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사회교육(지리)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학교 사회교육(지리)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사회교과(지리) 학습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

1. 사회교과(지리) 교육의 성격
2. 사회교과(지리) 교육의 목표
3. 사회교과(지리) 교육의 중요성
4. 사회과 교과(지리)의 교수▪학습 방법
5. 사회과 교과(지리)의 평가방법

Ⅲ. 현행 중학교 사회교과(지리) 교육 현황과 문제점

1. 사회교과(지리) 교육 운영 실태
2. 사회교과(지리)의 교과과목 구성내용 구성
3. 사회교과(지리)의 단원 구성의 문제점
4. 사회교과(지리)의 교과서 내용의 문제점
5. 사회교과(지리)의 평가의 문제점

Ⅳ. 해결책 및 대안

1. 사회교과(지리)의 단원 구성의 재구성
2. 사회교과(지리)의 교과서의 재구성(일본 교과서 특징 참고
3. 사회교과(지리)의 다양한 평가방법 실시

Ⅴ. 기타

1. 교생실습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2. 내가 본 교직사회의 당면 과제
3. 우리 학교에 제언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미비를 이유로 지필고사를 제일의 평가방법으로 선택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들은 사회(지리)라는 교과가 단순히 암기를 하는 과목으로 인지하고 그에 따라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들이 상당수라 생각된다.
현행 교사들은 담당학급의 업무, 교과 수업을 위한 과도한 업무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 입하지 못하고 있어 담임선생님만을 담당하시는 선생님을 배정하여 업무를 덜어 드린다면
지금보단 좀 더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Ⅴ. 기타, 제언
1. 교생실습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교생실습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역시 기간 문제가 아닐까 생각된다.
4주라는 시간이 길다고 생각하면 긴 시간이라고 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수업에 투입 되 기 위한 준비시간과 아이들과 친해지는 시간을 고려한다고 역시 4주의 교육실습은 짧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첫째 주와 마지막 주는 적응과 마무리 단계로 수업보다는 그냥 정리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 경우가 많아 둘째 주와 셋째 주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된 실습을 한다고 생각되는 건 겨우 2주 남짓 되는 경우가 많다.
요즘 임용고시는 지필고사의 시험 비중도 많지만 실제 수업하는 것에 대한 비중이 늘어난 다고 하는데 더 많은 경험이 가능하게 실습기간을 늘려 많은 걸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기 회가 되었으면 한다.
두 번째 문제는 과목담당교사 한 명 당 배정 된 교육실습생이 너무 과다하다는 점 또한 문 제점으로 지적된다.
컴퓨터나 일본어와 같은 과목은 경우 수험의 시수가 적어 한 과목 당 한 분의 담당선생님 이 계셨는데 교육실습생이 3,4명이나 되어 각각의 교육실습생이 수업을 해 볼 수 있는 기 회도 너무 적었고 선생님께서 너무 많은 교육실습생을 담당하여 가뜩이나 많은 업무량에 교육실습생 관리까지 맡아야 하셔 다소 버거우시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되기도 했다.
2. 내가 본 교직사회의 당면 과제
교육실습을 하기 전엔 교사라는 직업이 마냥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했지만 현실에서 보게 된 교사라는 직업이 마냥 좋지만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는 역시 과도한 업무량이다.
35명의 학급의 학생의 담당교사로 아이들에게 일일이 신경을 써주어야 하고 또 많은 수업 으로 인한 준비로 인해 항상 분주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 문제는 주요 과목(국, 영 ,수 ,사 , 과) 이외의 과목의 선생님의 부족을 들 수 있 다.
내가 실습을 나갔던 제천중학교의 경우 도덕선생님이 한 분만 계셔서 모든 학급의 도덕 수 업을 담당할 수가 없어 사회과목 선생님과 일본어 선생님께서 반을 나누어 도덕 수업을 들 어 가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전에는 순회교사라고 해서 다른 학교에서 오시는 경우 도 있었지만 요즘엔 가산점 제도도 사라져서 순회교사를 희망하는 교사가 없기 때문에 제 천중학교처럼 다른 과목 선생님이 수업을 들어오는 학교도 상당수 있다고 한다.
3. 우리 학교에 제언
첫째, 교육실습 전 모의수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면 한다.
우리 호텔관광학부 학생들은 ‘관광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이라는 수업시간에 학부 1학년 학생들은 대상으로 모의수업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있었다. 그때의 연습 덕분에 실습 나 간 학교에서 그다지 긴장하지 않고 수업에 임할 수 있었지만 사전에 연습이 없었던 학과의 학생들은 처음 하게 되는 수업에 많이 긴장하고 걱정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둘째, 학습지도안 작성에 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관광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이전엔 교육학 수업시간에 학습지도안을 작성할 기회가 있 었지만 약식으로만 작성해 보았고 또 작성 후 제출만 하는 것에 그쳐서 잘못되거나 더 보 충해야 할 것 같은 지도가 없어 내가 작성한 지도안이 잘 된 것인지 보충할 것은 없는 지에 대해서도 알 수 없었다. 피드백해주면 철저하게 학습지도안 작성을 확실하게 알려주 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 강진희(2001), 제 6차와 제 7차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교육과학기술부(1998), 고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김옥화(2005), 제 7차 사회화 교육과정 한국 지리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민경화(2002),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박윤자(1992), 초중고 세계지리 단원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변정실(2002), 제 7차 교육과정 중등사회과 통합의 실제,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서태열(1993), 지리 교육과정 및 교수의 기본원리, 지리환경교육, 제 1권 1호, 한국지리환경 교육학회
- 설수연(2003),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지리영역 분석, 경희대 교육대학원
- 이돈희, 곽변성, 최석진, 허결철, 조남심, 박순경, 홍후고, 김재춘(1997),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 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이찬(1980), 초중고 지리교육과정의 육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 교육 연구회,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제2호
- 조명일(2007), 한알 중학교 1학년 사회교과서 비교분석
- 최봉근(2007), 제 6차와 제7차 지리교육과정의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한영옥(2006), 사회과 교육과정의 설계 및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 함영락(2005), 중학교 수도권 지역 학습을 위한 수업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교 석사논문, P.1
- 황정규(1992),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 As Hoc Committee on Geography, 1965, The Science of Geograph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 National Reserch Council,
- Moon,B.,9001,A Guide to the National Curriculum, Oxford University press
*참고 사이트
- 꼬슬머리 임선생!! 개념있는 지리교실: http://cafe.naver.com/intogeo/3766

키워드

사회교육,   개선,   현황,   교육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9.23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