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고추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청국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식초, 한국전통음식 떡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고추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청국장,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식초, 한국전통음식 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1. 김치의 역사
1)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2. 지역별 김치
3. 김치 만들기와 저장
1) 배추김치 만들기
2) 김치의 저장
4. 김치의 영양학적 효과
1)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
2) 체중조절에 좋은 저칼로리 식품
3) 항암효과 및 노화억제효과
4) 유산균의 정장작용
5) 혈중에 있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효과

Ⅱ.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1. 각 지방의 젓갈
2. 젓갈의 제조방법
1) 소금만을 침장원으로 하는 젓갈
2) 간장 또는 간장과 향신료를 혼합하여 침장원으로 하는 젓갈
3) 소금과 고춧가루(향신료)를 침장원으로 하는 젓갈
4) 기타 젓갈
3. 젓갈의 필수조건

Ⅲ.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1. 된장의 유래
2. 된장의 효능
1) 항암효과
2) 고혈압
3) 간기능 강화
4) 해독작용
5) 노인성 치매 예방효과
6) 소화제역할
7) 비만․변비 예방
8) 심장병과 뇌졸중 예방
9) 기미․주근깨 제거

Ⅳ.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고추장

Ⅴ.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청국장
1. 청국장의 종류
1) 전통 청국장
2) 생 청국장
3) 건조 청국장
4) 분말 청국장
5) 서리태 청국장
6) 서목태 청국장
2. 청국장의 효능
1) 노화방지
2) 당뇨병 예방
3) 혈전용해 효소
4) 변비예방
5) 빈혈예방
6) 항암효과

Ⅵ.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식초
1. 식초의 활용
2. 식초의 효능
1) 소금섭취를 줄여줘 각종 성인병예방
2) 식초의 해독작용
3) 소화기능 향상
4) 칼슘의 흡수율 향상
5) 살균해독작용

Ⅶ.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떡
1. 떡의 유래
2. 떡의 종류
1) 송편
2) 증편
3) 약식
4) 인절미
3. 영양과 성분
4. 곰팡이와 보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을 찌고 있는 그림이 발견되었다. 떡은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정월 초하루에는 흰떡을 만들어 떡국을 끓이고, 이월 초하루 중화적(中和節)에는 노비 송편, 삼월 삼짇날에는 두견화전, 사월 초파일에는 느티떡, 오월 단오에는 수리취절편, 유월 유두에는 떡수단, 추석에는 송편, 구월 구일 중구절(重九節)에는 국화전, 음력 시월에는 시루떡을 하여 동리 이웃과 나누어 먹는 세시 풍습이 있다. 또한 어른의 생신, 회갑, 아기의 백일, 첫돌, 생일, 혼례, 젯상 등에도 빼놓지 않는 것으로, 신성하고 편안함을 비는 마음과 함께 오랜 평화가 두고두고 깃들기를 바라는 풍습인 것이다. 떡은 조리법을 중심으로 분류하는데 시루에 쪄서 완성한 찐 떡 다음 다시 완성한 친 떡, 기름에 지져서 완성한 지진떡, 찰가루 반죽을 삶아 건져 낸 삶은 떡 등이 있다. 지금은 떡을 한자로 병이(餠餌)라고 하는데, 《성호사설》과 《임원십육지》에는 떡에 관한 이 두 가지가 나오는데, 그 중 가루로 만들어서 익히는 것을 이(餌)라 하고, 먼저 익혀서 다시 잘 쳐서 만든 것을 자(資)라 하였다. 중국의 《제민요술(齊民要術)》에는 밀가루로 만든 것을 병(餠)이라 하고, 그 밖의 곡물로 만든 것은 이(餌)라고 하였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는 “떡이란 것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합하는 것이 고와 이(餌)와 자(資)와 탁이라 이르는 것이나 나누어 말하면 쌀가루를 찐 것은 이(餌)라 하고, 쌀을 쪄서 치는 것은 자(資)라 하고, 기름에 지진 것은 유병(油餠)이라 하고, 꿀에 반죽한 것은 당궤(饋)라 하고, 가루를 반죽하여 썰어서 국에 삶은 것은 박탁이라 하고, 쌀가루를 쪄서 둥글게 만들어 가운데다가 소를 넣는 것은 혼돈이라 하고, 쌀가루를 엿에다 섞은 것은 교이(餃餌)라 하고, 물에 삶은 것은 탕중뢰환(湯中牢丸)이라 하고, 밀가루에 술을 쳐서 끈적거려 가볍고 뜨게 하는 것은 부루나 유어라 하고, 떡을 얇게 하여 고기 싼 것은 담이라 하고, 밀가루를 붓게 하여 고기소를 싼 것은 만두(饅頭)라 하나니라”고 하였다.
2. 떡의 종류
1) 송편
송편은 송병(松餠)으로도 불렸으며, 절편 등과 같이 멥쌀로 빚는 병류이지만 만드는 방법이 특이하다. 멥쌀가루를 익반죽하고 소를 넣어 모양을 갖춘 떡류다. 모든 지방에서 잘 만드는 떡으로, 추석 때 햇곡으로 빚는 명절 떡이기도 하다. 연중 가장 먼저 나오는 햅쌀로 빚은 송편을 \'오려 소편\'이라 하여 조상의 차례상과 묘소에 올린다. 전해오는 이야기로 \'처녀들이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좋은 신랑을 만나고, 임부가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딸을 낳는다\'하여 송편빚기에 정성을 다하였다. 추석을 앞두고 여러 날 전에 연한 솔잎을 뜯어 깨끗이 손질해 두었다가 갈피갈피 놓아 찌면, 송편에 솔잎 자국이 나고, 은은한 솔 내음이 쫄깃쫄깃한 멥쌀 떡맛과 각색으로 넣은 소의 맛이 한데 어울려, 명실 공히 한국 떡의 맛을 대표한다 하겠다.
2) 증편
증편은 代中의 떡으로 쌀가루를 술로 반죽하여 부풀게 한 다음 둥근 중편틀에 담고 위에 대추, 밤, 실백, 석이버섯 등으로 고명을 얹어 장식하여 찐 떡이다. 기주떡, 기증병, 기지떡, 술떡, 벙거지떡 등 지방마다 이름이 다르며, 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떡보다 빨리 쉬지 않아 여름에 만들어 먹기 좋은 떡이다.
3) 약식
정월 대보름의 절식인 약식(藥食=藥飯)은 약밥이라고도 하는데, 잔칫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던 전통 음식으로, 밥(주식)에 속하지 않고 떡류에 속한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고사를 보면, 신라 21대 소지왕이 왕위에 오르고 10년이 되는 해의 정월 대보름날에 재양을 미리 알겨줘 목숨을 살려준 까마귀에 대한 보은으로 이날을 까마귀의 제삿날로 삼아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게 먹이도록 하니 이 풍습이 지금까지 내려와 지금도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만들어 먹는 정월 대보름의 절식이다. 약(藥)자는 병을 고쳐주는 것임과 동시에, 이로운 음식이라는 개념을 함께 지니고 있으므로, 매우 좋은 음식임에 틀림이 없다. 우리나라말에 꿀을 \'藥\'이라 하기 때문에 꿀 술을 약주(藥酒), 꿀밥을 약밥(藥食)이라 하였으며 꿀과 과실을 약과(藥果)라 하였다.
4) 인절미
인절미는 시루떡 다음으로 자주 쓰이는 떡이다. 절편과 함께 쌀을 시루에 쪄서 안반에다 쏟아 떡메로 친 떡인 것은 같지만 절편이 멥쌀을 쓰는데 반해 인절미는 찹쌀을 주원료로 한다는 것이 다르다. 찹쌀을 가루로 만들지 않고 찰밥처럼 쪄서 떡메로 치든가, 절구에 넣고 찧어서 만든다. 인절미는 절구에 찧는 것 보다는 떡메로 쳐서 만든 것이 더 쫄깃쫄깃 하고 맛이 좋다.
3. 영양과 성분
떡은 수분이 적고 질이 치밀하므로 용적에 비하여 질량이 많으므로 칼로리가 높다. 흔히 떡을 불소화물이라고 하는 것은, 보기에 양이 적어 보이므로, 자칫하면 과식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분량을 적당히 먹으면 밥알이 곱게 부수어져 있기 때문에 소화는 밥보다 잘 되는 것이다. 떡 중에는 찹쌀로 만드는 것이 많은데, 찰떡이 점도가 강한 것은, 찹쌀의 녹말이 주로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밀로펙틴은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사슬 모양의 구조를 가진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찹쌀을 쪄서 치면 아밀로펙틴이 서로 엉겨서 끈끈해진다.
4. 곰팡이와 보관
떡을 오래 두면 곰팡이가 피게 된다. 이 곰팡이는 해롭지 않다고 하여 옛날에는 먹어도 무방하다고 했으나, 최근 푸른곰팡이의 어떤 종류에서는 강한 발암성 독소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떡에 곰팡이가 생겼을 때에는 그 부분을 도려내거나 깎아 버리고 먹어야 한다. 그리고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고물을 털어 놓는 동시에, 냉장고 등 저온 장소에 보관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둔다. 또는 찬물에 담가 두기도 한다.
참고문헌
김명희, 전통발효식품, 보성, 2006
김현희 편, 한국의 전통음식, 신성, 2001
윤숙자, 한국의 저장 발효음식, 신광출판사, 2001
이서래, 한국의 발효식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이정호, 알콩달콩 신비한된장 이야기, 오성출판사, 2001
정해옥·김재숙, 한국음식의 이해, 교학연구사, 2001
최홍식, 한국의 김치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2002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9.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