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製)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 서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사)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製)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 창제가 세종의 친제임을 주장한 논문의 내용과 근거 서술
2. 훈민정음 창제가 세종의 명분상의 어제임을 주장한 논문의 내용과 근거 서술

Ⅲ. 결론 및 개인적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의 절대적이라 하겠다. 또한, 성현의 당제조화나 이수광의 지봉유설 등에는 성삼문, 최항 등이 왕명을 받아 訓民正音을 창제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기록들은 實錄이나 解例 이후에 나온 것으로 신빙성이 약한 것은 사실이나 訓民正音의 기원이나 창제에 대하여 이와 같이 수많은 설이 있음은 세종 일인에 의해서 창제되기 어려운 복합적 요인이 있음을 단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 주변국들은 이미 文字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그들 文字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며, 그 국가의 어문 정책들은 訓民正音 제작에 좋은 시사가 된 것으로 추리할 수 있다.
Ⅲ. 결론 및 개인적 고찰
지금까지 訓民正音의 창제가 세종의 친제였는지, 명분상의 御製였는지에 대하여 각각의 硏究 및 論文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여 보았다.
親製임을 주장하는 根據를 요약해보면, 첫째, 訓民正音 창제와 集賢殿과를 크게 관련이 없었으며, 둘째, 世宗實錄의 내용에 근거하여 訓民正音이 창제되었을 당시 다른 學者들의 이름이 거론되지 않았다는 점, 셋째, 훈민정음 당시의 다양한 문헌들이 세종의 친제임을 말하고 있다는 점, 넷째, 訓民正音 解例本과 최만리의 上疏 등에서 밝히고 있는 내용, 마지막으로 世宗의 학자적 능력과 성격, 그리고 訓民正音과 관련한 愛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반해 어제임을 주장하는 근거를 요약해보면, 解例를 작성한 사람들이 정인지를 비롯한 8명의 學者이며, 이들은 訓民正音 창제의 原理를 알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訓民正音 창제에 필요한 學文의 폭과 깊이가 한 사람이 하기에는 힘든 일이다. 셋째, 당제조화나, 지봉유설 등에 王命을 받아 訓民正音을 창제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등 이다.
위와 같이 親製임과 御製임을 주장하는 根據에는 나름의 이유와 근거가 있어 보인다. 결과적으로 訓民正音 창제와 관련한 문서상의 기록들의 작성 시기와 누가 작성하였는가 등이 관건이 아닌가 한다. 즉, 訓民正音 창제 당시의 기록들이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며, 그 이후의 訓民正音과 관련한 다양한 기록들이 누구를 거론하고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本論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친제와 어제 중 아무래도 친제 쪽에 더 무게를 두고자하는 것이 개인적 생각인데,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았을 때, 訓民正音 창제 시 기록에 世宗만이 作成者로 記錄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시대의 중국과의 관계 및 조선 내의 여러 가지 정치적인 이유로 그렇게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 이후에 다른 사람들이 거론된 것으로 볼 때, 처음의 것이 더욱 정확하지 않을까 하며, 애초에 世宗의 성향으로 볼 때, 다른 사람들의 수고를 거론하지 않았다는 것은 世宗 스스로 창제하였음을 생각하게 하는 대목이다.
물론, 訓民正音의 탄생에 있어서 親製와 御製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누가 만들었던 우리는 현재 한글이라는 우리의 글과 말을 사용하며 수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다만 개인적으로 親製에 대한 근거를 더욱 근거다운 근거로 평가하고자하며, 世宗은 신숙주, 성삼문, 최만리 등 당대의 훌륭한 학자들 이상의 學者的 能力을 가지고 있었기에 訓民正音의 창제가 可能했을 것이라 예상해 본다.
Ⅳ. 참고문헌
1. 이기문 훈민정음 친제론(訓民正音 親制論),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92.
2. 심재기, 한국사람의 말과 글, 1985.
3. 금민수, 신국어학사, 1964.
4. 강신항,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는가, 한글사, 1996
5. 권재선, 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 한글사, 1996
6. 리홍매, 훈민정음 친제설과 비친제설, 중국조선어문 1997년 제6호.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9.16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