"나 - 그것\"의 관계-사물세계, 경험, 인식, 이용의 대상이 되는 세계이고 여기서의 \'나\'는 방관자, 관찰자, 조정자로 세계와 관계하는 자이다. \'나\'는 개적 존재로서 나타나고 자기를 경험과 이용의 주체로서 의식한다.
\"나 - 너\"의 관계-인격적 만남의 세계. 여기서의 \'나\'는 세계와 상호 관계하는 자이다. \'나\'와 \'너\'는 뭇성질로 분해할 수 없는 전존재이고 직접적, 상호적, 근원적 관계이다. 서로 전존재를 기울여 참 인격으로 관계한다. 나는 인격으로서 나타나고 자기를 주체성으로 의식한다.
이처럼 부버는 관계의 개념으로 인간의 위치 및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참다운 인간존재는 관계형성을 통해서 드러난다고 보는 것이다. 인간이란 관계를 통해 그의 실존을 형성해 나가는 창조자로 파악된다. 부버 철학의 인간학의 기본사상은 \"인간 실존의 기본적인 사실은 인간이 인간과 더불어 함께 있다는 것\"으로 함축성 있게 표현할 수 있다. 인간존재는 두 관계를 오가는 존재, \"나 - 그것\"의 관계가 없는 삶은 불가능하며 \"너 - 너\"의 관계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2) 대화적 관계
대화는 타자와의 직면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대화란 타자의 감정과 사상을 부정하면서도 그를 타자로서 수용하는 존재론적 관계이다. 개별성을 갖고 있는 \"나\"와 \"너\"의 만남, 진정한 대화적 관계란 \"나 - 너\"의 관계를 의미한다.
Ⅶ.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킬패트릭
- 주입식교육을 배격하고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촉구했다.
- 학생스스로 계획하고 구안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실천했다.
- 지식과 경험을 종합적으로 획득했다.
참고문헌
강선보(1992) - 마르틴부버의만남의 교육, 양서원
강선보 외(1998) -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김수동·공병호(1999) - 교육사·교육철학, 양서원
김천배(2000) - 마르틴 부버 대한기독교서회
이선옥 - 몬테소리교육의 이론과 실제, 태영출판사
유광찬(1998) - 교육방법과 교과, 서울 : 교육과학사
최정웅·조용태(2002) - 교육의 철학과 역사, 교육과학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3.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