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이태준의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 줄거리 및 주인공의 성격 비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이태준의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 줄거리 및 주인공의 성격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태준의 작품 <꽃나무는 심어 놓고> 줄거리
2. 이태준의 작품 <촌띄기> 줄거리
3. 이태준의 작품 <봄> 줄거리
4. 이태준의 작품 <농군> 줄거리
5. 이태준의 작품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의 주인공 성격 비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몽녀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오른 이래 우수한 작품을 많이 발표함으로써 한국 현대 소설사에 매우 큰 발자취를 남겼다
이태준의 30년대 초기 작품들에서는 현실에 지배당하는 민중들의 아픔이 직설적이며 단순하게 나타난다. 바꾸어 말하면 이태준의 초기 문학 작품의 현실 인식은 당시 현실인 식민 체제의 구조적 모순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한다. 이점은 채만식이나 염상섭이 당대의 상황을 전형적으로 드러내어, 그것의 극복을 위한 단서와 당대 사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까지 제시하여 총체성을 구현한 점과는 대조적으로, 이태준의 초기 소설은 그와 같은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초기 작품에는 여성들의 이야기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점은 작가가 일제의 상업주의와 자본주의의 유입으로 전통적인 봉건사회가 해체되는 와중의 대표적 피해 대상자가 바로 여성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작품에 대한 이해는 개별 작품의 해석과 작가와 시대 상황의 종합적 서술이 맞닿을 때에만, 비로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그 이유는 1930년대란 시기가 갖는 특수성에 있다. 1930년대는 일제의 식민 통치가 막바지에 이른 일제35년 통치의 정점에 해당하는 시기로 조선 백성이라면 누구도 이 질곡의 시대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따라서 1930년대의 작가들 중 하나인 이태준이 식민지 현실과 현실 타개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인식했건 하지 안았던 간에 그 시대의 작가들은 식민지라는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나아가 작품에 미치는 현실의 영향력에서도 벗어날 수 없었다.
다른 식민지시대의 작가들에게 그러했듯이 이태준에게도 해방은 민족의 주권을 되찾았다는 뜨거운 감격과 함께 자기 혁신을 요구하는 거대한 압력으로 다가왔다. 식민 말기에 마지못해서 미온적으로 했다고는 하지만 어쨌든 식민체제에 봉사하는 문필활동을 했던 그는 해방이되자 나름대로 자기 반성과 모색을 벌이며 자신의 새로운 문학적, 정치적 입장을 정립하고자 했다. 해방 후 이태준의 변신은 1946년의 월북과 같은 그의 행적이 말해 주듯이 사회주의로의 사상적 전환을 골자로 한다. 이것은 카프계 문학에 대해 반갑을 가지고 있었고, 사회주의자들에 대해서도 혐오를 느끼고 있었던 해방 전 그의 풍모를 돌이켜보면 엄청난 변화임에 틀림없다.
현실에 대한 관심을 독특한 미감으로 표현하고 있는 상허 소설은 예술적 자의식과 실천적 참여라는 이중의 충동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예술이라는 자각속에서 창작활동을 시작한 상허는 예술을 통해 근대적 현실에서 상실된 가치들을 추구하는 한편 식민지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그의 소설을 30년대 문단의 조류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즘이나 사실주의, 어느 한편에 쉽게 포함시킬 수 없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을 통해 근대의 속물성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면서도 동시에 현실과의 관계를 모색하며 사회적 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태준의 미의식은 주체가 전근대적 대상을 바라보고 감상하는 이른바 고완미 축자적으로 해석하면 고완미는 옛것을 가지고 논다는 의미이다. 이태준은 과거의 유물을 즐기고 숭상하는 행위를 고완미라 일컫는다. 이재선은 이태준 문학 세계의 강한 정신적인 기반이 되고 있는 것은 상고주의와 연민의 정조라고 규정하였으며 김윤식은 고전에 대한 지향성을 일제 말기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대치물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김현은 그의 상고주의를 딜레탕티즘으로 이해하며 그것이 개인의 안위와 골동품에 대한 기호심의 소산일 뿐 지조와 이념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는 선비기질과는 판연히 다르다고 평가한다. 황종연 또한 이태준 및 문장파는 공리적 효용의 추구로부터 격리된 무관심한 관조의 태도로 dpt 시대의 문물을 숭상하였다고 보아 비판하고 있다.
참고문헌
1. 김기진, 대중소설론, 동아일보, 1929. 4. 14∼20.
2. 김동리, 이태준론, 풍림, 1937. 3.
3. 김윤식, 이태준론, 현대문학, 1989. 5.
4. 김복순, 1910년대 단편소설 연구, 연세대박사논문, 1990.
5. 김현숙, 이태준 소설의 기호론적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1991.
6. 상허문학회, 이태준 문학연구, 깊은샘, 1994.
7. 송인화, 이태준 문학의 근대성, 국학자료원, 2005.
8. 이명희, 상허 이태준 문학세계, 국학자료원, 1995.
9. 이태준 단편전집, 가람기획, 2005
10. 이태준 전집, 깊은샘, 1988
11. 진동혁, 상허 이태준 문학연구, 한빛미디어, 1999.
  • 가격3,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2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5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