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의료 생명공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 의료 생명공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 생명공학 1

1-1. 합성신약 1

1) 신약 연구개발 개요 1

2) 신약개발의 해외 동향 1

3) 신약 개발 국내 동향 2

4) 신약 개발 국내 전망 3

1-2. 바이오신약 3

1) 바이오신약 개요 3

2) 해외동향 4

3) 발전 전망 8

1-3. 바이오장기 9

1) 바이오장기의 개요 9

2) 바이오장기의 해외 동향 10

3) 바이오장기의 국내 현황 10

4) 바이오장기의 발전과제와 전망 11

2. 기초생명공학 12

2-1. 유전체학 12

1) 유전체연구의 개요 12

2) 인간유전체연구의 성과 12

3) 유전체관련 산업과 전망 14

2-2. 단백질체학 15

1) 단백질체학 개요 15

2) 해외 동향 15

3) 국내동향 17

2-3. 세포체학 17

1) 세포체학 연구의 개요 17

2) 연구의 동향 17

3) 발전과제 20

2-4. 대사체학 21

1) 대사체학 연구의 개요 21

2) 해외동향 22

3) 발전과제 23

2-5. 시스템생물학 23

1) 시스템생물학의 개요 23

2) 해외 동향 24

3) 국내 현황 24

2-6. 구조생물학 25

1) 구조생물학 개요 25

2) 해외동향 25

3) 국내현황 26

4) 발전전망 27

2-7. 뇌과학 28

1) 개요 28

2) 해외 동향 28

3) 국내 동향 29

4) 발전과제 및 전망 29

본문내용

신경세포에서 개체에 이르는 시스템연구, 분자이미징기술, 뇌-기계접속기술(Brain-Machine Interface, BMI)을 개발하여 인공와우, 인공망막, 심부뇌자극기술 등을 산업화하고 있다.
일본은 21세기를 뇌의 세기라고 명명하고 이화학연구소(RIKEN)에 설립된 뇌연구종합연구소(BSI)를 중심으로 국가주도의 뇌과학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유럽연합(EU)도 국가단위를 초월하여 범 유럽연구개발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MRC와 Welcome Trust를 중심으로, 프랑스는 국립과학연구소(CNRS)와 국립생명공학연구소(INSERM)를 중심으로, 독일은 막스프랑크연구협회(MPI)를 중심으로 뇌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뇌질환 치료제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40조 원에 이르며 신약개발 시장 중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현대 의학의 발달로 인한 고령화 인구의 증가, 복지 수준에 대한 관심,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질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질병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와 이해의 증가 등과 연관이 있다.
2003년 현재 임상 진행 중인 뇌질환 관련 신약은(정신질환 분야 제외) 모두 172종으로 44종의 통증치료제, 28종의 뇌종양 치료제, 26종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18종의 파킨슨병 치료제, 15종의 Stroke 치료제, 14종의 편두통 치료제, 12종의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9종의 간질치료제, 7종의 수면장애 치료제가 포함되어 있다(Pharma Report, 2003).
2003년 미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승인된 신규 의약품의 수는 모두 86종으로 이 중 21종은 합성신약이며 14종은 바이오 신약으로 집계되었다. 2003년 한 해 뇌질환 치료제 분야에서 승인된 신약은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Mememtine HCI(상품명 Namenda) 1종이 유일하게 포함되어 있다(Phrma Report, 2004).
3) 국내 동향
뇌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주도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선진국 추세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1998년 뇌연구 활성화를 위한 뇌연구촉진법을 제정하였고, 1999년 범부처 차원의 뇌연구촉진기본계획(Braintech21)을 수립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뇌신경생물학사업단,뇌의약학사업단, 뇌신경정보학사업단 3개 사업단을 주축으로 국내 뇌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2003년 10월 과학기술부는 국가 대형장기프로젝트인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써 뇌기능 활용 및 뇌질환 치료기술 개발 연구사업단을 출범시킴으로써 국내 뇌과학 연구의 획기적 개선을 도모하게 되었다.
현재 국내 뇌관련 연구 인력(석사급 연구원 이상)은 약 1800여 명이며, 남여의 비율은 8:2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내 뇌연구 투자예산은 일본의 1/10, 미국의 1/200 수준으로 2004년에는 총 391억 원, 2005년에는 총 417억 원으로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국내 연구투자예산은 민간부문의 투자를 포함한다면 보다 크게 증가될 것이다(뇌연구촉진시행계획, 2005).
국내 뇌질환 관련 기업으로는 미국 존슨앤존슨사로부터 천만불 이상 규모의 기술료를 징수한바 있는 국내 선두그룹 (주)SK를 비롯하여 동아제약 등이 있으며, 이외 두각을 나타내는 뇌질환 관련 벤처기업으로는 (주)뉴로테크, (주)크리스탈지노믹스, (주)디지탈 바이오텍 등이 있다. 다만 벤처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뛰어난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신약 개발에 대한 지속적 투자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몇몇 벤처기업에서는 새로운 EEG 측정기술, 지능검사 등 뇌신경생리학적 연구와 뇌영상기법을 응용하여 뇌-기계접속 기술도 활발히 연구개발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수준은 다소 미진하다고 사료된다.
4) 발전과제 및 전망
국내의 뇌과학 수준은 짧은 기간과 적은 수의 핵심 인력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비 뛰어난 연구성과를 보여주었으며, 치료제 개발을 중심으로 한 관련산업계의 잠재역량도 뛰어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뇌연구 투자 대비 연구성과 조사결과에 의하면 국내 뇌연구 투자가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투자 1억 원당 국내 뇌연구 논문의 수는 1.4편인 반면, 일본은 0.7편, 미국은 0.25편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수치는 민간부문 지원을 감안할 때 미국 또는 일본에 비하여 2배 가량의 논문이 배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논문인용지수(IF) 등을 감안할 때 미국의 경우 질적 수준이 높은 논문이 소량 배출되고, 국내의 경우 질적 수준이 높지 않은 논문이 다수 배출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으로 볼 때 연구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진국형 연구체제로의 개편을 시행하는 것이 여전히 시급한 과제로써, 국내 연구비 심사 및 평가 시스템에 연구논문의 질적 심화도, 실질적 공동연구 진행도 등을 평가하는 것도 한 가지 개선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뇌질환 치료제 전문 개발 기업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며, 투자 재원확보에 있어서도 선진국의 경우처럼 Alzhimer foundation, ALS foundation, Strok foundation 등 민간 연구재단을 통한 투자 재원 확보 방안이 없어 전임상, 임상단계의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정부차원의 대형실용화 연구사업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 발굴이 실용화로 이어질 수 있는 발판이 생긴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최근 뇌과학 연구개발이 세계적 규모의 공동연구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고 2004년에는 선진국 국제협력프로그램인 HFSP(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에 우리나라가 정식 가입하게 되었다. 뇌기능연구프론티어사업단의 경우 2005년 2월 영국의 시냅스가소성 MRC(브리스톨대학) 등 협력연구기관과 뇌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 2단계 연구사업에 진입하는 뇌기능연구프론티어사업단이 뇌신경생물학사업단, 뇌의약학사업단, 뇌신경정보학사업단 3개 국책사업단과의 협력기반 위에서 국내 뇌연구 인프라 및 뇌과학의 수준 제고에 중심역할을 수행할 것을 기대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0.09.27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