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위한 생활환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장애별 시설이용상의 특성
2-1 장애별 시설이용상의 특성
2-1-1 지체장애인
2-1-2 시각장애인
2-1-3 청각장애인
2-1-4 노인
2-1-5 임산부
2-2 장애인 주생활시 위험요소
2-3 도시 주거지 내에서의 주생활에 따른 장애요인
2-3-1 주 출입구까지의 접근로
2-3-2 주 출입구
2-3-3 거실
2-3-4 주방
2-3-5 화장실 및 욕실

3.장애인 생활환경 개선안
3-1 주 출입구까지의 접근로
3-2 주 출입구
3-3 각실 출입문
3-4 실내공간
3-5 화장실 및 욕실

4. 실례
4-1 국외사례
4-1-1 건물의 주출입구
4-1-2 주방
4-1-3 거실
4-1-4 문
4-1-5 침실
4-1-6 계단
4-1-7 화장실 및 욕실
4-2 국내사례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7 화장실 / 욕실
<그림58> 화장실1
욕실에는 장애인들이 최대한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테크닉을 추가하였다. 세면 대는 휠체어로 접근 가능하도록 아랫부분이 비 어 있거나 전동으로 높이를 조절하게 디자인 되었으며, 변기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샤워 실에는 샤워용 바닥판 대신 구배진 타일바닥으 로 처리하였다.
<그림59> 화장실2
변기부분의 지지대에는 필요한 각종 조작버튼을 설치하였다.
<그림60> 화장실3
윗층의 욕실에는 휠체어사용자 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장애인들을 고려하여 다수의 지지대를 추가로 설치하였으며 여닫이 방식의 욕실문을 통해 간단히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아랫층의 소규모 방문객용 화장실도 베리어프리 디자인으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특히 좁은 공간에서 넓은 통과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접이식 문을 설치하였다.
4-2 국내사례
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개요
1998년 2월 27일에 개관한 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은 뇌성마비종합복지관(3F), 서울맹인복지관(3F), 서울상이군경복지관(2F), 북부청소년임대 APT(5F)가 들어서 있는 일단의 장애인 시설 단지에 설립되었으며, 뇌성마비종합복지관과 서울상이군경복지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림61> 전경
<그림63> 1층 평면도
<그림64> 2층 평면도
<그림62> 지하층 평면도
<그림65> 주출입구
계단과 경사로에 손잡이가 필요하다. 경사로보다는 계단으로 유도블럭을 설치하여야 휠체어 장애인의 이동이 편리하다.
<그림66> 안내데스크
유도블럭이 설치되어 있다.
<그림67> 복도
복도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되었고, 킥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림68> 경사로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도의 손잡이와 경사로의 손잡이가 연결되어 이동에 편리함 을 주고 있다. 경사로의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재질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사로의 사용이 적다.
<그림69> 계단
계단 전체의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체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의 이동이 편리하다.
<그림70> 장애인 화장실 입구
장애인 화장실을 따로 둔 예이다. 출입문이 미닫이로 되어 있다.
<그림71> 남자 화장실
세면대와 소변기에 손잡이가 있으며 손잡이가 설치된 세면기 위 거울을 낮게 하여 이용이 편리하다. 지체장애인을 위해 손잡이를 설치하는 경우 출입문의 가장 가까운 기기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5.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생활환경의 조성이란 주제를 가지고 먼저 장애요인별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시설 개선안과 장애인 시설의 실례를 국외, 국내에서 찾아 살펴보았다. 조사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단차의 극복
현재 역시 장애인에게는 주거환경면에서도 바닥 높이의 차이 극복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고,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갖고 있지 못하여 무조건 경사로를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극복 불가능한 턱, 바닥의 단차 등은 접근로에서부터 욕실, 침실, 주방은 물론, 발코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이중에는 경사로로 대치하기보다는 바닥의 높이를 온돌, 목재 깔판 등으로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 많았고, 특히 발코니, 주방, 욕실 등의 일부실 바닥면을 높여 주변실과 같게만 하여도 문제는 간단히 해결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경사로의 경우에도 견고하게 지속 가능하도록 설치한 경우보다 목재 등으로 일시적이고 추락방지턱과 같은 안전장치가 없는 채로 설치된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에도 경사면 좌우에 턱을 설치하고 경사를 완만하며, 난간까지 완비하여 편의와 안전이 동시에 확보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2) 출입구 공간의 협소
주출입구 부분에서의 공간협소 문제는 심각하였다. 출입문과 연결된 내부의 현관홀 폭이 출입문의 폭 수준밖에 되지 않아 내부에서 손잡이를 휠체어 전면 접근으로 도저히 잡을 수 없거나, 잡는다 하더라도 휠체어를 비키며 열 수 없는 현상이 가장 많아 안타까움을 더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손잡이에 긴 끈을 달아 먼 곳에서 당겨 닫거나 막대 등을 이용 걸쇠를 조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막대 손잡이 등의 부착, 전동개폐장치, 150×150cm의 휠체어 활동공간의 내·외부 확보 방안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각종 조작기의 위치
대부분의 스위치, 인터폰 등의 조작기는 높이가 지나치게 높게 달려있는 등 부적절하여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경우는 간단한 위치수정만으로도 편의가 크게 증진될 것으로 보였다.
(4) 생활공간의 문제점
실내생활환경 중 역시 가장 큰 불편은 화장실, 욕실, 주방 등 신변처리 공간과 가사노동 공간 속에 있었으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손잡이 설치, 접근 가능하도록 단차 제거, 통과 폭 확보, 수도꼭지 같은 조작기 높이 수정 등 모두 개수 가능한 불편 사항들이 많아 이에 대한 상황별 대안제시가 가장 시급한 실정이었다.
본 논문에서 예시된 경우가 가장 출현 빈도가 높은 경우였으며, 또 가장 많은 장애인들이 불편을 호소하는 내용이다. 이외에도 특수한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조사와 대안개발이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참고문헌
조성모 장애인 복지활동과 시설계획 학문사 1997
한용호 장애인을 위한 생활환경 디자인 한국문원 1999
도로교통안전협회 장애인을 위한 안전시설 기준 연구 도로교통안전협회 1995
전용호 장애인복지론 학문사 1997
안병즙, 정재권 장애인의 이해 형설출판사 1999
서울특별시 서울시 장애인의 실태파악과 대책수립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특별시 1990
김인순, 박광재, 천진희 장애인주거 환경개선 매뉴얼 한국장애인복지 진흥회 2000
http://www.bfree.or.kr 장애인건축연구센터
http://www.cofad.or.kr 한국장애인편의시설
http://www.kodaf.or.kr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http://www.kawid.or.kr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http://nrc.go.kr 국립재활원 홈페이지
http://www.internet.or.kr 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홈페이지

키워드

장애인,   건축,   논문,   설비,   환경,   건축공학,   설계,   건축환경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0.04.0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