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의 형성과 변화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과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서양에서의 교과의 형성과 발전
1) 그리스 로마 시대의 3R`s 와 7 자유과
2) 중세의 종교적․도덕적 교과
3) 르네상스와 인문 교과
4) 종교개혁․실학주의․신인문주의 - 대중교육에의 교과
5) 근대적 교육 제도와 교과
6) 21세기 사회의 교과
2. 한국에서 교과의 형성과 발전
1) 삼국 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의 학교 교과
2) 현대 학교 교과의 기본틀 형성과정
3) 학교 교과의 변화과정
4) 학교 교과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 학교 교과의 사회역사적 성격
결 론

본문내용

을 받기는 하지만 그것에 의해 그대로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그러한 외적 요인의 영향은 교육 체제 내에 반영되어 내적 요인과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한편 교육과정과 학교 교과에는 그 자체의 독자적인 역동성과 논리가 있습니다. 이것은 사회(구성체)내에서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L. Althusser, 1969: 87-128)이란 의미로도 파악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인식되고 고려되어야 할 요인입니다.
학교 교과는 기존의 정치적 요구뿐 아니라 전문적, 사회적 이해관계와 갈등이라는 자기 역동성(self-dynamics)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역동성 위에서 학교 교과가 그 본래의 규범적 가치에서 벗어나 더 큰 권력의 구조와 이해관계 속에 위치 지워지고 변화됩니다. 구조적 관계들과 의미협상의 상황적 활동들이 상호작용하면서 학교 교과에 표현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교 교과는 사회의 성격 변화에 따라 그 형성과 변화에 미치는 형향 요인이 다를 수 있습니다. 사회가 폐쇄적이고 권위주의적일 경우 교육과정 결정은 중앙집권적인 체제에 의해 결정되며, 일방적으로 보급·전파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이 때 학교 교과는 국가적, 정책적 요구에 의해 형성·변화됩니다. 반면 사회가 개방화되고 다양한, 민주화될수록 교육과정은 분산적인 의사결정 체제에 의해 결정되며, 학교 교과의 변화에 전문적인 교과집단의 견해가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렇게 볼 때 한국 학교 교과의 형성·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설명 요인이 되는 이해집단들의 영향력은 최근의 한국 사회의 변화--민주화 경향--와 함께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진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결 론
지금까지 한국에서의 교과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또 그것을 통해 교과의 성격도 규명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향후 한국 학교 교과에 대한 연구 및 교과교육의 발전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 한국의 중등학교 교과는 교육의 주체인 학습자의 학습권을 우선시 하기보다는 교육과정에 작용하는 외적 요인과 교과를 둘러싸고 존재하는 교과 공동체들의 이해관심에 의해 형성되고 분화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어떠한 경우든 간에 교과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 만틈 교과가 형성되고 분화될 때 학습자의 학습권을 우선 존중하여 학습자의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둘째, 앞으로는 새로운 교과나 과목이 신설되거나 또는 교과목이 통합되고 분화될 때 그러한 교과 '형식'의 정당성의 근거나 이유가 합리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아울러 그것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있어야만 할 것입니다. 왜 그러한 교과 또는 과목을 학생들에게 특정 교과 '형식'으로 가르쳐야만 되는지에 대한 논리적인 준거가 제시되어야 하며, 그것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도 병행되어, 그 형식의 합리성 여부를 어느 정도 사전 심의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한편 교과들 중 그 자체의 고유한 논리나 형식, 사고방식에 의해 교과로서의 내재적인 정당성을 확보하게 되는 경우는 주로 학문적 교과들이었고, 생활에서의 필요나 실제적인 유용성, 사회적인 요구 등의 외재적인 측면에서 교과로서의 가치를 제시하는 경우는 실용적 교과나 정책적 교과들이었습니다. 이때 일부 정책적 교과와 실용적 교과의 정당성 문제가 새롭게 그리고 끊임없이 논의될 필요가 있는데, 그 경우 생활의 필요나 사회의 요구라는 것이 시간의 흐름을 견디어 낼 수 있는 것인지가 재검토되어야 할 것입니다. 즉, 사회나 생활상의 변화 속에서도 그러한 요구나 필요들이 여전히 지속될 수 있는 것인지가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교과의 정당성의 제시는 교과 안에 과목들을 통합하거나 분리하여 새로운 교과를 제시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합니다. 한국의 중등학교 교육과정에는 교육과정 구조에서만 통합된 교과형식으로 제시될 뿐 실질적으로 운영되지 않아 실제 학교 교과로 존재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1946년의 교수요목이나 1차 교육과정에서의 '사회생활'교과, 5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 과목을 들 수 있습니다. 또 통합된 경우는 아니지만 교육과정에서만 존재할 뿐 실제로 학교에서 운영되지 않았던 예로 4차 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자유 선택과목을 들 수 있습니다. 이는 6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새로운 선택과목(과정별 필수, 과정별 선택과목)의 경우에도 해당됩니다. 따라서 교과를 통합할 때와 그 후 과목들을 분리하거나 새로운 또 다른 과목들을 신설할 때 정당한 이유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셋째, 교과 '형식'의 논리적이 준거가 제시되고 토론되어야 하는 것과 더불어 제도적인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컨대 교육과정 구조에서 교과가 통합될 때 그에 따른 교사 양성 체제가 같이 통합되어야 하는데, 학문 분야에서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립되지 않아 통합된 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가 양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아울러 입학시험과 같은 평가 체제, 교과서 개발 등과 같은 제도도 함께 조정되어야만 하는 것들입니다. 물론 이러한 것들은 제도적인 수준의 조정과 개선 외에도 교사나 교과 전문가 그리고 교육행정가들의 공통된 발상 전환의 노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지만, 그래도 제도 개선이 인식의 전환을 앞당길 수도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교과의 형성과정에는 우선 많은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나라의 정치적 목적으로 교과가 형성되기도 하고, 일제 식민지 시대의 사고와 사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아직도 거기에 얽매인 생각으로 교과를 편성한다는 점은 정말로 고쳐져야 하는 점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교과의 형성이 학교교육의 변화와 대학에서의 학과 개설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점을 알고 교과라는 요소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교과가 모든 사람들의 생각을 다 수용할 수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서로 이해하고 노력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편하게 배울수 있는 그런 교과가 되어서 나오는 날이 왔으며 좋겠습니다.
진영은, 조인진 공저. 『교과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7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5.13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