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의 질문지설계 및 조사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질문지의 의의와 구성요소

Ⅱ. 질문법의 장단점

Ⅲ. 질문지 작성의 일반적인 과정

Ⅳ. 조사관리

본문내용

는 것으로 규모는 작으나 본조사와 동일한 절차와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한다(본조사의 리허설적 성격).
1) 사전검사의 목적
⑴ 질문어구의 구성 점검
① 응답내용의 내적 타당성 검토 : 동일한 응답자의 응답 분포가 일정하지 않고 무질서하며 전후 모순이 있을 때에 다시 검토
② 응답의 편중에 대한 검토 : 응답자가 all or nothing의 형태로 응답한다면 가치없는 응답
③ DK식 응답, 기타 항목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경우 : 질문의 내용이 모호한지, 거북한지, 지나치게 어려운지 검토
④ 응답자들이 제시한 가외적 의견(marginal comments)도 검토 : 의외의 새로운 발견이 가능
⑤ 필요에 따라 식별질문(screening question)을 삽입
⑥ 응답에 거절이 많은 경우 : 거절의 사례가 5% 이상이면 적절하지 못함
⑦ 응답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 : 응답의 내용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던가 투사방법을 사용
⑧ 질문의 순서가 바뀌었을 때 응답에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면 그것은 어구구성이 잘못된 것
⑵ 본조사에 필요한 자료수집
① 응답자의 장소 및 분위기
② 응답상 필요한 시간
③ 응답자의 유동성 ∼ 표본조사의 경우 표본의 크기와 관련
④ 현지 관서와의 관계
⑤ 기타 조사상의 애로점 및 타개방법
2) 예비조사(pilot test)
조사연구문제의 요소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때에 핵심적인 요점과 요소가 무엇인가를 명백히 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탐색적 성격의 조사
⑴ 속성
사회조사의 형태를 목적에 따라 기초조사, 기술적 조사, 입증적 조사로 분류할 때 예비조사는 일정한 조사문제에 대한 관계정보를 다각적·전문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의 기초조사
⑵ 탐색적 조사와의 차이점
양자는 모두 기초조사이나 목적에 있어 차이
① 탐색적 조사 : 조사·연구문제에 대해 사전지식이 결여된 경우 문제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조사
② 예비조사 : 문제영역은 결정되었으나 조사문제의 핵심적인 사항을 찾아내기 위한 조사
⑶ 목적
① 연구문제의 특정화 : 결정된 연구문제를 명백히 한다.
② 가설의 명백화 : 연구의 방향이 뚜렷해지고 조사의 효율성
③ 조사표작성의 기초
⑷ 방법 : 문헌조사, 경험조사, 특수사례연구, 현지조사 등
3) 예비조사 vs 사전조사의 차이점
① 시간적 측면 : 초기단계 vs 설문지 작성 후
② 목적 : 조사문제의 규명, 가설의 명백화 vs 질문지 작성의 타당성, 신뢰성 검증
③ 형식성 : 비조직적 기초조사 vs 조직적이며 공식적 조사
9. 설문지의 완성
Ⅳ. 조사관리
연구설계와 조사설계를 통해 잡힌 계획과 실제 실사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관리
1. 조사자의 선정
알아내려는 사실에 따라, 응답자의성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즉 피면접자에 대한 접근의 용이함이나 조사목적 및 질문내용 등에 비추어 결정해야 된다.
ex) 조사자 선정이 잘못된 예
① 무허가 판자촌의 주민들과 면접할 사람을 부유층에서 선정
② 여성피임에 대한 조사를 남성이 조사
2. 조사자로서의 적합한 성격
① 어떤 사람하고든 잘 얘기 할 수 있는 사람
② 눈치가 빠른 사람
③ 끈기가 있는 사람
④ 비위가 좋은 사람
⑤ 어떤 문제이든 열성과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사람
⑥ 기억력이 좋은 사람
⑦ 속기 할 수 있는 사람
⑧ 용모나 몸차림이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사람
⑨ 건강한 사람
⑩ 가능하면 학력이 높으면서 겸손하며, 임기웅변에 강한 사람
3. 조사자의 훈련
1) 전체회합
현지실사를 떠나기 전에 면접자를 집합시켜 조사의 규모, 목표, 방법 등에 관한 일반적 지식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대상에 대한 설명과 질문지의 질문, 처리방법에 대한 통일성을 위해서도 중요하고, 이미 계획으로 잡힌 감독자와의 교신방법 등의 모든 제반사항을 통지하고 문제점을 해결한다.
2) 간단한 테스트
면접자가 면접지침을 제대로 이해하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한 테스트
3) 시범면접
감독자나 연구자가 조사자 앞에서 실제로 면접을 시범하여 조사방법을 전수하는 방법
4) 시험면접
시범면접 후 실제로 면접을 하나 둘 정도 시켜보아 면접자의 장단점을 찾아내어 부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간단한 테스트와 병행할 수 있다.
4. 감독
연구자가 조사설계한대로 조사가 이루어 지고 있는지 감독하는 것으로 감독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러운 돌발사고에 대한 처리와 조사상황에 대해 처리를 위한 것이다.
5. 자료의 처리
1) 편집
조사해 온 자료가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으로 잘못 표기하거나, 기록에서 알아볼 수 없거나, 개방식 질문의 경우 하나의 범주로 묶을 필요가 있을 때 그 과정을 지칭한다.
① 조사표에서 응답이 누락된 것이 있는지 확인
② 기입이 불완전한 조사문항을 가려낸다.
③ 알아보기 어려운 기록을 바로 잡는다.
④ 응답의 기입법을 통일한다.
⑤ 계산의 착오를 찾아낸다.
⑥ 잘못된 기록을 찾아낸다.
⑦ 조사원의 부정하게 임으로 작성한 기록을 찾아낸다.
⑧ 추정회답을 기입한다.
2) 부호화
일정한 부호화 지침에 따라 사람이 조사표의 각 항목의 계통적 숫자나 기호로 바꾸어 놓는 것을 뜻한다. 즉 여러 가지 정보를 한정된 응답범주로 대치함으로서 자료의 처리를 단순화하고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 미수집자료(missing data)의 보완
보완되는 자료에서 상당한 오차의 발생은 감수
① 평균치삽입법(inserting means approach)
변수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누락된 사례의 변수값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례나 변수에 대한 사전지식이 충분하지 못할 때 사용
② 보삽법(interpolation method)
시계열자료의 누락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년간에 걸친 자료를 수집할 때 한두 해의 자료가 수집불능이면 평균치를 계산하는 직접보삽법으로 추정이 가능
③ 평가치추정법(estimating values approach)
가장 세련된 방법으로서 평균치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작은 오차만을 감수하면서 원래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맥락적 사정이나 행렬식의 자료를 고려하여 사용한다.
4) 미수집 자료 보안의 시기
시기는 맥락적 자료를 수집한 직후가 적당하고, 어떤 종류의 기법을 활용할 것인지는 여러 가지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28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