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 한용운의 시세계의 특징(작품별특징)-(국어C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해 한용운의 시세계의 특징(작품별특징)-(국어C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만해 한용운의 시세계의 특징
1. 만해 한용운의 생애와 시세계의 특징
2. 시세계 주제의 상징적 의미
 (1) 사랑의 동기화
  ① 구속과 자유의 표상
  ② 이별과 만남의 표상
 (2) 생명의 동기화
  ① 생명 상실과 극복에의 표상
  ② 영원한 생명성 희구의 표상
 (3) 초극 의지의 동기화
  ① 절대적 구원의 표상
  ② 님과의 합일의 표상
3. 만해 한용운 작품의 독특한 시적 구성
4. 불교사상과 독립사상의 결합을 통한 시적구성

Ⅱ. 만해 한용운 작품의 시세계의 특징 연구
1. 만해 한용운 작품의 시세계의 특징 - 님의 침묵
2. 만해 한용운 작품의 시세계의 특징 - 나의 길
3. 만해 한용운 작품의 시세계의 특징 - 예술가
4. 만해 한용운 작품의 시세계의 특징 - 당신을 보았습니다

Ⅲ 만해 한용운의 시세계 평가

본문내용

이다.
㉢ <나>는 땅이 없고 추수가 없는 심한 빈농으로 드러난다.
㉣ <나>는 한걸음 나아가 거지가 된다. <주인>의 말을 빌리면 <거지는 인격이 없으니까 생명이 없다>고 한다. 따라서 이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재산이 우리 인격이며 우리 생명이다>, 이런 뜻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 소유권이 인격이며 생명이라는 물질지상의 생각이다. 이런 상황에서 거지는 사회적인 무를 상징한다. 그리고 <너를 도와주는 것은 죄악이다>. 이 말은 자비를 철저하게 부정함을 가리킨다.
㉤ 그러나 자비가 없으면 진리도 없다. 물질지상의 원리에 따라서 자비가 철저히 부정될수록 <나>는 끝끝내 <쏟아지는 눈물 속에서> 즉 너무나 벅찬 자비 속에서 진리를 본다! 그리고 자비는 공의 경지를 떠나지 않는다. 여기서 우리는 <인>의 공덕을 엿볼 수 있다.
㉥ <다른 까닭을 겸하여 민적이 없다>. 일제하에 살고 있었던 우리 민족 전체는 민적이없는 존재나 다름이 없었다! 사실 만해는 일생을 호적 없이 살았다고 한다.
㉦ <장군>은 무엇보다도 우선 일제를 가리킨다. 일제는 한국사람의 인권을 부정하고 능욕하였다. 또한 <장군>은 모든 정치권력을 뜻한다고 할 수도 있다.
㉧ <그를 항거한 뒤에>. 이 구절은 만해 자신이 영도한 삼일운동을 뜻한다. 모든 문제는 <자기의 책임>이라는 것이 선의의 입장이다. 따라서 일제하에서 우리가 살게 된 것도 우리 책임에는 틀림이 없다. 따라서 일제에 대한 격분이 <스스로의 슬픔> 즉 자기의 책임으로 변하는 순간에 진리를 본다. 바꾸어 말하면 공의 경지는 일제가 우리 민족을 강간하려는 것을 항거 할 수 있는 동시에, 우리 민족 자신의 책임을 드러낼 수 있는 힘을 가진다.
㉨ 일제하에서는 <온갖 윤리, 도덕, 법률은> <칼> 즉 일제의 권력과 <황금> 즉 금전과 물질을 위하여 있는 <연기> 즉 무와 비슷한 것이었다. 우리는 <제사지낸다>는 말에 두가지 뜻을 읽을 수 있다. 하나는 <존경한다>. 둘째는 <상대방을 죽은 존재로 여긴다.> 따라서 일제하에서는 <온갖 윤리, 도덕, 법률>은 일제와 금전 역시 죽은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연기> 즉 무와 같은 것이었다. 이렇게도 해석할 수 있어서 뜻은 더욱 날카로와질 뿐더러 깊어지기도 한다.
㉩ 지금까지 <나>는 땅도 추수도 없는 빈농, 혹은 인격과 생명이 없는 거지로서 등장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집도 민적도 없는 가녀린 여인으로서 <장군>에게 능욕당하려다가 <그를 항거한다.> 그러나 이 <항거> 다음에는 온갖 윤리, 도덕, 법률이 칼과 황금으로 더불어 부정되면서, <나>는 그 참된 모습을 드러낸다. <나>는 여기서 깨달음의 경지가 종교적인 진리(<영원의 사랑>) 일뿐더러,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는 원동력이요, 실천력이라고 믿고 행동한(인간역사의 첫페이지에 잉크칠을 한) 독립투사였고 대선사인 만해 자신으로 변한다.
Ⅲ 만해 한용운의 시세계 평가
만해 한용운은 진보적인 개혁승으로서, 혁혁한 독립 투사로서, 또한 시집 님의 침묵의 시인으로서 입체적인 성격을 지닌다. 만해 한용운은 한국 근대사가 내포하고 있던 모순과 문제점을 첨예하게 파악하고 실천적으로 극복하려고 노력한 민족적 선구자인 동시에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성취함으로써 문학사의 전환을 보여 준 신문학사 최대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다. 만해 한용운은 민족 운동사에 있어서도 3.1운동의 주도적 참여는 물론 '조선 독립에 대한 감상의 대요'를 통해 자유사상. 평등사상. 민족사상. 민중사상. 진보사상, 그리고 사랑과 평화의 철학을 기미 독립 운동의 사상적 기저로서 체계화한 데서 큰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일제 패망 직전 극도의 궁핍 속에서 심우장 냉돌 위에서 순국하기까지 보여 준 정신의 일관성과 지절은 우리들에게 커다란 힘이 되었다.
만해 한용운의 불교사적 공적은 그가 '조선 불교 유신론', '불교대전' 등을 통해 이 땅의 침체됐던 불교를 개혁하여 근대화하고자 노력한 데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불교 개혁 운동 또는 불교 근대화 운동으로 요약할 수 있는 그의 불교 운동은 그것이 민중 불교, 생활 불교 운동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니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소중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무엇보다도 만해 한용운의 의미는 문학사의 측면에서 드러난다. 시집 '님의 침묵'이 지니는 전통성과 현대성이 이 땅의 전통 문학사와 현대 문학사를 이어 주는 매개 고리로서 작용하는 것과 함께 순수 문학과 참여 문학이라는 문학의 근본 모순을 탁월하게 꿰뚫어 냄으로써 식민 사관 극복의 실마리를 실천적으로 열어 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일제 패망 직전 심우장 냉돌 위에서 순국, 저항 시집 '님의 침묵'을 남겨 무엇보다도 한국 근대시를 논하는 데 있어 만해와 그의 문학은 반드시 뛰어넘어야 할 거봉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그것은 단지 그의 문학이 지닌 예술적 형상서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또한 그의 문학이 지닌 문학사적 위치 때문만도 아니다. 그와 그의 문학은 험난한 역사를 살아가는 예지와 용기를 일깨워 주며, 현실적인 생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신념과 희망을 불러일으켜 준다는 점에서 참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끊임없는 실천과 행동,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신념과 사상의 일관성이야말로 만해 정신의 위대한 덕목이 아닐 수 없다. 어느 국민, 국가에 있어서나 그 나라 겨레들이 애송하고 추앙해 마지않는 국민 시인이 있을 수 있고, 또 있어야만 한다. 이렇게 본다면 종교와 투쟁, 그리고 문학 예술이 함께 하면서도 실천과 사상, 그리고 일관성이 더불어 빛나는 만해 한용운이야말로 이러한 국민 시인으로 사랑 받고 존경받아 마땅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한용운 평전』/ 고은지음, 향연, 2004
2. 『한용운 산문선집』 / 한용운지음, 현대실학사, 1991
3. 『조선 청년에게 고함』 / 김상현지음, 한국학술정보, 2003
4. 『한국문학통사1』 / 조동일지음, 지식산업사, 2005
5. 『한국문학사』 / 김윤식지음, 민음사, 1998
6. 『한국문학의 이해』 / 김흥규지음, 민음사, 1998
7. 『불교대전』 / 한용운지음, 이원섭옮김, 현암사, 1980
  • 가격3,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4.28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