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제례, 제사예절)의 근원,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유형별 분류와 종교별 유형,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제수진설과 지내는 순서,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방과 축문,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임하는 태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근원,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유형별 분류와 종교별 유형,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제수진설과 지내는 순서,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방과 축문,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임하는 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근원

Ⅱ.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유형별 분류
1. 흉제(상중제사)
1) 우제
2) 삼우제-초우
3) 졸곡
4) 소상
5) 대상
6) 담제
2. 길제(상복을 벗은 이후의 제사)
1) 시제
2) 기제
3) 속절제

Ⅲ.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종교별 유형
1. 기독교 제례
2. 불교제례
3. 천주교제례
1) 시간
2) 준비
3) 제사순서

Ⅳ.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제수진설
1.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2. 제수(祭需)

Ⅴ.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내는 순서

Ⅵ.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방과 축문
1. 지방 만드는 법
2. 축문 쓰는 법
1) 전통식 축문 쓰는 법(우리말로 옮긴 것)
2) 현대식 축문 쓰는 법

Ⅶ.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임하는 태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우(男左女右)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
2. 제수(祭需)
제사에 쓰이는 제물을 가리키며 제찬(祭饌)이라고도 한다. 제찬에는 고춧가루와 마늘을 쓰지 않는다. 제수 음식 장만은 형식에 치우치기보다 정성스럽게 형편에 맞게 하는것이 좋다.
메(飯): 밥. 추석절 제사에는 송편으로, 연시제에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면(): 국수
편(片): 떡(설기는 안하고 백편으로 한다.)
삼탕(三湯): 육탕, 소탕, 어탕
삼적(三炙): 육적, 소적, 어적
채소(菜蔬) 및 숙채(熟菜): 삼색나물(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침채(沈菜): 동치미
청장(淸醬): 간장
식해(食해): 젓갈
포(脯): 북어, 건대구, 건문어, 건전복, 건상어, 육포 등
갱(羹): 국
유과류: 약과, 산자(흰색), 강정(검은 깨)
당속(糖屬): 흰색 사탕(오화당, 옥춘, 원당, 빙당, 매화당)
다식(茶食): 녹말 다식, 송화 다식, 흑임자 다식
정과(正果), 전과(煎果): 연근정과, 생강정과, 유자정과.
과실(果實): 대추, 밤, 배, 감(곶감), 사과.
제주(祭酒): 청주.
경수(更水): 숭늉.
Ⅴ.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내는 순서
① 두 번 절한 다음, 다시 손을 앞으로 모으고 반쯤 숙여 절한다.
② 제일 웃어른이 먼저 향을 피우시고 다시 절을 두 번 하고 제상앞에 꿇어앉눈다.
③ 잔에 술을 받아 제상 앞에 마련한 모래를 담은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고 모두 두 번 절을 한다. 이러한 절차를 강신이라고 한다. 즉 영혼이 내려온다는 뜻으로 그 영혼에게 ‘어서 오십시오.’라고 아뢰는 절차이다.
④ 제일 웃어른이 다시 상앞에 꿇어앉아 술잔을 받아서 두 손으로 받들고 제상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모두 두 번 절을 한다.
⑤ 엎드려 절을 하는 동안 ‘축문’을 읽게 된다. 축문이 끝나면 축문을 다시 접어서 상 앞에 놓으시고, 일어나서 두 번 절을 한다.
⑥ 할아버지의 순서가 끝나면 아버지께서 다시 술잔을 받아 제상에 올려 놓으시고 두 번 절을 한 다음 밥그릇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가운데 꽂으시고 술잔에 술을 갈아붓고 물러선다.
⑦ 모두 다시 두 번 절하고 방문을 닫고 밖에서 잠시 기다린다. 혼령이 오셔서 음식을 잡수시는 중이라는 뜻으로 방문을 닫고 기다리는 것이다.
⑧ 5분쯤 지난 후 국을 내리시고 그 자리에 숭늉을 놓는다. 그리고 밥을 숟가락으로 세 번 떠서 물에 말아 놓는다. 그리고 모두 두 번 절한다.
⑨ 절을 끝내고 숭늉과 밥그릇을 내려놓은 후에 다시 절을 한다.
⑩ 제사가 모두 끝나면 제관은 모두 방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제일 웃어른이 지방과 축문을 촛불로 태운다. 이때 제관이란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을 말한다.
⑪ 제상에 차렸던 음식을 거두고 술을 한잔씩 마신다. 이것을 음복이라 한다. 음복이란 조상이 내려 주신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를 끝내면 제관들은 물론이고 이웃 사람들에게도 나누어주며 함께 먹는 것이 우리의 관습이다.
Ⅵ.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방과 축문
1. 지방 만드는 법
고안의 사진으로 대신하거나 현대식의 지방을 써 붙인다. 지방은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나 백지위에 먹으로 씁니다.
2. 축문 쓰는 법
기제사를 지낼 때에는 축문을 써서 읽습니다. 설날과 추석 차례에는 축문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1) 전통식 축문 쓰는 법(우리말로 옮긴 것)
( )년 ( )월 ( )일 효자 ( ) ( )은/는 삼가 고하나이다.
아버님과 어머님, 어느덧 시간이 흘러 아버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하늘과 같이 크고 넓으신 은혜를 잊지 못하와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2) 현대식 축문 쓰는 법
년 월 일
아버님(또는 어머님, 할아버님, 할머님) 신위전에 삼가 고합니다.
아버님(또는 할아버님)께서 별세하시던 날을 다시 당하오니 사모의 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소서.
Ⅶ.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임하는 태도
제례는 복잡한 형식보다 그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은 현대 문물에 의하여 조상에 대한 현대인들의 공경심이 희박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1년에 몇 번 돌아오지 않는 제례때 만이라도 보은의 뜻으로 예를 지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창선, 쉽게 풀어쓴 상례와 제례
▷ 김관봉, 관혼상제, 태서출판사
▷ 공영립(2000), 제례의 기원과 본질 東洋哲學硏究
▷ 아시아 문화연구소, 교양총서① 한국의 전통문화, 한림대학
▷ 이영춘, 차례와 제사, 대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8.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