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과 미국사회의 반전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베트남 전쟁과 미국사회의 반전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1930-70년대의 미국사회)

Ⅱ. 베트남 전쟁
1.베트남과 프랑스 제국주의
2.미국의 프랑스 지원과 제네바 협정
3.전쟁의 미국화

Ⅲ. 미국 사회의 반전운동
1.전쟁에 대한 반감과 병사들의 사기저하
2.존슨의 베트남 병력파견과 미국 내 반전운동
3.1968년 NLF의 구정공세와 반전운동
4.캄보디아 개입과 반전운동

Ⅳ. 결 론(현재적 함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생운동과 민권운동 모두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최근의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반전운동 또한 조직적인 주요 운동세력이 노동자운동이라고 할 때, 노동자운동이 반전운동과 어떻게 결합하느냐 문제가 반전운동의 성패를 좌우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둘째, 반전운동의 방법은 1차적으로 평화적이어야 한다. 최대한 폭력적이고 우발적인 도발을 자제하면서 우선적으로 반전여론형성, 반전 이데올로기의 확산에 주력해야 한다. 미국의 반전운동은 65년 봄부터 67년 가을까지 거의 토론, 집회, 연좌농성 등을 통해 전쟁의 부당함과 반전의 정당성을 공유하는 데 집중했다. 67년 말에 비로소 구체적인 실천 형태로 등장한 ‘징집거부운동’ 또한 폭력적인 방법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이는 폭력을 극단화하는 전쟁이라는 독특한 정세에서 헤게모니를 획득하기 위한 불가피한 전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세계적인 68년 혁명이 국가별로 거의 비슷하게 국가폭력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부 운동이 테러화되면서 소멸했다는 점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일기예보자들(Weatherman), 서독의 적군파(Red Army), 이탈리아의 붉은 여단(Red Brigades), 일본의 전공투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셋째, 베트남 전쟁의 가장 큰 교훈은 국제주의에 있다. 국가 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민족적 이해를 앞세우는 민족주의가 아니라, 민족 국가적 틀을 넘어서는 국제주의적 반전운동이 필요하다. 물론 베트남 반전운동이 국제주의를 실현할 수 있었던 조건 중의 하나는 그것이 반제국주의반미 및 식민지 민족해방투쟁과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NLF는 처음부터 대중적 지지와 정당성이 분명했고, 미국은 그렇지 못했다. 이런 상황은 분명 냉전이 해체된 이후 초민족적 금융자본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전쟁과 다르다. 지난 이라크 전쟁만이 아니라 코소보전쟁에서도, 전쟁 당사자 어느 쪽도 헤게모니를 행사하지 못했고 그럴 수도 없었다. 이런 조건은 반전운동이 국제주의를 실현시키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자칫 가족이기주의처럼 민족주의가 확산될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우리는 한반도에 전쟁가능성이 운운되는 시점에서 이라크 전쟁 반대를 외치지 않은 채 막상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국제적인 도움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쟁은 인간의 기본적인 사고력을 마비시킨다. 전쟁의 실리를 계산하면서 전쟁을 지지하기도 쉽고 당시 미국의 토빈, 사뮤엘슨, 솔로우, 애로우, 채너리, 헬러, 히치, 엔토벤 등 소위 뉴 이코노믹스의 입장에 선 경제학자가 중심이 되어 단지 경제정책의 책정에 관여 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저개발국가의 경제원조계획의 이름아래 베트남 전쟁에 직접간접으로 개입하였다. 특히 많은 경제학자들이 맥나마라가 있는 국방성에 들어가 전쟁에 직접 관여 하게 되고, 신고전학파의 경제학의 사고방식에 의거한 여러 가지 정책이 입안실행되었는데 실제로 이들에 의해 베트남 해방 전선의 병사 한 사람을 죽이는데 얼마만큼의 비용이 필요한 가를 측정하는 소위 ‘살상비율’(Kill Ratio)이란 개념이 도입되고, 살상비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어떠한 자원 배분의 방식을 국방정책에 취하면 될까 하는 따위의 논의가 버젓이 행해졌다. ‘살상비율’은 맥나마라가 베트남 전쟁의 효율적합리적인 수행을 위하여 중심적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홍덕기, 2005, p.193)
, 전쟁의 공포 때문에 전쟁 가능성을 애써 외면하기도 쉽다. 실제로 1965년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은 파병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 된 후 진행되었고 찬성 106, 반대 11, 기권 8. 당시 국회의원이었고 노벨평화상 수상자이기도 한 김대중 전(前) 대통령 또한 표결에는 불참했지만 파병을 지지했다고 한다.
모두 8년 동안 34만 명이 참전해 엄청난 ‘전과’를 올리고 경제성장에 이바지 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전쟁의 폐해를 고려해 볼 때 이는 어떤 이익과도 바꿀 수 없음을 우리는 항상 명심해야 한다.
※ 참고문헌
이영희(1985), 『베트남 전쟁』(30년 베트남전쟁의 전개와 종결), 도서출판 두레.
이주영외 4인(1996), 『미국현대사』(진주만 기습에서 클린턴 행정부까지), 비봉 출판사.
홍덕기(2005), 『경제사상사』,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http://100.naver.com/100.nhn?docid=68822)
(http://krdic.naver.com/detail.nhn?kind=korean&docid=11050700)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