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과 특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아시아의 개념
1) 지리적 의미의 동아시아
2) 역사적 의미의 동아시아

Ⅱ. 동아시아 문화권의 특징
(1) 한자
1. 한자의 전파
2. 한대(漢代)의 유교

(2) 유교
1. 유교의 기원과 사상
2. 한대(漢代)의 유교
3. 위 ․ 진 ․ 남북조 시대의 유교
4. 당대의 유교
5. 동아시아문화권 국가의 유교

(3) 불교
1. 한국의 불교
2. 일본의 불교

(4) 율령
1. 한국
2. 일본
3. 베트남

Ⅲ.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
(1) 중국 고대 사회
(2) 진 ․ 한 시대의 중국
(3) 위 ․ 진 ․ 남북조 시대와 수의 통일
(4) 세계적으로 발전한 당

Ⅳ. 동아시아 각국에서 바라보는 ‘동아시아 문화권’

Ⅴ. 맺음말

본문내용

2. 일본 - 상설(詳說)일본사(1997년, 2002년 문부과학성 검정)
일본의 교과서에는 1997년 검정본의 경우 「동아시아의 넓은 지역이 당을 중심으로 하는 공통의 문화권을 형성」하였으며 그 속에서 일본이 수, 당 제국의 문화를 전면적으로 수용해 간다는 기술을 하고 있다. 또한 아스카(飛鳥)문화 일본 아스카 시대의 문화. 7세기 전반에 백제의 영향을 받은 일본 최초의 불교 문화로서, 나라 현(奈良縣)의 호류 사에 대표적인 유물이 있다.
에 대해 「새롭게 백제와 고구려 등을 통해 전해진 중국의 남북조 시대 문화의 영향이 보태져」, 하쿠호(白鳳)문화 7세기 후반(645~709)의 일본의 고대 문화. 하쿠호(白鳳)란 당시의 연호였다. 이 문화는 불상, 탑,가람(절) 배치, 정치 제도 등의 분야에서 통일 신라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는 「당과의 교섭에 의해 중국문화가 직접 유입하는 길이 열렸기 때문에 미술에도 초당(初唐) 문학사적, 또는 역사적 측면에서 당의 발전단계는 초당(初唐)·성당(盛唐)·중당(中唐)·만당(晩唐)의 4시기로 구분된다. 초당(618~712), 성당(713~765), 중당(766~835), 만당(836~907).
의 문화 영향이 보인다」고 설명하는 등 중국을 크게 취급하고 조선의 3국에 대해서는 크게 취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2002년 검정본에서는 「당은 아시아에 대제국을 만들고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여 주변 지역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스카 문화는 백제와 고구려, 그리고 중국의 남북조시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하쿠호 문화는 신라에서 전해진 중국의 당 초기 문화의 영향을 받아」 등의 기술로, 기존에 비해 한반도의 문화적 역할을 강하게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당을 중심으로 한 공통의 문화권을 형성」했다고 하는 기술이 없어진 것에 나타는 것처럼 동아시아 문화권의 색채가 약해지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동아시아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쓰여있을까?』, 나카무라 사토루, 에디터
3. 중국, 대만 - 중국역사(중국, 1999년), 고급중학역사(대만, 2000년)
중국의 자국사 교과서는 동아시아 문화권 성립 시기에 관해 파릉초(凌草:시금치)와 와거(窩:상추)가 서역에서 전해진 한편, 차의 재배와 제차(製茶가) 중국 기원인 점, 중국 서적의 신라로의 전파, 신라가 당을 모방한 과거와 역법을 채용한 점, 인도에의 제지법 전파와 인도로부터의 제당법(製糖法) 및 수학, 천문, 의학서의 전파, 실크로드에 위치한 서역으로의 견제품, 가지, 제지품의 전파와 페르시아 예술과 이슬람교의 수용이 소개되었다(중국역사, pp. 324~376).
대만 교과서에는 성당(盛唐)의 문화와 다방면의 예를 들었다. 율령제도가 현재에도 중국 법체계의 대표이며 세계적인 법체계의 하나로서 생각되는 점, 돈황(敦煌)에 보이는 예술작품의 훌륭함, 수, 당의 문화가 선진적이었기 때문에 서역과의 교통이 활발해졌고 문화가 서방으로 전한 것을 들고 있다. 동아시아 제지역과의 관계에서는 한반도의 경우 신라의 중앙 지방 정치제도가 중국과 닮은 점, 풍습의 유사성 등을 기술하고 일본에 대해서는 성덕(聖德)태자에서 시작된 견수사 견당사가 비교적 자세히 소개되었다. 또한 일본이 전면적인 한화(漢化)정책을 채용했으며 당의 관료제와 당률(唐律)을 반영한 대보율령(大寶律令)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초기인 다이호 1년(701)에 중국 당나라(618~907)의 법전을 본떠 완성한 행정 및 형사(刑事)에 관한 법전.
등 수 당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 한 점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 두 가지 기술에서 중국과 대만의 기술상의 차이가 부각된다. 대만은 중국의 제도와 문화가 어떻게 근린 제국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중점을 두었고, 중국은 영향을 받은 점도 기술하였다. 하지만 중국이 영향을 받은 지역은 서방세계이고, 동아시아 각국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은 것에는 언급이 없다. 『동아시아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쓰여있을까?』p222, 나카무라 사토루, 에디터
Ⅴ. 맺음말
요즘은 각 지역별로 통합을 추구하는 시기이다. 커다란 유라시아 대륙에서 전쟁을 거듭하던 유럽 국가들도 이제 EU의 깃발 아래 경제 통합, 정치 통합을 추구하며 대륙의 미국과 경쟁하고 있고, 아메리카대륙 역시 (미국의 패권주의의 모습이 엿보이긴 하지만) NAFTA 등을 통해 통합을 추구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 동아시아의 국가들도 고대부터 이어져 온 공통된 문화적 기반인 ‘동아시아 문화권’을 중심으로 충분히 통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중첩된 역사를 지니고 비슷한 문화적 기반을 공유하면서도 통합을 추구하지 못했다는 것이 오히려 더 이상한 것일지도 모른다. (물론 그 원인에는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이유가 있지만 여기서 그 논의는 배제하였다.) 하지만 이는 옛날처럼 중국 중심적인 통합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서로의 역사를 이해하며, 자국 중심주의를 넘어 넓은 범위에서 동아시아를 바라보는 진정한 의미의 통합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한국한문학연구 제5집-제3회 한국한문학 학술회의-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한문학의 교류
강길중 외, 중국역사의 이해, 경상대학교 출판부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차하순, 새로 쓴 서양사 총론, 탐구당
東洋史學會 編, (槪觀)東洋史, 知識産業社
John K. Fairbank 외, 김한규 외 공역, 동양문화사, 을유문화사
박한제 외,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라이샤워 외, 동양문화사
민석홍 외, 세계문화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나카무라 사토루, 『동아시아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쓰여있을까?』, 에디터
<참고사이트>
http://www.ksjs.or.kr/tt/board/ttboard.cgi?act=read&db=colinsa2&page=1&idx=1
http://blog.naver.com/ispark1127?Redirect=Log&logNo=120010076620
http://mtcha.com.ne.kr/world-term/china/term112-yulyunggyugsig.htm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백과사전
구글 이미지검색
  • 가격2,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0.05.1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