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산업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식산업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국내 외식산업 현황과 특징
1) 외식시장 현황s
2) 현 외식시장의 특징
3) 2005년 FC업계의 위축

2.국내 외식시장의 문제점
1) 외식사업담당 정부기구의 부재
2) 외식산업 인프라 구축 미비
3) 외식 행정체계의 미흡

3.외식산업을 육성해야 하는 이유
1) 실업률과 경제 활성의 활로로서의 외식산업
2) 외식산업 해외진출의 필요

4.외식산업의 전망과 청사진
1)2006년 전망
2)외식업계의 청사진

본문내용

업종이라도 명암이 교체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중산층이 무너진 가운데 장기불황이 이어지고 있어 소비시장에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 그래서 식품-외식업계에도 고급 상품이나 고급식당, 반대로 저가삼겹살집 등은 잘 되는 반면 어중간한 식당은 재미를 못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다가 최근에 대세를 이루고 있는 웰빙 및 로하스 지향적인 소비행태가 새해에는 어느 정도의 힘을 발휘할지, 또다른 소비 트렌드가 생겨날지 등에 대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2006년에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사항은 ‘규모의 경제’ 논리가 식품-외식업계에도 어느 정도 확산될 것인가 하는 문제다. 소비 양극화에 따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기업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현실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같은 업종에서의 치열한 경쟁은 ‘덩치 싸움’으로부터 시작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식품-외식업계에도 최근에는 M&A(기업 인수합병)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는 이미 식품-외식 업계에도 ‘규모의 경제’ 논리가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밖에도 올해에는 광우병 파동으로 금지됐던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재개 안과 , 밥쌀용 수입쌀의 시판이 허용되는 등 업계 영업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들이 많은 한 해다. 또 시행되는 음식점의 식육원산지 표시 의무화에 대한 대비, 언제 터져 나올지 모르는 조류인플루엔자 파동 등 신경을 쓰야 할 일들이 한 두 가지가 아니라는 점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2) 한국 외식산업의 청사진
2010년 12월 말, 여의도 증권가 어느 객장의 점심시간. 투자자들 사이에 “우리 회사로 밥 먹으러 갑시다”는 소리가 나온다. 50년의 전통을 갖고 3대째 가업으로 이어가는 ‘맛집’이자 연말특수로 최근 주가가 크게 오른, 주식시장에 상장된 ‘우리 업소’에 가서 식사를 하자는 말이다. 주가가 올라 투자이익을 많이 냈으니 주인한테 감사의 표시도 하고, 같은 값이면 그 집에 가서 팔아주면 매출에도 기여될 수 있으니 굳이 다른 집에 가야 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같은 날 같은 시간, 어느 은행 지점의 펀드 상품 판매 창구. 외식 프랜차이즈 투자용 실물펀드 상품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서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최근 어느 자산운용사에서 특화된 메뉴와 독특한 운영방식으로 기업형 외식 프랜차이즈 사업을 전개한 업체에 투자해 투자자들에게 짭짤한 이익을 안겨줬다는 뉴스가 안방에 전해졌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시간, 해당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에는 손님이 식사를 즐기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꿈만 같고, 어떻게 보면 황당무계한 소리로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현실일 수 있다. 아니 반드시 현실로 다가올 한국 외식산업의 청사진이다. 위에서 가정한 것처럼 5년 후인 2010년이 될지 10년 후인 2015년이 될지는 불확실하지만 그런 시절이 오는 것만은 분명할 것이다.
50년 동안 한결같은 맛으로 미식가들의 사랑을 독차지하면서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는 외식업소를 증권가에서 그냥 놔둘 리 없다. 앞 다퉈 찾아와 기업공개 주간사를 맡겠다며 주인을 설득하게 돼 있으며, 이렇게 해서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거나 코스닥 시장에 등록된 업소의 주식은 직접 음식의 맛을 본 경험이 있거나 입소문을 들어 유명세를 알고 있는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로 증권가에서는 인기주로 통하게 된다. 김치를 비롯한 한국 전통음식의 세계화에 성공해 해외로 진출한 업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쯤 되면 음식은 먹고 즐기는 문화로서 뿐만 아니라 투자의 대상이 된다는 말이다. 그것도 ‘대박’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한 미래지향적인 산업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이미 이웃 일본에서는 현실화된 지 오래다. 일본의 경우 이미 주식시장에 상장된 업체가 100개가 넘는다고 한다. 일본의 외식업체가 주식시장에 처음으로 상장된 것은 1978년으로 30년이 가까워지고 있다. 대기업에 해당하는 (주)로얄과 20개의 점포를 운영하는 도덴코(중화요리 전문점)가 78년에 상장된 것이 그 시작이었다. 그 후로 일본에서는 1982년에 상장된 스카이락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1987년에 상장된 기소지(샤브샤브 전문점) 등 오랜 역사를 가진 업소, 그리고 1999년 이후 상장된 사카이와 안라쿠데이, 규가쿠를 비롯한 고기 전문점 등 최근에 영업을 시작한 업소까지 다양한 업체들이 상장을 했다. 게다가 올해는 음식점을 소개하는 인터넷 업체가 주식시장에 상장을 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음식점을 비롯한 외식업을 그저 ‘밥장사’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짙다. 소비자들의 인식은 그렇다 치더라도 업주들의 생각은 바뀌어야 한다. 굴지의 대기업도 처음 시작은 ‘밥집’ 수준의 구멍가게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영원히 ‘밥집’ 또는 ‘구멍가게’로 남느냐,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전하느냐는 경영하는 사람의 마인드에 달려있다.
여기에는 음식점이 기업형으로 바뀌면 본래의 그 맛과 전통을 유지할 수 없을것이란 약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거꾸로 말해서 기업형으로 바뀐다고 해서 맛과 전통을 유지할 수 없다면 기업형으로 바뀔 수가 없다. 또 기업형이라고 해서 점포가 많아야 하거나 매출이 많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가치는 주당가치에 있는 것이지 주식수의 많고 적음에 있는 것이 아니다. 누구도 모방할 수 없는 맛의 비결이나 경영비법을 갖춘 외식업체라면 ‘작지만 가치 높은 기업’으로 우리사회에 기업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한국 조리 학회 학회지
2. 한국음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 용인시 음식업지부
http://ekra-yi.or.kr/index.htm
3. 한국 외식경영연구소
http://www.foodservant.co.kr/index.php
4.식품외식경제
http://foodbank.co.kr/index.php
5. tgi프라이 데이스
http://www.outback.co.kr/
6.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http://www.tgif.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