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씨남정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씨남정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단원 개관 및 계획
1. 대단원 학습 목표
2. 대단원 설정의 이유
3. 대단원 구성의 방향
4. 교수․학습 계획
5. 지도상의 유의점

Ⅱ. 소설의 인물과 성격(중단원 1)
1. 중단원 솔정의 취지
2. 교수․학습 목표

Ⅲ.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김만중
☞ 이해와 감상
☞ 핵심정리
☞ ‘사씨남정기’에 대한 후대의 논평
☞ 보충자료
☞ 전체 줄거리
☞ 등장인물
☞ 창작 동기
☞ 등장 인물들의 관계
☞ 꿈의 역할
☞ 사씨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성격

본문내용

나라 가정(嘉靖)연간 금릉 순천부에 사는 유현(劉炫)이라는 명신은 늦게야 아들 연수(延壽)를 얻는다. 유공의 부인 최씨는 연수를 낳고 세상을 떠난다.
연수는 15세에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고 한림학사에 제수되었나, 아직 나이가 어리므로 10년을 더 수학하고 나서 관직에 나아가겠다고 한다. 천자는 특별히 본직(本職)을 띠고 6년 동안의 여가를 준다.
유한림은 덕성과 재학(才學)을 겸비한 사씨와 혼인한다. 사씨는 유한림과의 금슬은 좋으나 9년이 되어도 아이를 낳지 못하였다. 이에 사씨는 남편에게 새로이 여자를 얻기를 권한다. 유한림은 거절하다가 사씨가 여러 번 권해오니 마지못해 교씨(喬氏)를 맞아들인다.
교씨는 천성이 간악하고 질투와 시기심이 강한 여자로, 겉으로는 사씨를 존경하는 척하나 속으로는 증오한다. 그러다가 잉태하여 아들을 출산하고는 자기가 정실이 되려고 마음먹고, 문객 동청(董淸)과 모의하여 남편 유한림에게 온갖 모함을 한다.
유한림은 처음에는 믿지 않았으나, 교씨가 자신이 낳은 아들을 죽이고 죄를 사씨에게 뒤집어씌우니, 사씨를 폐출시키고 교씨를 정실로 맞이한다. 교씨의 간악은 이에 그치지 않고, 다시 문객 동청과 간통하면서 유한림의 전재산을 탈취해 도망가서 살기로 약속하고, 유한림을 천자에게 참소하여 유배시키는 데 성공한다.
유한림을 고발한 공으로 지방관이 된 동청은 교씨와 함께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는 등 갖은 악행을 저지른다. 이때, 조정에서는 유한림에 대한 혐의를 풀어 소환하고, 충신을 참소한 동청을 처형하기로 한다.
유배를 당한 유한림은 비로소 교씨와 동청의 간계에 속은 줄 알고 지난날의 죄를 뉘우친다. 유배가 풀려 고향으로 돌아온 유한림은 사방으로 탐문하여 사씨의 행방을 찾는다.
한편, 남편 유한림이 돌아왔다는 소문을 들은 사씨는 산사에서 나와 남편을 찾으러 나선다. 사씨와 유한림은 도중에서 해후한다. 유한림은 사씨에게 지난날의 죄를 사과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간악한 교씨와 동청을 잡아 처형하고 사씨를 다시 정실로 맞이한다.
이 작품은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하고 장희빈(張禧嬪)을 중전으로 책봉한 사건에 대하여 숙종의 미혹됨을 깨닫게 하여 모든 것을 원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권선징악의 수법을 고도로 원용하여 쓴 폭로 · 풍간(諷諫)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작가 김만중이 이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는 일반적으로 쟁총(爭寵)으로 보고 있으나, 오히려 덕(德)으로 보는 편이 타당하리라 생각한다.
예를 들면, 성혼 과정에서 매파가 사소저의 미색을 칭찬하자 유현은 덕을 강조하여 말했고, 또 사부인이 남편 유한림에게 소실을 얻도록 주선해주는 것은 부덕(婦德)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교씨의 간교로 인해 시가에서 쫓겨난 사부인이 친정으로 돌아가지 않고 시부모의 산소에서 지내는 것은 끝까지 덕을 실행해보려는 강인한 의지의 발로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쟁총형의 가정소설이라기보다는, 인간에 있어서의 덕성을 강조함으로써 민비 폐출의 부당성을 풍간하기 위한 풍간소설이다.
인물구성을 보면, 사부인은 고매한 인덕의 소유자로 설정해놓은 반면, 첩은 간교한 여인으로 등장시켜 악녀를 선녀에 대립시킴으로써 여자주인공의 인격을 강조하고 있다. 유한림의 숙모인 두부인은 선악을 판단하는 사리 판별자로서 기능하며, 또한 다가올 일을 암시하는 복선의 기교적인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소설의 구성면에 있어서는, 다른 고전소설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천우신조(天佑神助)가 사건전개에 큰 구실을 한다. 사부인이 시부모 묘하에 쫓겨나 있을 무렵 두부인의 위조편지를 받고, 비몽사몽간에 최부인이 꿈에 나타나 위기를 모면하게 된다.
여승 묘혜가 사부인과 상봉하여 사부인을 곤경에서 벗어나게 해 준 것도 역시 꿈의 계시에 의해서였다. 유연수의 중병을 고치는 일, 위기에서 구출되는 일 등 모두가 현몽의 덕분이다. 이처럼 꿈을 지나치게 과용한 것이 이 작품의 구성상의 흠이라 하겠으며 이는 또한 실감을 크게 감퇴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소설의 사실상의 배경은 숙종의 인현왕후 폐출사건에 있으나 소설 내용상의 배경은 중국 명나라 시대를 취하고 있다. 그것은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날카로운 저항의식을 가리기 위함일 것이다.
이 소설은 이러한 목적의식 때문에 인물의 배치나 사건의 전개에 어떤 한계를 주어 작품의 문학성이 위축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나, 김만중의 작가적 능력은 이를 훌륭히 극복하여 작품적 성과를 크게 발휘하고 있다.
형성 평가
♣ 이 소설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가.
▶ 숙종이 인현왕후를 폐출하고 장희빈을 중전으로 책봉한 사건에 대한 풍간
♣ 이 글에서 사씨는 어떠한 성격을 보이는가?
▶ 늦도록 소생이 없음을 근심하여 남편에게 소실을 얻도록 하고, 시집에서 축출당하면서도 한 마디 변명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친가로 가지 않고 시부모의 산소 아래 초옥을 얻어 거처한다. 이것은 사씨의 인품이 현숙함을 암시하는 것인 동시에 가문에 대한 자긍심의 발로라 하겠다. 이로써 사씨는 가부장적 사회 제도에 순종하는 표본적 인물임을 알 수 있다.
♣ 이 작품을 인현 왕후 폐비 사건을 비판한 정치적 목적 소설로 볼 때, 다음에 제시된 부분은 어떤 사실을 풍자한 것인지 말해 보자.
<다음>
이튿날 한림이 일가 친척을 모두 청해 놓고 사씨의 전후 좌상(罪狀)을 이르고 기어코 쫓아낼 것을 말하니, 모든 사람이 본디 사씨의 친절함을 알고 모두 한림의 망령(妄靈)임을 짐작하나 모두 한림에게 먼 일가 아니면 손아래 사람이라 뉘 즐거이 고집을 부려서 한림의 뜻을 거스르리오.
▶ 조정에 바른 말로 임금에게 간(諫)하는 신하가 없음
♣ 이 글에 등장하는 유한림은 어떠한 성격의 인물인가?
▶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는 사람이지만, 쉽게 남의 참소를 곧이 들을 정도로 심지가 굳세지 못하다.
참고문헌
고등학교 문학(상), (주)천재교육, 2009
윤희재, 윤희재 전공국어(고전문학), 희소, 2007
조현우,「<사씨남정기>의 악녀 형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06
지연숙,「<사씨남정기>의 이념과 현실」, 민족문학사연구,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0.0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1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