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정신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Ⅰ 현대문명속의 종교와 정신의학

1. 종교란 무엇인가?

2.한국사회와 종교

Ⅱ 인간 예수와 그 사랑의 회복

3. 마태복음론 -정신분석학적 해석-

4. Jesus의 죽음과 마지막 7언의 분석 -인간의 삶을 살고 가신 예수님-

5. 서양 기독교 역사와 사랑의 왜곡-사랑이 병리화된 현대사회-

6. 기독교 정신과 참사랑의 회복 -참 사랑을 실천하는 길-

7.아가페적 사랑학 강의 -신학적 접근- (박원기 목사)

Ⅲ. 정신분석학자가 본 오늘의 종교 ․ 종교인

8.종교병리론 -한민족의 종교성은 서양과 다르다.

9. 한국 크리스챤의 의식구조 -기독교 병리화로 인한 몇 가지 문제점-

10. 한국문화 속에 왜곡된 서양 기독교 -한국인의 한과 서양인의 원죄의식-

11. 민족전체를 치료하는 기독교 -새로운 사회윤리를 창조하는 길-

Ⅳ 기독교와 정신분석의 교류와 협동

12. 기도란 무엇인가? - 정신분석학으로 본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맺기

13. 구원이란 무엇인가 -정신분석, 실존적 접근-

14.신학적 입장에서 본 구원 -신학적 접근- 박원기 목사(사회병리연구소 특강요지)

15. Paul Tillich와 기독교 정신 - 폴 틸리히의 이론을 중심으로-

16. Paul Tillich가 본 정신분석

17. 기독교와 정신분석

평 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하며 불안, 허탈감, 소외감이 죄에 해당하는데 정신분석에 나오는 증상을 연구해보면 성서에 나오는 죄의 형태다. 총체적 측면으로 본 악마의 구조는 기독교에서 보는 악마는 의식의 산물이며 정신분석에서 무의식을 밝혀냈기 때문에 악마도 의식과 무의식이 합해진 총체적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설교를 통해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시켜 선하고 성숙한 사람이 되도록 해야한다.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상대라도 받아들이기는 '용서'에 대한 진짜 개념을 기독교에 가르쳐 준 것이다. 정신분석적 치료는 '용서'에서 시작되고 관용과 수용에서 시작된다. 환자의 괴로움과 고통을 공감하고 용서하고 받아들이면서 치료를 시작한다. 기독교와 정신분석 교류의 필요성 신학에 있어서 인간의 불행이 무엇인지 연구할 수 있는 계기를 던져준다. 정신분석과의 교류는 상호간의 영역을 넓히는 일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프로이드가 치료하는 것은 노이로제 증상들은 존재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물을 고치는 것이고 '인간의 본질'적인 것은 고칠 수 없다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거듭나서 새로운 존재가 되는 것이다.
17. 기독교와 정신분석
하나님과 개인간의 '대상관계'를 배워야하는 것을 정신분석학에 가르쳐주는 점이다. 칼융도 '결과적 원인'과 '원인적 원인'의 두 가지가 있다고 말한다. 병이 오는 데는 잠재적 고의성이 숨어 있다. 인간은 남과의 관계를 통해서 인격이 형성되어가고 표현되며 만나는 상대방에 따라 태도가 달라지므로 대상관계는 중요하다. 새로운 존재(New Being)가 되도록 하는것은 마음속의 갈등을 제거하고 병증상을 없애는 것은 물론 진리의 뜻을 향해서 나아가도록 해주는 것이 완전한 치료라고 보며 신학에서 받아들여야 된다. 공간에 얽매이지 않는 시간성으로 가도록 열등감, 좌절감, 분노, 질투에서 해방시켜 주어야 한다. 세속적 관심에서 자유하기위하여 궁극적 관심을 통해서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찾도록 해주어야 하고 더 높은 가치가 있다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한다. 분노가 자기 안으로 향하면 노이로제가 되고 밖으로 향하면 범죄인이 되는 것이다. 테두리 밖에서 비춰볼 때 깨달을 수 있다. 진정한 인간의 모습은 위대하고 우아한 존재라는 것을 신학자들에게 배울 수 있다.
평 가
정신분석은 학부를 졸업한 독자들이라면 거의가 낯설지 않다 더욱이 목회자나 신학생들에게는 조금은 접해 보았으리라고 볼 수 있는 논제이며 더불어 기독교와 정신분석을 함께 접목함은 참으로 유익할 것이다. 저자는 사회적인 명성과 학자로서 존경받기에 족함이 없으시며 많은 저서를 집필하시고 또한 왕성한 활동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됨은 말할 것도 없다.
저자의 명성과 권위에 경의를 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자는 다른 저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5장에서 자유를 얻었으나 인간은 타락했으며 하나님과 단절된 삶을 산다 라는 이론과 코데스키 저 한기태 역(1999) 심리학의 기독교적 이해에서 자유의 오용으로 인간은 하나님과 도덕적, 영적 격리상태 이웃과 사회적 격리상태로 타락했으며 코데스키 저 한기태 역 「심리학의 기독교적 이해」(소망사 1999).
라는 이론은 서로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8장에서 행동화된 믿음은 병리적 증상으로 여러 가지 몸짓 손뼉 고함치기 눈물 리기를 그 예로 들고 있는 데 김상인은 (2002) 그의 저서 창조적 자아에서 노여움 불안, 슬픔 등의 인간의 감정은 몸에게 말하고 있으며 그 몸은 언어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김상인 「창조적 자아」(한국전인교육개발원 2002) p104
라고 하는 이론을 충족 시킬수 없으며 논자 또한 종교적인 병리현상을 전면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지만 여러 가지 몸짓, 손뼉 치기, 눈물 흘리기 등을 병리적 증상으로 일반화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보여 진다.
10장에서 한국 사회에 알맞고 전통정신과도 마찰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사회윤리를 창조해야 한다는 주장은 M. 토케이어 저 정지복 역(1995) 유태인의 처세술에서 전통을 공유해서 중요시 하므로서 사회가 통합되고 다양한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M.토케이너 저 정지복 역 「유태인의처세술」(쿰란 1995) 102p
라는 같은 맥락에서 설명되어 진다고 볼 수 있다. 본서는 기독교 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을 잘 보여주었다고 볼 수 있다. 1장에서 종교를 믿었는 데도 불행하다면 이라는 화두는 논자로 하여금 당혹감을 갖기에 충분했으며 새로운 도전으로 아픔으로 책임으로 닥아왔으며 3장의 예수님의 자신의 정체성으로 고민하시는 모습을 눈으로 볼수 있는 그러므로 스스로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해야하지 않을까? 6장에서 왜 유독 이스라엘 민족을 사랑하셨는가? 라는 물음은 다시 논자에게 되돌아 왔다. 왜 유독 나를 사랑하셨는가? 7장 하나님이 나의 반대 쪽에도 계신다는것 내가 가장 미워하는 이방인도 사랑하신다는 사실. 8장 한민족의 종교성은 서양과 다르며 전통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것 어떻게 수용하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는가 새로운 고민? 12장 하나님의 입장에서 자신을 비춰보는 '반영적 자아'가 꼭 필요하다는 것 15장 공간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으로 깊은 통찰로 하나님의 선한 일을 위하여 쓰여 지길 기도한다.
대상 : 목회자 교회 중직자, 상담자, 신학생, 정신분석가, 임상치료자, 심리치료자, 의사, 교사, 기독교인. 정신과 수련의, 카운슬링, 가정병리를 다루는 사람 간호사,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
본서의 보안할 부분 및 제안 점 : 과정을 전개함에 두분이 위대한 신학자이며 석학임에는 틀림없지만 20%가 넘는 지면을 할애함으로서 독자로 하여금 실망감을 줍니다. 아쉬움을 갖게 하는 것은 임상의 실제 예를 더 구체적으로 보여 주셨으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여겨집니다.
참고문헌
1.S 프로이드 지음. 민 희석 역 「정신분석 입문」(도서출판 두로.1996)
2.캘빈 S 홀 지음. 백 상창 역 「프로이드 심리학」(문예출판사. 1996)
3.코데스키 저 한기택 역 「심리학의 기독교적 이해」(소망사.1999)
4.김상인 지음 「창조적 자아」(전인교육개발원 2002)
5.M.토케이어 저 정지복 역「유태인의 처세술」(쿰란1995)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5.25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