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철도운송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 철도운송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TKR, TCR, TSR의 意義

Ⅱ. TKR, TCR, TSR의 連繫

Ⅲ. TKR의 問題點 및 解決方案

Ⅳ. TKR, TCR, TSR의 未來

본문내용

서해축과는 TCR과, 부산-서울동해-청진-두만강 구간의 동해축은 TSR과, 동해축 부산-서울동해-청진-남양 구간은 TMR 및 TSR과 연계가 가능하다. 나아가 장기적인 대안으로 는 현해탄 해저터널을 통한 일본 철도와의 연결방안 및 서해안-연운항간을 열차페리로 TCR과 연계시키는 철도가 건설된다면 그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2) TKR~TCR~TSR 연결의 효과
항공화물업계에서는 인천 신 국제공항의 개항을 우리 나라가 동북아 지역의 새로운 항공화물 허브로서 도약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라 여기고 있다. 이에 남북한 철도가 연결되고 신 실크로드를 탄생시킨다면 한반도는 동북아시아지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주목받는 새로운 물류 강국으로 급부상 할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남북한 철도의 연계를 통해 구축되는 수송 능력은 우선 해운과 경쟁하게 되는데,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요금과 서비스의 정도에 따라 물류비가 절감할 것이다. 또한 운송시간의단축을 들 수 있는데 부산으로부터 유럽의 주요도시로 화물을 수송할 때, 해운은 2만600㎞~2만 3,500㎞인 반면 철도는 TCR 이용시 1만 2,091㎞, TSR 이용시 남양과 연결 하면 1만 1,068㎞ 또는 두만강에서 연결하면 1만 3,054㎞로 나타나 철도수송에 의한 수송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수송단축과 물류비 절감은 보다 많은 수요를 창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운임 및 시설이용료에 대한 수입 증가가 이루어 질 것이다.
3) 남북철도와 대륙철도의 미래
1) 국내외 기본환경 조성
남북철도 연결을 통한 국제철도망과의 연계는 국내환경, 남북간 환경, 국제환경이 조성되어야 가능하다. 국내적으로는 철도의 북한통과 및 국제화물운송과 관련하여 국내법과 제도의 상충관계를 검토하여 정비 또는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남북간에는 당사자간이나 ESCAP 등 국제기구를 통해 이 사업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국제관계 개선효과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TCR 및 TSR의 이해당사자국인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 카자흐스탄 등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특히 해운과 철도수송과의 비교우위에 있어서 화물의 안정성과 컨테이너 회수측면과, 운임인하, 운송시간단축 등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국들과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 실무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남북간에는 시설사용료, 운송료, 책임범위, 안전문제, 운송조건 등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어야 하고, 아울러 TKR구축을 위한 공동조사 실시, 제도개선 및 관리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국제적으로는 TCR, TSR이 여러 국가간 철도망의 연계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국가간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회주의 국가철도연합(OSJD)에 가입하여, 두 노선의 합리적인 운임설정, 효율적 수송체계 구축, 수송시간 조정, 시설·장비의 개량, 국경통과의 절차간소화, 기타 서비스 개선 등 여러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
2) 미연결구간의 복원
남북철도망이 우선적으로 연결되어야 TCR 및 TSR과 연계가 가능하므로 TKR노선의 단절구간인 경의선, 경원선 등의 구간을 복원하고, 통과역의 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3) 남북철도 미연결을 고려한 국제철도망과의 연결
철도를 이용한 복합운송 관점에서의 연계방안으로는 서해안과 중국의 연운항간에 열차페리를 운영하여 TCR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핀란드와 독일간, 덴마크와 독일간, 덴마크와 스웨덴간에 열차페리가 운영중인데, 해륙간 대량일관수송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한중간에도 실현가능성이 있는 방안이다.
4) 통과노선의 시설정비가 필요
TKR노선을 통해 국제철도망으로 열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선로용량과 적정속도의 확보되어야 하고, 이는 곧 사업성에 영향을 주게된다. 일차적으로 북한내의 열악한 선로와 노반을 보수하고 나아가 시설 및 신호개량을 통해 용량을 증대하고 운행속도를 증가시켜 수송수요를 충족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5) 물류시설의 확충 필요
TSR, TCR노선 연계시 남한과 북한의 물류거점의 관련시설 정비가 필요한데, 철도관련 물류시설로는 컨테이너 보관 등을 위한 ODCY 및 관련시설인 터미널, 배송센터, CFS이 있다. 아울러 대량화물수송에 필요한 화차의 개발과, TSR이 통과하는 지역의 기후인 툰드라기후와, TCR노선의 건조기후의 온도에서도 화물의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컨테이너의 개발도 요구된다.
6) 유럽화물 유치전략 수립
TCR, TSR 이용화물의 도착지는 크게 중국내륙, 중앙아시아, 러시아 등 내륙지역과 유럽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화물수송이 내륙지역을 기종점으로 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극동지역과 유럽간의 화물유치를 위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화물의 환적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성 문제와 공컨테이너 회수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1. 한국철도기술 2000년 25호
중국횡단철도(TCR)의 현황과 전망 -김경태, 방연근
시베리아 횡단철도 경제적 의미 - 최진석
대륙횡단철도의 기술적 접근 방법-유원희
남북철도시스템 통합 및 효율화를 위한 기술방향 - 구동회, 유원희
2. TKS-TSR 통합운영 노선에 대한 기초연구 - 이찬우, 서정원
3. TSR운송의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이찬우, 최은영, 정흥채
4. 수은해외경제 - 김윤희 2004.7 P63~68
5. 수은해외경제 -김주영 2003.3 P38~41
6. TSR-TKR 통합 운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이찬우
7. 시베리아 자원활용을 위한 TSR-TKR연결 필요성 - 김상원
8. 한국철도학회 01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35.2-48, 5-29, 2001
9.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이용 활성화와 한-러 경제 협력 - 권원순
10. 한국철도학회 02 추계학술대회논문집(1), p.335-342, 2002
11. 철도청 국제철도 운영연구 2001.1
12. KOTRA 모스크바, 블라디보스톡 무역관, TKR과 TSR연결 프로젝트 현황 및
기대효과 2001.9
13. 대륙횡단 철도시스템 통합 기술개발 - 한기흥, 이찬우, 오일근

키워드

아시아 철도,   철도운송,   TKR,   TCR,   TSR,   물류,   철도,   운송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4.20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