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주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친환경 주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친환경주거의 정의
1. 친환경주거의 의미
2. 친환경 주거의 등장 배경
3. 친환경 주거의 중요성
4. 친환경 주거의 방향

Ⅱ. 친환경주거의 형태
1. 자연건축재료를 이용한 주거
2.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주거
3. 물질의 순환을 이용한 주거
4. 녹화를 이용한 주거

Ⅲ. 친환경주거의 외국 사례
1. 일본
2. 독일

Ⅳ. 친환경주거의 한국 사례
1. 한국 전통의 친환경주거
2. 현대 한국 사회의 친환경 주거

Ⅴ. 결론 - 환경 친화적 주거를 위한 개발 방향 및 과제

본문내용

진하고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해준다. 창호재와 가구재, 마루바닥재, 기둥, 건축 구조체로 사용된 나무는 습도조절 기능이 있으며 질병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고 나무가 많이 사용된 공간은 목재의 향기성분에 여러 생리활성 물질과 억균 물질들이 포함되어 실내에서 자연 삼림욕 효과를 볼 수 있다. 창호와 벽 마감, 바닥재(겹으로 붙이고 기름먹인 장판지)로 사용된 종이 또한 습도 조절기능과 투명성, 통기성, 열적 성능, 탈취효과, 실내 반사음 흡수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재료 자체의 훌륭한 치료성분은 낮에 일하면서 오는 피로와 누적된 체내의 독소를 밤의 휴식시간 동안 풀어주고 방출시킴으로 가뿐하게 아침을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
2. 현대 한국 사회의 친환경 주거
1) 서울 광장동 파크타운 아파트
이 단지는 고밀도와 경사지라는 현실적 조건하에서 단지 계획을 최대한 보행자 중심으로 계획하였다는 측면이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지금은 매우 일반적인 대안이기는 하나 지상의 공원화 즉'지상에 차가 다니지 않게 한다'라는 개념이 초기에 실현된 단지이기도 하여 주민들에게 주는 안전함과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상의 정원화와 더불어 우수하게 평가 할 수 있는 것은 디자인의 문화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지역의 역사를 적극적으로 디자인 모티브로 서용함으로서 이 단지만의 독특한 형태와 주제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하지만 거의 사면이 초고층아파트로 막힌 중정 속에 만들어진 놀이 공간 그리고 광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주변 주민들에게 소음 공해로 작용할 수밖에 없으며, 일정시간을 제외하고는 충분한 일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아무리 훌륭한 디자인 및 시설설비라도 고밀도라는 현실적 한계는 뛰어넘을 수 없다는 아쉬움을 주고 있다.
2) 부산 망미동 주공아파트
자연지형을 억지로 계단식 인공지반화 하지 않고 자연적 형태 및 생태계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성공적인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 단지에도 경제적 논리로 인하여 테라스주택과 더불어 판상형 고층아파트가 배치되고 있는데, 병풍처럼 둘러친 이러한 판상형 아파트로 인하여 테라스주택들은 매우 왜소해 보이며 판사형 아파트를 더욱 불안하게 보이게 한다. 이는 단지 전체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테라스주택에는 각 세대마다 개인 옥상정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세대에게 자연을 더욱 친밀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동시에 아래층에 위치한 세대에 단열효과 등을 주는 설비적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코리더에 위치한 각 세대의 진입공간은 개인적으로 자유롭게 조경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됨으로써 공동주택이면서도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짐으로써 높은 만족감을 갖게 하고 있다. 이러한 주민들의 깊은 애착과 높은 정주성으로 미루어 보건대 이 단지는 매우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Ⅴ. 결론 - 환경 친화적 주거를 위한 개발 방향 및 과제
개인이나 사회의 환경의식 수준이 날로 높아감에 따라 환경 친화적 건축기술 개발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환경 친화적 건축기술의 개발과 실용화는 개발기술이 가지는 환경의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균형을 이룰 때 가능하다. 이런 관점에서 환경 친화적 건축기술의 개발은 환경의 가치와 경제성을 함께 고려하여 체계적, 단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환경 친화형 건축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위적 건축 환경을 소단위의 인간-생태계로 만들어 자연 생태계에 가해 없이 유기적으로 연계·조화시키는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이 단순히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기능만을 해서는 안 된다. 즉, 환경 친화형 건축이 단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는 등 물리적 방향으로만 전개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건축을 인간의 삶을 담는 그릇으로 본다면 신체적·정신적 양면의 생명활동을 억누르지 않고 펼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주는 것이 건축의 본질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 친화형 주거건축은 자연뿐만 아니라 '사회 심리적 욕구'로 대변되는 다양한 인간의 욕구와도 조화와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간이라는 군집이 처한 환경, 다시 말해 역사적·사회 문화적 환경과 그에 따른 다양한 생활욕구가 생존공간의 생태학적 특성과 균형 및 조화를 이루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건축문화를 이룩하고 이것이 구조체로 현실화 될 때 비로소 환경 친화적 건축이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현실에 맞는 환경 친화적 건축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의 자연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회 문화적 배경에 대한 통찰이 요구된다. 이런 관점에서 전통건축은 환경 친화형 주거건축 대한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통적인 주생활과 건축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우리 한국인이 자연환경과 생태학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온 한국적 환경 친화형 건축의 원형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현재의 생활문화와 건축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대안개발의 필수조건이 된다. 이러한 총체적 고찰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기존 건축의 생태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건축의 대안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웹싸이트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주택도시연구원 친환경 건축물 인증센터 http://huri.jugong.co.kr/ecohouse/
벤티디자인 http://www.ventidesign.co.kr/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thumbsun?Redirect=Log&logNo=60024366877
라이트무어 http://www.lightmoor.info/sustainability.html
- 신경주 (2005), 친환경주거, 기문당
- 이연숙 (2003). 한국인의 삶과 미래주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 김수암 (1997), 환경친화적 건축의 계획과 설계,건축, 대학건축학회
- 박전자 (2001), 주거환경학개론, 세진사
- 이경회 외 (2003), 친환경건축개론, 기문당
- 주거학 연구회(2003), 친환경주거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의 실천), 발언
- 윤정숙 (2005), 친환경 주거, 신광출판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2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