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 지도안(세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국어 지도안(세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구성 내용
4. 단원 학습의 목표
5. 단원의 학습 지도 계획
6. 과제 학습
7. 지도상의 유의점
8. 본시 학습 지도 계획

본문내용

고 관사, 관계 대명사가 없다
⑥목적어가 서술어의 앞에 놓인다
▣ 고대 국어의 모습
▶국어는 삼국 시대 이전부터 형성되었으나, 이 때는 말만 존재하였다.
▶삼국의 언어는 방언적 차이 정도만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유한 문자가 없어 한자를 빌려 썼으나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의 의사 소통은 원활하지 못했다.
Ⅲ. 고대의 국어 생활
▣ 우리 조상이 왜 한자를 빌려 썼을까?
☞ ( )를 매개로 고유의 문화 및 전통을 바탕으로 중국 대륙의 선진적인 ( )를 수입하 고, 국가 체제의 수립하고 정비하는 과정에서 ( )의 수단으로 사용 했을 것이다.
▣ 우리가 고대에 살았다면, 다음 경우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어떤 방법으로 표현 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 인명(人名) : 한자의 음을 따서 적은 경우를 찾아번호를 적으시오. ( )
☞ 지명(地名) : 한자의 뜻을 따서 적은 경우를 찾아보자. ( )
☞ 노랫말 적기 : 한자의 음과 뜻을 따서 적은 경우를 찾아보자.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羅衣)( )( )( 化皮隱 )( ),( )(薩九花)( )(進達來)
① 故鄕隱, ② 이가람 : (李可藍), ③ 안골: (內里), ④ 버들골: (柳里), ⑤ 福崇亞花, ⑥ 새 터: (新垈), ⑦ 牙器, ⑧ 김슬기: (金瑟氣), ⑨ 밤골: (栗村), ⑩ 薩多隱, ⑪ 山骨,
▣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18쪽)
①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음(音)만 빌려 오는 경우
예)`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素那로 적고 그 음을 빌려 옴.
② 한자의 음을 버리고 의미만 빌려 오는 경우예)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金川으 로 적고 그 뜻을 빌려 옴.
素那(或云金川) 自城郡蛇山人也
소나(素那)[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 삼국사기 권 제47
☞ 金은 쇠. 川은 내, 那와 음상이 비슷. 素那를 소나로 읽었는지 쇠내, 쇠나로 읽었는지 정확히 말할 수 없다.
▣ 고유명사의 표기 -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교과서 22쪽]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경덕왕은 길동군(吉同郡)을 영동군(永同郡)으로 고쳤다. 이것은 고유 명사 표기 방식 중 다음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말해 보자.
① 한자의 음을 빌려 적게 된 유형 ② 한자의 뜻을 따서 적게 된 유형
③ 중국어를 한자로 적게 된 유형 ④ 순우리말을 한자로 적게 된 유형
⑤ 한자의 음과 뜻을 따서 적게 된 유형
☞ 정답 : ( ) 도움말 : 영(永) (길 영)
▣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한 노력 이해하기
▷한자 차용에 의한 우리말 표기 방식
① 향찰 : ( )
<예> 善化公主主隱 (선화 공주님은)
▶뜻으로 읽는 글자는? : ( )
▶음으로 읽는 글자는? : ( )
☞ 참고 : 서동요에 쓰인 한자의 음과 훈
善 착할:선, 化 될:화, 公 공변될:공, 主주인:주, 隱 숨을:은, 他 남:타, 密 은밀할: 밀, 只 다만:지, 嫁 시집갈: 가, 良둘:량, 置 둘:치, 古 예:고, 薯 마:서, 童 아이:동, 房 방:방, 乙 새:을, 夜 밤:야, 矣어조사:의, 卯 넷째지 지:묘, 乙 새:을, 抱 안을:포, 遣 보낼:건, 去 갈:거, 如 같을:여
형성평가
1.(보기)를 통해 추리할수 있는 사실로 적절한 것은?
(보기)
영동군은 본래 길동군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있다
① 차자표기방식이 변하였다
② 백성들의 한자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③우리말 지명을 한자어로 바꾼것이다.
④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이 본격화 되었다.
⑤ 한자를 읽는 방식이 음독에서 훈독으로 바뀌었다
zb1)
2. 고대 국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신라를 계승한 고려의 언어가 고대 국어에 속한다.
②자료 부족으로 이 시기 언어의 구체적인 모습을 알기 어렵다.
③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로 분화되어 서로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도 가지고 있었다.
④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부터는 경주(慶州)를 중심으로 언어가 통일되는 양상을 보였다.
⑤대체로 북방(北方)의 부여계(夫餘系) 언어와 남방(南方)의 한계(韓系) 언어로 나뉘어 있었다.
전개
(36)
▶국어의 계통:국어의 계통에 대해서는 그 동안 많은 자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분명하지 않은 점이 많다. 여러 자료를 볼 때, 몽골어군(語群), 만주퉁구스어군, 튀르크 어군 등과 함께 국어가 알타이 어족(語族)에 속할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은 분명한 증거가 확보되지 않아 가설 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국어의 형성:역사 시대 이후 만주 일대와 한반도에 자리잡은 우리 민족의 언어는 대체로 북방의 부여계(夫餘系)언어와 남방의 한계(韓系)언어로 나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이들 언어는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로 분화되어 공통점과 함께 방언적 차이점을 가진 언어들로 발전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 한자를 쓰게 되었는지 PPT 자료를 통해 설명을 해준다.
▷학생들은 PPT자료를 보고 한자를 왜 쓰게 되었는지 이해를 한다.
▶우리 조상들은 문자가 없던 상황에서 한자를 매개로 고유의 문화 및 전통을 바탕으로 중국 대륙의 앞선 제도와 문화를 수입했을 것이다. 특히 삼국이 국가의 체계를 갖추고 통치 체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한자를 통치의 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대에 살았다면 인명과 지명을 어떻게 표기 했을지 발표 과제를 제시해 준다
-인명:음을 한자의 음을 따서 적은 경우
예) 이가람, 김슬기
-지명:한자의 뜻을 따서 적은 경우
예)안골, 버들골, 새터
▷모둠별로 교사가 내준 과제를 서로 협동하여 푼다.
▷모둠별로 과제를 해결할 때 모두가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 하도록 한다
▷교사가 내준 과제 외에도 스스로 지명이나 인명을 한자의 음과 뜻을 따서 바꾸어 본다
▷한자의 음과 뜻을 따서 이름을 바꾸어 봄으로서 향찰 문자의 개념을 이해한다.
▶모둠별로 노래말을 한자로 개사해서 불러 보는 과제 제시 해 준다
제시과제-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모둠별 발표를 통해 기발한 작품은 걸어 놓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5.0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