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놀이치료의 물리적 환경, 적용과 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래놀이치료의 물리적 환경, 적용과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모래놀이치료의 개요
1) 모래놀이치료란?
2) 모래놀이치료의 역사적 배경
3) 모래놀이치료의 효과

Ⅱ. 모래놀이의 표현 및 해석
1) 모래놀이치료 표현의 단계
2) 모래놀이의 표현과 해석

Ⅲ. 모래놀이치료의 물리적 환경
1) 모래와 모래상자
2) 장난감(소품)
3) 모래놀이치료자의 역할

Ⅳ. 모래놀이치료의 적용 및 과정
1) 모래놀이치료의 적용
2) 모래놀이치료의 과정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이 잠길 수 있다는 것 등의 특징의 가지고 모래놀이치료가 이용된다. 집단의 구성원들은 제각기 자신의 작품을 교대로 만드는 데 그 후 그것에 대해서 다른 구성원하고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심리 치료자를 위한 훈련에 모래놀이치료를 이용하고 있다.
2) 모래놀이치료의 과정
(1) 교시
모래놀이 기법을 실시할 때의 교시는 가능한 간단하게 "이 모래와 장난감을 사용해서 어떤 것이라도 좋으니까, 만들어 보시오"라고 지시한다. 일반적으로 물건들을 보면 곧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낱낱이 설명하지 않아도 곧 납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는 설명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또한 교시에 대해서 피험자가 "모래를 만져도 괜찮습니까?"라든지 "동물만 놓아도 되겠습니까?" 등의 질문을 해 올 겨우는 모든 투사법 테스트를 할 때와 마찬가지로 "아무 것이나 좋은 대로 하시오."라고 허용적인 대답을 하면 된다. 어쨌든 강제적이 아니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관찰의 기록
치료과정을 관찰하는 목적은 치료자가 내담자의 창의적 과정을 이해하도록 돕는데 있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작업에 온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치료자의 참여 행동은 다차원적인 자각수준에서 이루어진다. 가장 분명한 역할은 관찰자 즉, 기자와 같은 사실 관찰자로서의 역할이다. 사실적 관찰은 연령에 관계없이 모든 내담자에게 근본적인 치유 효과가 있다. 모래놀이 과정을 기록하고 스케치하고 사진을 찍는 일련의 활동은 내담자에게 외부의 관심과 이해 그리고 실제적인 보살핌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관찰 시 일반적인 유의사항으로는 첫째, 초보 치료자의 경우, 작업과정에서 치료자와 내담자가 활동이나 언어, 상호작용 등을 하지 않는다. 둘째, 장난감들이 만들어지고 선택되고 사용되고 거부되고 바꿔지고 대치되는 순서는 의미가 있으며 장난감의 위치도 의미가 있으므로 내담자가 장난감을 다루고 탐색하는 태도를 기록한다. 셋째, 장난감을 어떤 식으로 배치하는가를 관찰하고 등장한 인물이나 동물들을 수 뿐 아니라 집단의 수도 기록한다. 넷째, 내담자의 집중력이 갑자기 깨어지며 작업을 중단할 때가 있다. 놀이 중 리듬과 움직임을 방해하는 일시적인 정지 상태를 주목하고 감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한다.
※ 기록하는 원리와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내담자가 어떤 순서로 무엇을 선택했는지 그 차례와 소품의 이름을 쓴다.
② 전개되는 세계를 간단하게 스케치하고 내담자와 관찰자의 위치를 표시한다.
③ 내담자의 언어, 신체적 태도 및 치료자와 주고받는 대화 등을 기록한다.
④ 치료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기록한다.
(3) 질문
작품이 완성되었을 때 "이것이 무엇을 나타냅니까? 좀 설명해 주세요." 또는 "이것에 주제가 있나요?" 라고 물으면 보통 내담자는 여러 가지의 설명을 해준다. 작품에 대해서 이외의 여러 가지 질문을 할 수는 있겠지만, 현재 이 이상의 질문은 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서투르게 질문을 하다 보면 치료관계를 망치거나, 모처럼의 치료해 나가는 흐름을 왜곡시키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놓여 있을 경우에는 "이것은 무엇입니까?"라든지 "이것은 어떤 뜻입니까?"라고 질문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내담자 중에서 작품을 만들고 나서 스스로 작품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이것이 납니다." 라든지 때로는 "이것이 선생님입니다."하고 치료자까지도 작품 속에 넣어 일러 주는 경우도 있지만 작품 속에는 반드시 작자와 동일시되는 사람(물건)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으므로 "이 중에서 당신은 어느 것입니까?"라는 질문도 하지 않고 있다. 물론 어떤 연구, 조사를 위해 질문한다면 별문제이겠다.
< 참고자료 >
김보애(2003)「모래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서울: 학지사
김경희이희자(2005)「모래상자놀이치료」양서원
배영란(2003)「알코올중독자 자녀 심리재활을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이미숙(2005)「가정환경변화로 인하여 정서행동장애 특성을 보이는 아동의 모래놀이치료사례연구」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곽영신(2007)「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논문
전애영(2008)「모래놀이치료에서 동물상징의 활용」경성대학교 대학원 논문
석혜선(2005)「모래놀이치료가 신체 학대받은 아동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논문
한순옥(2006)「모래놀이치료의 영성적 가능성」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논문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6.09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