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이데올로기와 대중매체에 보여지는모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 이데올로기와 대중매체에 보여지는모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모성의 정의
2. 모성의 이데올로기와 현실

본 론
1. 모성의 현실-사례
2. 대중매체에 드러난 모성
3. 모성 발현의 변화
4. 시기에 따른 모성의 특징과 그 배경
5. 현대 사회 모성의 문제점

결 론
1. 논점 요약

본문내용

모성 이데올로기가 사회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라 볼 수도 있고 여전히 남성들이 이념을 통해 여성들을 착취하고자 했을 수도 있다.
모성 이데올로기와 현실의 괴리는 어머니란 역할을 맡고 있는 여성을 괴롭힌다. 알게 모르게 쓰이는 용어와 사람들의 무의식엔 자녀 양육과 관련된 문제들, 집안 내에 관련된 노동 등을 모두 ‘어머니’와 연결 짓는다. 신문에서 내보내는 ‘엄마가 알아야 할 지침’은 대게 자녀와 관련되거나 남편과 관련된 기사이며 가족들을 감정적으로, 헌신적으로 뒷바라지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사람들에게 동감, 혹은 대리만족을 줄 수 있어야 인기를 얻는 드라마나 영화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드라마 속 어머니가 전통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로부터 벗어났다 싶어도 자식에 대한 사랑만은 지고지순하다. 다양한 워킹맘의 등장이 새로움을 부여할지라도 독하고 모진 여성으로 그려지기 십상이다. 또 워킹맘은 일과 가사 노동에 치여 살면서도 악착같이 아이를 돌보고 집안 청소를 한다. 여전히 가정에서 자유로운 어머니보다 매여 사는 어머니가 더 많다는 생각 때문이다.
모성의 현실과 이데올로기는 사회가 변함에 따라 함께 변해왔다. 사회가 약자로서 어머니에게 요구해왔던 역할은 항상 지원군이었다. 남성들이 전쟁터에 끌려 나갔을 때 나라를, 가정을 건사하는 몫은 어머니에게 달려있었고 산업화시기에 남성이 돈 벌러 나가면 여성은 자연스레 가정으로 밀려났다. 노동 분업이라는 허울은 남/여를 공/사로 갈랐고 이 이분법을 사회에 고착시켰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자녀 양육의 역할도 가정 안에서의 연장이다. 자녀의 좋은 성적,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은 곧 엄마의 자랑거리이자 가족의 자랑이었다. 엄마는 자녀의 신분이 곧 자기의 신분이 되는 양 행동했다. 이는 사회에서 어머니에게 부여한 사적 역할의 파생이다. 물론 그 이면의 사회적 배경으로는 신자유주의의 확산이 있다. 지나친 경쟁의 과열로 인해 어머니가 아이의 매니저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전 세계적 확산은 곧 어머니의 세계적인 이동을 불러왔다. 여유가 있는 워킹맘은 부족한 시간을 가사 노동에 할애하지 않았고 가정에 보모를 두었다. 이 때 워킹맘은 서구의 선진국 여성이고 보모는 제3세계의 여성이다. 그렇다면 자국에 두고 온 제3세계 여성의 아이들은 누가 돌볼 것인가? 워킹맘은 아이들을 자기가 돌보지 못해 보모를 두었다. 보모의 아이들 역시 친부모에게서 길러지지 못하고 친척에게 맡겨지거나 방치된다. 여성 노동력의 세계적 차원의 이동은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요구한다. 남성과 여성이 같은 양의 일을 하고 같은 양의 가사 노동, 돌봄 노동을 했더라면?
페미니즘 이론과 운동의 확산은 이러한 문제에 물음을 던지며 여성이 구시대적인 가치로부터 벗어날 것을 촉구한다. 전통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는 여성을 억압할 뿐이다. 모성은 결코 본성적이지 않으며 여성 고유의 성질이 아니다. 모성은 선천적이기 보다 학습되며 사회는 여성이 태어나서 부터 죽을 때 까지 선천적이라고 믿게 만든다.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구성하여 사회 구성원들 모두 그것이 타당하고 옳게 여기게끔 한다.
모성 이데올로기는 현대 여성들을 딜레마에 빠뜨린다. 일하는 여성들에겐 도저히 전통적 기준으로 돌봄 노동과 가사 노동을 하는 건 불가능한데 그렇다고 포기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제 시대가 지난 가치에서 과감히 발을 빼야 한다. 모성 이데올로기의 피해자인 여성만이 해결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모성이 여성에게 내재된 성질이 아니기 때문에 공과 사를 가장 효율적인 분업으로 보아서도 안 되며 여성은 모성과의 갈등에서 벗어날 권리가 있다. 이번 보고서는 인식과 가치를 재정립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모성의 현실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인지, 이데올로기와의 괴리는 무엇인지 알아본 점은 도약을 향한 디딤돌을 만든 과정이다.
참고 문헌
1. 강준만.「어머니 수난사」. 인물과 사상사. p248:3~6, p284:5~9, p288:7~12
2. 박혜경. 2009.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25권 3호. p6:16~24. 7:11~16
3. 배은경. 2008.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어머니의 모성경험”. 「페미니즘 연구」. 제8권 1호. 72:9 ~ 73:4. 73:14 ~ 73:22
4. 백진아. 2009. “한국의 가족 변화: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 인식」. 통권107호. p217:17~23
5. 윤택림.「한국의 母性」. 미래인력연구원. p30:8~23. p49:21~49:5. p52:14~53:1. p76:5~10. p91:1~2
6. 이혜경. 2004. “한국내 외국인 가정부 고용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제27권 제2호. p124:4~19
7. 조은. 1998. “모성의 사회적 역사적 구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8년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p241:19 ~ 22
8. 한희정. 2002. 한국 여성 잡지의 모성담론 분석.「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2권 1호. p244:17~25, 231:1~5
9. 홍지아. 2009. “TV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의 서사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11:19~12:7
10. Sistine Madonna. 1513. Raphael. “In Western art and culture, the Madonna has served as a powerful image of ideal motherhood, one of selfless love and devotion”.
11. Oakley, Ann. 1974. “The Sociology Of Housework”. London : Martin Robertson.
12. 윤택림. 2001.「한국의 모성」. 미래인력연구센타.
13. 조형. 2005.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 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반부.
14. 채성주. 2009. 「근대교육 형성기의 모성 담론」. 학지사.

키워드

  • 가격2,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8.03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